폐역 | 남원 - |
남원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신 방면 | 여수엑스포 방면곡 성 17.6 ㎞ → | ||||
전 주 ← 54.0 ㎞ | ||||||
수서 방면 | ||||||
용산 방면전 주 ← 54.0 ㎞ | ||||||
용산 방면오 수 ← 15.9 ㎞ | ||||||
전라선 무궁화호 | ||||||
서울 방면 임 실← 26.5 ㎞ | 남도해양열차 | }}}}}}}}} | ||||
역명 표기 | ||||||
전라선 | 남원 Namwon 南原 / [ruby(南原, ruby=ナムォン)] | |||||
주소 |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교룡로 71 (신정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048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2급 (전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
운영 기관 | ||||||
전라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라선 | 1933년 10월 15일 | ||||
| 2011년 10월 5일 | |||||
| 2023년 9월 1일 | |||||
| 2014년 5월 12일 |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열차 | 2013년 9월 27일 | }}}}}}}}} | ||||
철도거리표 | ||||||
익산 방면 산 성 ← 3.6 ㎞ | 전라선 남 원 | 여수엑스포 방면 주 생 5.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도 계획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남 원 (계획중) | ? ㎞ → | }}}}}}}}} |
|
4대 역사 (2004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nopad> |
남원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성춘향과 그네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
청동지붕 한옥역사의 매력적인 첫 인상
1931년 10월 1일, 처음 전주-남원 간 철도가 연결되고 뒤이어 1933년 10월 15일 남원-곡성간 철도가 연결되며 남원역도 동충동에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두 차례 역사를 신축 준공, 2004년에 이르러 임실-금지 간 전라선 복선화로 신정동에 넓은 역사 광장과 주차시설을 갖춘 한옥 양식의 새로운 남원역이 태어났다. 특히 청동으로 된 지붕 마감재가 인상적으로 여느 한옥 역사와는 다른 강한 힘을 느끼게 한다. 역사가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이용객이 줄어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호남고속철도 개통 1주년 만에 이용객이 55.9%가 증가하며 전라북도 주요 관광도시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2017년에는 남원역 맞이방에서 철도이용객과 함께하는 예술여행 연주회를 개최, 국악과 오케스트라가 함께하는 문화공연을 선보이며 문화가 있는 역사로 성장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선의 철도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교룡로 71 (신정동 531-1) 소재.1931년 10월 1일, 처음 전주-남원 간 철도가 연결되고 뒤이어 1933년 10월 15일 남원-곡성간 철도가 연결되며 남원역도 동충동에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두 차례 역사를 신축 준공, 2004년에 이르러 임실-금지 간 전라선 복선화로 신정동에 넓은 역사 광장과 주차시설을 갖춘 한옥 양식의 새로운 남원역이 태어났다. 특히 청동으로 된 지붕 마감재가 인상적으로 여느 한옥 역사와는 다른 강한 힘을 느끼게 한다. 역사가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이용객이 줄어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호남고속철도 개통 1주년 만에 이용객이 55.9%가 증가하며 전라북도 주요 관광도시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2017년에는 남원역 맞이방에서 철도이용객과 함께하는 예술여행 연주회를 개최, 국악과 오케스트라가 함께하는 문화공연을 선보이며 문화가 있는 역사로 성장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2.1. 동충동 역사
|
2대 역사 (1956년 준공, 1986년 철거) |
|
3대 역사 (1986년 준공) |
1933년 10월 15일 남원-곡성 구간이 개통하면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충정로 65(동충동)에서 개업하였다.
1950년 7월 18일 6.25 전쟁으로 인해 역사가 소실되었고 1956년 7월에 두 번째 역사가 준공, 1968년 6월 1일 화물 하치장이 설치되었고 1986년 12월 8일에 역사가 한 차례 더 신축 준공되었다.
1967년에 최후의 여객용 간선 증기 기관차[1]가 운행한 기록이 있으며, 이설 직전인 2003년까지 간선철도 최후의 통표폐색 신호방식을 사용한 구간에 속해 있기도 했다.
2004년 8월 5일 전라선의 임실-금지 구간이 복선화로 선로가 이설되면서 역사도 현 위치로 이전, 동충동 역사는 소임을 다 했다.
