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0:56:23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올블랙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8102e>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키위 새 · 키위 과일
역사 역사 전반(와이탕이 조약)
정치 정치 전반 · 뉴질랜드 국왕 · 뉴질랜드 총독 · 뉴질랜드 총리 · 뉴질랜드 의회
외교 외교 전반 · 뉴질랜드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JUSCANZ
경제 경제 전반 · 뉴질랜드 달러
사회 교육(유학 ·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항공(오클랜드 국제공항 ·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 · 웰링턴 국제공항 · 퀸스타운 국제공항 · 더니든 공항 · 에어 뉴질랜드) · 철도(브리토마트 역) · 오클랜드 교통공사(뉴마켓 역 · 서던 라인 · 오네항가 라인 · 웨스턴 라인 · 이스턴 라인 · 파넬 역 · 노던 버스웨이)
국방 뉴질랜드군 · 뉴질랜드 해군 · 뉴질랜드 공군
치안·사법 뉴질랜드 경찰 · 뉴질랜드 관세청 · GCSB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뉴질랜드 크리켓 국가대표팀 · 영어(뉴질랜드 영어) · 마오리어 · 마오리 하카 · 키리 테 카나와 · 피터 잭슨(웨타 디지털 · 반지의 제왕) · Pokarekare ana
관광 관광 · 비자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남섬 · 북섬 · 채텀 제도 · 서던 알프스 산맥(밀포드 사운드) · 아오랑기 쿡 산 · 테와히포우나무
민족 뉴질랜드인 · 마오리족 · 뉴질랜드계 미국인 · 유럽계 뉴질랜드인(영국계 뉴질랜드인 · 폴란드계 뉴질랜드인) · 인도계 뉴질랜드인
기타 뉴질랜드 시민권 }}}}}}}}}
파일:올 블랙스.png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New Zealand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 올 블랙스 (All Blacks)
소속단체 뉴질랜드 럭비 (NZR)
감독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스콧 로버트슨 (Scott Robertson)
주장 스콧 배럿 (Scott Barrett)
최다 출전 샘 화이트락 (Sam Whitelock)153회
최다 득점 댄 카터 (Dan Carter)1,598점
최다 트라이 덕 하울렛 (Doug Howlett)49회
홈 경기장 이든 파크 (Eden Park)
첫 국제경기 vs 호주 (22:3)1903년 8월 15일
최대 승리 vs 나미비아 (143:0)2003년 10월 24일
최대 패배 vs 남아공 (7:35)2023년 8월 25일
럭비 월드컵 10회 진출
우승 3회(1987, 2011, 2015)
준우승 2회(1995, 2023)
세계 랭킹 최고 1위(2021) / 최저 5위(2022)
역대 전적 651전 499승 23무 129패(76.7%)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역대 전적
3.1. 감독별 전적3.2. 주요 대회 성적3.3.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5. 유니폼6. 출전 수당7. 선수단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뉴질랜드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럭비 대표팀이다. 뉴질랜드의 상징인 은색 고사리(Silver Fern) 로고와 더불어 검은색 유니폼을 뜻하는 올 블랙스(All Blacks)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스포츠 국가대표팀으로서, 아예 뉴질랜드의 모든 스포츠 국가대표팀 유니폼 색상과 별칭을 올 블랙으로 통일시켜버릴 정도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1][2] 그 기원인 만큼 아무 수식어 없이 올 블랙스라고 하면 십중팔구 이 팀을 뜻하는 것이다.

경기 시작 전 항상 마오리의 전통 춤 하카를 춘다. 이는 1888년부터 지금까지 유지되어 온 뉴질랜드 대표팀의 전통이다. 하카의 리더는 과거에는 마오리 혈통의 선수만이 했으나, 최근엔 백인 선수도 한다. 이게 은근 기싸움이 되는데, 이걸 보는 상대편은 센터라인을 넘어 가까이 붙거나, 준비해둔 대형을 갖춰 서로 기선제압을 시도한다. 간혹 통가, 사모아같은 폴리네시아 문화권 국가의 선수들은 하카에 맞서 자기 나라의 전통 춤[3]으로 맞불을 놓기도 하는데 이것이 시너지를 일으켜 경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분위기를 잔뜩 고조시킨다.


2. 역사

1884년에 처음 구성되어 호주 원정을 떠난 것이 그들의 첫 행보였다. 이후 1903년 3월에 당시 최고의 전력으로 구성된 호주 대표팀을 22-3으로 물리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1905년 영국 투어 데뷔에서 강호 Hartlepool club팀을 상대로 63-0이라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일대 파란을 일으켰다. 당시 이를 보도한 신문 "데일리 메일"에서 'New Zealand All Backs'[4]라는 헤드라인을 뽑았는데, 활자화 과정에서 "All blacks"로 오타가 나버렸지만, 마침 유니폼이 검은색이였다는 점이 이 실수를 커버하면서 지금의 이름이 제대로 자리잡아 버렸다. 아울러서 이 원정에서 경기전 마오리 하카를 추는 전통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1987년 럭비 월드컵 초대 우승팀이고 그 이후로 한동안 우승이 없다가 2011년, 2015년 연속 우승을 했다. 사실 이 팀을 상대로 역대 단 한번이라도 승리를 거둬본 팀은 단 8팀[5] 뿐이고, 그 중 7개의 단일팀의 상대전적을 봤을 때 모두 뉴질랜드에 크게 열세라는 것을 생각하면[6][7] 월드컵에서의 역대 전적은 상대적으로 아쉬운 편이다. 이를 일컬어 뉴질랜드의 상징인 키위새에 빗대어 '새가슴'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는 모양. 하지만 월드컵을 제외하고 남반구의 세계선수권이라 할 수 있는 럭비 챔피언십과 그 전신인 트라이 네이션스 시리즈에서는 2023년까지 28번 중 20번이나 우승을 독식하고 있다.

이 팀의 강력함은 세계랭킹만 봐도 알 수 있는데, 2003년 랭킹이 집계된 이래 2019년까지는 거의 대부분 기간을 1위에 군림했다. 하지만 2019년 월드컵 우승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1위를 넘겨준 뒤부턴 현재까지 2~3위에 머무르고 있고 2022년엔 잠깐이지만 5위까지 떨어진 적 있다. 현재는 프랑스, 아일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4강 체제를 유지하는 모양. 하여튼 역사적으로 볼 때 종목을 막론하고 단체종목에서 이 정도 포스에 비견할만한 팀은 미국의 남자 농구대표팀 정도나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특히나 2010년대엔 그 위상이 가히 넘사벽이었으며 2014년부터 국가대표팀간 경기 18연승을 기록해 럭비 역사상 최다 연승기록을 수립하였으나[8], 2016년 11월 아일랜드에게 역사상 첫 패배를 하면서 연승 기록이 깨졌다.[9] 기존 기록인 17연승은 이미 뉴질랜드가 두 번, 남아공이 한 번 기록한 바는 있으나, 이번 18연승 기록이 더더욱 주목되었던 이유는 연승도 연승이지만, 그 기간동안 평균 55득점에 실점은 고작 11점으로, 기존의 연승기록과는 차원이 다른 포스를 보여주었다고 평가된다. 그것도 월드컵 조별리그 중 3경기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최상위권 팀들을 상대한 기록이다.
여담으로 16연승도 뉴질랜드가, 15연승도 뉴질랜드가 2회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회 기록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7연승, 15연승은 20세기 기록인걸 생각하면 지금까지 얼마나 독보적인 위치였는지 알 수 있다.

더 무서운 것은 이 팀의 선발기준은 뉴질랜드에서 뛰고 있는 선수에 국한된다는 것. 뉴질랜드보다 더 큰 리그를 운영하고 있는 프랑스나 잉글랜드를 위시한 유럽의 리그에서 아무리 많은 돈을 받으면서 스타대접받고 뛰고 있더라도 대표팀 선발에서는 얄짤없이 제외된다.[10] 심지어 과거에는 외국 리그에 한 번이라도 진출한 경험이 있는 선수까지도 선발에서 제외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하지만 2011년 올블랙스 역대 최다 득점으로 유명한 댄 카터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외국에서 '뛰어 본' 경험이 있는 선수라고 무조건 대표선발에서 배제하는 기준은 다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국 리그에서 "뛰고 있는" 선수는 대표팀 선발에 배제된다는 기준은 여전히 유지 중이다. 2023 럭비 월드컵에서 뉴질랜드가 이 기준을 해제했던 남아공에게 패배한 이후 뉴질랜드도 해당 규정을 폐기해야 한다는 여론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지만, 2024년 스콧 로버트슨 시대에 이르러서도 변함 없이 외국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을 대표팀으로 선발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스콧 로버트슨은 이 제한을 완화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지만, 협회는 완강하게 고집을 꺾지 않고 있다.