남원역을 시 외곽으로 이설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이유가 많았다. 우선 전라선의 선형이 원인이 됐다. 남원-순천 간 이동에서 구례 경유에 비해 곡성 경유는 다소 돌아가는 편이지만, 전라선이 처음부터 곡성 경유였고 곡성 수요도 적잖게 나왔기 때문에 선형 개량을 하더라도 곡성을 거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문제는 남원역 위치를 유지하면서 곡성 방향으로 돌아나가자니 선형 개량이 무색한 수준의 90도 드리프트가 나오기 때문에 여러모로 한계가 있었다.[2]
문화재 복원 문제도 있었다. 동충동 역사 자리는 본래 남원읍성 북문과 만인의총이 있었던 곳이다.[3] 남원읍성 북문은 정유재란 남원 전투 당시 조선군이 최후의 항전을 한 곳이며, 만인의총은 이 때 항전하다 전사한 조선군과 남원 주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무덤이다. 비록 전투 자체는 왜군이 승리했으나 남원성에서의 결사항전으로 왜군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연원이 있기에 일제가 남원역을 굳이 남원읍성 북문을 헐어가면서 이 자리에 세운 것이 역사적 보복이라는 주장이 재야 사학자들과 노인층 주민들을 중심으로 이어져 왔다.[4]
구 남원역 구내 |
이설 이후 동충동 구 역사 내부와 철길 일대는 '향기원'이라는 이름으로 도심정원 역할을 하고 있고 주차장은 전세버스 차고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9년부터 舊 남원역 일대를 만인의총과 남원읍성 유적지를 포함한 종합 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 시작됐고, 발굴조사 진행을 위해 역사 출입이 통제됐다. 이후 2024년에 만인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남원읍성 북문을 복원하고 만인의총에 잠든 선열 의사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 공간을 조성하기로 결정됐다.
이어 2025년 1월, 정밀 발굴조사를 위해 역사와 플랫폼을 철거하는 것이 결정됐다. 舊 남원역이 의도적으로 남원의 전통적인 격자형 도시 구획과 어긋나도록 지어져버린 탓에 남원읍성 북문 복원 시 시가지로부터의 접근성과 시야를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 실제로 지금도 옛 남원읍성 안쪽에 해당하는 동충동과 죽항동 일대는 자로 잰듯이 격자형으로 도로망과 시내 구조가 짜여져 있지만, 성곽을 45도로 즈려밟고 지나가는 전라선 때문에 구 남원역 일대만 이러한 격자형 도로망이 사라져 있는 상태다. 철거된 역사는 기록화를 통해 만인공원에 흔적을 남기고, 철로는 일부를 공원 시설물로써 재설치할 예정이다.#
2.2. 신정동 역사
2012년 5월 1일부터 모든 전라선 KTX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한다.2014년 6월 30일부터 인천공항행 KTX가 신설되었는데 이 KTX가 상행은 남원역에서 정차하는데 하행은 정차를 안하는 해괴한 시각표가 배정되자 7월 20일에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더불어민주당 강동원 의원이 시정을 요구해 8월 20일부터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KTX도 남원역 정차를 하도록 개정되었다. #
KTX 투입 이래 전역 정차와 왕복 1대씩 통과하는 열차가 번갈아가며 편성되고 있었으나, 호남고속선이 개통한 2015년 4월 2일 이후에는 전라선 권역 5번째로 KTX를 포함한 모든 전라선 여객 열차가 남원역에 필수정차한다.
외곽으로 이전한 이후에도지리산 관광이나 남원시를 관광하기 위해 오는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으며, 통영대전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에는 전북 동부의 순창군, 장수군, 임실군과 경남 북서부의 함양군, 산청군 등지 사람들이 서울행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 많이 이용했다. 지금도 인근 지역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남원시 자체 수요도 꽤나 되는 편이며, 전주나 순천방면으로도 철도가 강세를 보여 주고 있다. 서울 ↔ 남원 고속버스 노선이 고속터미널 폐쇄에 따라 동충동으로 기착지를 옮기고 1일 7회로 감회된 후에는 서울방향으로 갈 때의 가치도 높아졌다.
추후에 달빛철도(광주 - 대구선)가 남원역을 관통하게 되어서, 미래에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2.3. 승강장
↑ 오수 |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곡성 ↓ |
1·2 | 전라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남도해양열차 ]] | 곡성·순천·여수 방면 |
3·4 | 익산·용산·수서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남원역 남쪽에 24번 국도(남원로)가 지나가며, 남원역 서쪽으로 17번 국도(서부로)가 지나간다.주변에 버스 정거장 빼고는 아무것도 없다. 2016년 기준으로 사실상 역세권개발사업차원에서 역 주변 상가조성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긴하다. 그래도 시가지와는 나름 가까운 편이지만 야산으로 막혀 있는 것이 흠이다.
2024년에 남원 2차 오투그란데 디아트아파트(226세대)가 입주했다.
4. 일평균 이용객
{{{#!wiki style="word-break: keep-all"연도 | | | {{{#!wiki style="margin: -0px -9px"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총합 | 비고 | |
2004년 | 192명 | 1,401명 | 1,593명 | ||||
2005년 | 185명 | 1,338명 | 1,523명 | ||||
2006년 | 175명 | 1,229명 | 1,404명 | ||||
2007년 | 178명 | 1,212명 | 1,390명 | ||||
2008년 | 175명 | 1,228명 | 1,403명 | ||||
2009년 | 192명 | 1,177명 | 1,369명 | ||||
2010년 | 227명 | 1,298명 | 1,525명 | ||||
2011년 | 129명 | 230명 | 1,323명 | 1,682명 | [5] | ||
2012년 | 180명 | 129명 | 1,449명 | 1,758명 | |||
2013년 | 303명 | 119명 | 1,515명 | 1,937명 | |||
2014년 | 374명 | 169명 | 1,342명 | 1,885명 | |||
2015년 | 564명 | 206명 | 1,293명 | 2,063명 | |||
2016년 | 702명 | 172명 | 1,034명 | 1,908명 | |||
2017년 | 893명 | 185명 | 889명 | 1,967명 | |||
2018년 | 956명 | 175명 | 862명 | 1,993명 | |||
2019년 | 1,024명 | 166명 | 900명 | 2,090명 | |||
2020년 | 748명 | 102명 | 593명 | 1,443명 | |||
2021년 | 880명 | 92명 | 613명 | 1,585명 | |||
2022년 | 1,143명 | 162명 | 733명 | 2,036명 | |||
2023년 | 1,325명 | 80명 | 333명 | 107명 | 699명 | 2,544명 | [6]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전라선에서 이용객이 많은 역이지만 전라선의 굴곡 선형과 여객열차의 고질적인 긴 배차간격으로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2004년 전라선의 남원시내 구간이 이설되면서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남원 시내로의 접근성이 확연히 떨어진데다,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까지 겹치면서 이용객의 더 큰 지속적 감소가 예상되기도 했으나 전라선 복선화 공사가 2011년 말에 완공되었으며, 같은 시기인 2011년 KTX 운행이 시작된 이후 이용객이 점점 상승하는 추세.
시가지에서 이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관광수요의 영향인지 이용객은 인구대비 많은 편이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선이 개통된 후 무궁화호 이용객이 어느 정도 KTX로 옮겨지게 됨으로 이용객이 소폭 증가하였다.
5. 연계 교통
가까운 곳에 남원여객 차고지가 있어 남원시 시내버스 노선 대부분이 남원역을 시종점으로 삼는다. 남원역에서 나오면 우측에 자전거 보관소가 있는데 그 앞에 시내버스 정류소가 있다. 또한 하루 4차례 순창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6. 사건 사고
7. 기타
1997년에 방영된 KBS 주말드라마 파랑새는 있다 1화에서 차력사들이 차력쇼를 벌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장면이 촬영된 장소가 구 남원역 광장이다.과거 2004년에 구 남원역 통표로 운행하던 시절에 일본인이 찍은 동영상이 유튜브에 남아있다. 해당 영상
시내와 이 역 사이의 왕정동에 만복사지가 있다.
8. 둘러보기
전라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익산† - - - 동산† - - - - - - 신리† - 죽림온천† - 관촌† - - - 봉천† - - 서도† - 산성† - - - 주생† - 옹정† - 금지† - - - 압록† - - 봉덕† - 괴목† - 개운† - 동운† - - - 성산† - 율촌† - - 덕양† - - - - - ( ) | }}}}}}}}} |
| ||
<colbgcolor=#E95D97> 철도 | 전라선, | 남원역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13번 국도, 15번 국도, 17번 국도, 19번 국도, 21번 국도, 24번 국도 | |
지방도 | 37번 지방도, 60번 지방도, 721번 지방도, 730번 지방도, 737번 지방도, 743번 지방도, 745번 지방도, 751번 지방도, 861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남원시 시내버스, 문화터미널남원,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뱀사골공용버스터미널 |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
[1] 다만 이후에도 디젤 기관차의 고장 등 여러 사정이 있을 때 긴급투입된 사례가 있으며 관광용으로는 1994년에 교외선에서 운행된 사례가 있다[2] 그나마 지금 위치도 선로가 교룡산을 관통하지 않고 동쪽으로 돌아나오기 때문에 최대한 시가지에 붙이려고 노력한 위치라고 봐야 한다. 실제로 2000년대 이후 코레일이 적극적으로 선로를 직선화하면서 역을 허허벌판으로 옮기는 데도 거리낌이 없어진 것을 고려했을 때, 남원역의 지금 위치는 그나마 양호한 편이라고 봐야 한다.[3] 현재 만인의총은 박정희 정권 초기에 시내 외곽인 향교동으로 이전되었다.[4] 일제강점기에는 만인의총 제사를 금지당하고 단소 파괴, 재산 몰수라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아울러 아래에도 설명돼 있지만, 남원역 자체도 옛 남원 시가지와 의도적으로 각도가 틀어지도록 들어서기도 했다.[5]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0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SRT 및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으로, ITX-마음에는 남도해양열차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