이든 파크는 올 블랙스의 고향이자 철벽의 요새로 정평이 나 있다. 1994년 프랑스에 마지막으로 패배한 이후 2024년 8월 17일 이든 파크에서 50연승이라는 럭비 역사상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했다. 참고로 그 다음 기록들은 잉글랜드의 트위크넘 스타디움 22연승, 조지아의 디나모 아레나 21연승, 그 다음은 올 블랙스가 1935년부터 유지 중인 머리필드 스타디움에서 19연승이다.


3. 역대 전적

2024 가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3.1. 감독별 전적

프로 시대(1995년 이후)만 자세히 서술하겠다.
<rowcolor=#fff> 이름 기간 총전적 승률
<colbgcolor=#fff><colcolor=#000>아마추어 시대 1949~1995 228전 165승 11무 52패 72.4%
존 하트 1996~1999 41전 31승 1무 9패 75.6%
웨인 스미스 2000~2001 17전 12승 5패 70.6%
존 미첼 2002~2003 28전 23승 1무 4패 82.1%
그레이엄 헨리 2004~2011 103전 88승 15패 85.4%
스티브 핸슨 2012~2019 107전 93승 4무 10패 86.9%
이안 포스터 2020~2023 46전 32승 2무 12패 69.6%[11]
스콧 로버트슨 2024~ 14전 10승 4패 71.4%
프로 시대 평균 356전 289승 8무 59패 <rowcolor=#000> 81.2%
역대 감독 평균 584전 454승 19무 111패 <rowcolor=#000> 77.7%
이걸 보면 이안 포스터 감독이 왜 욕을 그렇게 먹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임자 스티브 핸슨은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성공적으로 팀을 이끈 감독이었다. 107전을 이끈 그가 10패를 했는데, 3분의 1도 안되는 34전을 이끈 현 감독이 벌써 9패를 했다. 아니나다를까, 웨일스잉글랜드가 그랬던 것처럼, 그러나 그보다 더 뒤늦게 감독 교체를 발표했다. 2023년 3월 1일, 뉴질랜드 럭비는 4~6주 안에 신임 감독을 선임할 것이라 밝혔다. 월드컵을 5개월 남긴 시점인데, 뉴질랜드가 지금 얼마나 절박한지 알 수 있는 대목. 2023년 3월 하순 발표된 내용으로, 2023 럭비 월드컵 이후 현 크루세이더스 감독인 스콧 로버트슨이 4년간 감독직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혀졌다.

3.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000>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우승 조별리그 3전 전승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3위 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호주(6:16)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준우승 조별리그 3전 전승
결승전 vs 남아공(12:15)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4위 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프랑스(31:43)
3/4위전 vs 남아공(18:22)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위 조별리그 4전 전승
4강전 vs 호주(10:22)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프랑스(18:20)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우승 조별리그 4전 전승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우승 조별리그 4전 전승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위 조별리그 3전 전승[12]
4강전 vs 잉글랜드(7:19)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준우승 결승전 vs 남아공(11:12)
2023년 프랑스에 패하기 전에는 조별리그에서 단 한번도 지지 않았다. 2019년 대회에서 태풍으로 무승부 처리가 된 것이 한스럽다. 상대가 이탈리아여서 사실상 승리를 확보한 상태였기 때문에 더더욱.

2023 럭비 월드컵에서 나미비아에 승리하며 월드컵에서 50승을 달성한 첫 팀이 되었다.
트라이 네이션스 (1996 ~ 2011)
<rowcolor=#000>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회 72전 50승 22패 69.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회 72전 29승 1무 42패 40.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회 72전 28승 1무 43패 38.9%
럭비 챔피언십 (2012 ~ )
<rowcolor=#000>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회 67전 53승 2무 12패 79.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회 63전 33승 4무 26패 52.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회 67전 27승 5무 35패 40.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67전 12승 3무 52패 17.9%

3.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108전 62승 4무 42패 <colcolor=green> 57.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79전 126승 8무 45패 70.4%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 41전 30승 4무 7패 73.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64전 48승 1무 15패 7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46전 36승 2무 8패 78.3%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38전 32승 1무 5패 84.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39전 35승 1무 3패 89.7%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37전 34승 3패[13] 91.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32전 30승 2무 93.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7전 17승 100%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8전 8승 100%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7전 7승 10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7전 7승 100%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6전 6승 10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6전 6승 10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전 4승 100%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3전 3승 10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2전 2승 10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1전 1승 10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전 1승 10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전 1승 100%
사실상 남아공만이 유일한 라이벌이지만 역사적으로는 호주와 라이벌 관계가 특히 부각되어 있다. 하지만 라이벌이라고 하기엔 승률이 일방적이다.[14] 호주와의 177전은 특정 두 국가간 경기가 가장 많이 치러진 기록이다.

4. 개인 기록

현역은 볼드체로 표시
<rowcolor=#fff>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샘 화이트락 플랭커 153회[15] 2001~2023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리치 맥코우 플랭커 110회 2004~2015
최다 트라이 덕 하울렛 49회 2000~2007 경기당 0.79개
최다 트라이 (경기당) 줄리안 사비아 경기당 0.85개 2012~2017 총 46회
최다 득점 댄 카터 플라이하프 1,598점[16] 2003~2015 경기당 14.27점
한 경기 최다 득점 사이먼 컬헤인 플라이하프 45점 1995.6.4 vs 일본
한 경기 최다 트라이 마크 엘리스 센터 6개 1995.6.4 vs 일본
최연소 출전 조나 로무 19세 45일 1994.6.26 vs 프랑스
최고령 출전 네드 휴스 40세 123일 1921.8.27 vs 남아공

5. 유니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All_Blacks_1905.jpg파일:external/intheloose.com/All-Blacks-new-jersey.jpg
<rowcolor=#fff> 1905년 첫 유니폼 2015년 유니폼 [17]

별명 그대로 상하의, 양말 모두 검은색이다. 교체 유니폼은 상의가 흰 바탕에 작은 검은색 점이 촘촘히 박혀 있다(멀리서 보면 그냥 흰 옷으로 보인다). 가끔 2007-08시즌처럼 엉뚱한 색의 교체 유니폼이 나오기도 한다.
<rowcolor=#fff> 연도 장비 제작 유니폼 스폰서
1924~1993 캔터베리 -
1994~1999 스타인라거[18]
2000~2011 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
2012~2021 파일:미국 국기.svg AIG
2022~2027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트라드

6. 출전 수당

대표팀에 소집되어 훈련 및 출전하는 선수들은 600만원의 주급을 추가로 지급받는다.

7.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올 블랙스.png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포지션 소속팀 이름 출전 비고
후커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아사포 오우무아
Asafo Aumua
15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코디 테일러
Codie Taylor
93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조지 벨
George Bell
1회
프롭
(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하이랜더스 럭비 로고.png 이선 데그루트
Ethan de Groot
28회 호주 출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타이렐 로맥스
Tyrel Lomax
40회 호주인[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플레처 뉴얼
Fletcher Newell
20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파실리오 토시
Pasilio Tosi
3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오파 투웅가파시
Ofa Tu'ungafasi
63회 통가인[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타마이티 윌리엄스
Tamaiti Williams
14회

(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스콧 배럿
Scott Barrett
76회 주장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샘 대리
Sam Darry
5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조시 로드
Josh Lord
6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패트릭 투이풀로투
Patrick Tuipulotu
46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투포우 바아이
Tupou Vaa'i
34회
백 로우
(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샘 케인
Sam Cane
100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사미페니 피나우
Samipeni Finau
4회 통가인[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아디 사비아
Ardie Savea
90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피터 라카이
Peter Lakai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월래스 시티티
Wallace Sititi
5회 사모아인[4]
스크럼
하프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티제이 페레나라
TJ Perenara
87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캠 로이가드
Cam Roigard
5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코테즈 라티마
Cortez Ratima
8회
플라이
하프

(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보든 배럿
Beauden Barrett
131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데미언 맥켄지
Damian McKenzie
56회
센터
(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조디 배럿
Jordie Barrett
65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데이비드 하빌리
David Havili
28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리코 이오아니
Rieko Ioane
77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Chiefs_(logo).png 앤톤 리너트브라운
Anton Lienert-Brown
79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빌리 프록터
Billy Proctor
1회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케일럽 클라크
Caleb Clarke
25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세부 리스
Sevu Reece
30회 피지인[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마크 텔레아
Mark Tele'a
15회
풀백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윌 조던
Will Jordan
37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루벤 러브
Ruben Love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스티븐 페로페타
Stephen Perofeta
5회
2024 가을 투어 선수단 (10월 16일 기준)
감독: 스콧 로버트슨 (Scott Robertson)
홈 경기장: 이든 파크 (Eden Park)


[1] 출전 자격 : 뉴질랜드 거주[2] 출전 자격 : 뉴질랜드 거주[3] 출전 자격 : 뉴질랜드 거주[4] 출전 자격 : 뉴질랜드 거주[5] 출전 자격 : 뉴질랜드 거주
}}}}}}}}}}}}

8. 둘러보기

파일:SANZAAR logo.png
럭비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Wallabies.png 파일:All blacks logo.png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2023아르헨티나럭비대표팀.png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 예외가 있다면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홈 유니폼이 흰색이다. 그래서 별명도 올 화이트(All White). 짐작가겠지만 이는 럭비대표팀과의 차별화를 노린 것이며, 이쪽도 원정 유니폼은 얄짤없이 올 블랙이다.[2] 뉴질랜드 농구 국가대표팀의 별명 역시 Tall Blacks이다.[3] 사모아는 시바 타우(Siva Tau), 피지는 딤비(Cibi), 통가는 시피 타우(Sipi Tau)[4] 스크럼과 몸빵이 특기인 포워드들마저 빠른 속도로 득점을 하는 백스들처럼 전원이 맹렬하게 라인을 밀어붙였다는 뜻. 한마디로 상대편 입장에서는 그냥 쳐발린 거다.[5] 호주, 남아공, 잉글랜드, 프랑스, 웨일스, 아일랜드, 아르헨티나, 라이언스[6] 심지어 웨일스 대표팀의 마지막 승리는 무려 70년 전인 1953년이다.[7] 하지만 2019년 월드컵 이후 뉴질랜드의 폼이 떨어지면서 2022년은 8승 1무 4패라는 아쉬운 성적으로 마무리했고, 특히 2022년 여름에 3연패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며 이안 포스터 감독에 대한 우려가 팬들 사이에서 불거지기도 했다. 뉴질랜드가 3경기 이상 연패한 것은 1998년 8월 5연패 이후 처음이다.[8] 이후 잉글랜드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18연승에 성공에 동률이 되었다[9] 그것도 이 패배는 미국 럭비협회가 거액을 들여 시카고에서 개최한 대미 럭비 홍보용 쇼케이스 경기에서 일어났다. 이후, 아일랜드는 올블랙스의 천적이 되었는데, 2023 럭비 월드컵 전까지 10전 4승 6패라는 역사상 한 팀에 당한 전무후무한 열세이다.[10] 비근한 예로는 2017년 프랑스스타드 툴루쟁으로 이적하자마자 대표팀에서 제외된 찰리 파뮤이나가 있다.[11] 2023 월드컵 이전까지만 봐도 아일랜드와 남아공에 각각 3패, 호주, 프랑스, 아르헨티나에 1패. 7할에 가까운 승률이지만 8할에 익숙해진 뉴질랜드에겐 꽤나 심각한 결과다.[12] 태풍으로 이탈리아전 무승부 처리[13] 2010년대 이후 져본 적 있는 다른 팀들과 달리 1953년이 마지막 패배다[14] 특히, 2018년 8월 이후 25회 치른 호주와의 매치에서는 20승 1무 4패로 승률 8할이 넘는다.[15] 국제 경기 역대 2위[16] 국제 경기 역대 1위. 페널티킥 281점, 컨버전킥 293점으로 각각 국제경기 역대 1위[17] 왼쪽부터 애런 스미스 (Aaron Smith), 이스라엘 대그 (Israel Dagg), 리치 맥코우 (Richie McCaw), 댄 카터 (Dan Carter)[18] 뉴질랜드 맥주 회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