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0:39:26

대광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2271, #2531a2 20%, #2531a2 80%, #19227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531a2> 기타 세력 <colbgcolor=#fff,#000><colcolor=#2531a2> 발해왕제 | 대광현 | 염부왕 | 연파
정안국 열만화오현명
올야국 오소도오소경
흥료국 대연림
상경임황부 요주 할거 고욕
대발해 고영창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2271, #2531a2 20%, #2531a2 80%, #192271)"
발해 국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2271, #2531a2 20%, #2531a2 80%, #192271);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고왕 문왕 선왕 대인선
대무예 대굉림 대신덕 대광현
}}}}}}}}} ||

<colbgcolor=#2531a2>발해 작위세자(世子)[1]
향직 품계원보(元甫)
봉토백주(白州)
성씨대(大)
광현(光顯)
개명왕계(王繼)
생몰연도? ~ ?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발해거란의 군사에게 격파되자 그 나라 세자인 대광현(大光顯) 등이, 우리나라가 의(義)로써 흥기하였으므로 그 나머지 수만 호를 거느리고 밤낮으로 길을 재촉하여 달려왔습니다. 태조께서는 이들을 더욱 가엾게 여기시어, 영접과 대우가 매우 두터웠고, 성과 이름을 하사하시기까지에 이르렀으며, 또한 그들을 종실의 적(籍)에 붙여서 자기 조상들에 대한 제사[禋祀]를 받들도록 하셨습니다. 그들 중 문무(文武) 참좌(叅佐) 이하에게도, 또한 모두 벼슬과 품계를 넉넉하게 더하셨습니다. 이처럼 멸망한 나라를 보존해 주고 끊어진 제사이어가게 해 주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시니, 능히 먼 곳에 있는 사람까지 와서 복속하게 만든 것입니다.
최승로, 오조치적평(五朝治績評)[2]
대광현은 발해왕족으로 발해 멸망 이후 고려에 수만 호(戶)의 발해유민들을 이끌고 망명온 지도자이다.

2. 생애

당시 기록이 적다 보니 가계에 대한 주장이 분분하다. 발해의 왕자라는 것이 현재 학계의 통설이며 발해국 세자라는 기록이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나와 있다. 다만 대광현이 대인선의 아들이라면 고려사에서 굳이 숨길 이유가 없는데 발해국 세자라고만 하고 있을 뿐이지 대인선의 아들이라고는 일절 말하지 않았다.

그래서 정약용은 "대광현이 꼭 대인선의 아들이라는 법은 없고 이를테면 대인선이 항복한 뒤 동생이 임의로 왕위에 올랐는데 그 동생의 아들일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주장했다. 표현상 주의해야 할 것이, 정약용은 "대광현은 대인선의 동생의 아들이 틀림없다" 라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대광현의 가계를 잘 모르겠는데 예를 들자면 그럴 수도 있지 않겠느냐" 하고 주장한 것이다.

또한 세자, 태자라고 해서 정말로 후계자였는지는 알 수 없는 게 일본귀화한 백제의 일반 왕자도 태자 또는 왕이라고 불린 일이 있고, 또한 대광현이 망명한 고려 초기 왕건의 아들들도 공인된 후계자인 왕무 이외의 왕자들도 태자로 봉해진 바 있으므로[3] 그냥 왕자였을 여지도 있기 때문. 그렇다면 발해의 직제상이라기보단 존칭으로서 세자로 불린 게 된다. 물론 발해 국왕보다 낮은 군왕(제후왕)의 세자로서 세자로 불렸을 가능성 또한 있다.

고려사에는 특이한 기록이 있는데 대광현이 망명하기 전에 개경의 왕궁 뜰에 7척이나 되는 커다란 지렁이가 나와 있었고 사람들은 발해에서 귀순해 올 징조라고 해석했다고 한다. 1척 = 약 30cm로 간주하면 7척은 2.1m 정도. 견훤 설화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에는 지렁이를 토룡으로 여겼다고 한다.
발해국 세자인 대광현(大光顯)이 수만의 무리를 거느리고 투항해오자 왕계(王繼)라는 이름을 내려주고 종실의 족보에 올렸다. 또 특별히 원보(元甫) 벼슬을 주어 백주(白洲)[4]를 지키면서 집안 제사를 지내게 했다. 따라온 막료들에게는 벼슬을 주고 군사들에게는 토지와 집을 차등 있게 내려주었다.
ㅡ 고려사 934년 7월 기사 中
대광현은 발해가 거란의 군주 야율아보기의 침공으로 멸망당하고 11년 뒤인 고려 태조 17년(934년) 7월에 대화균, 대균로, 대원균, 대복모, 신덕, 대심리 등 다수의 관료, 수 만의 병력, 백성들을 이끌고 고려에 투항했다.

왕건이 왕계(王繼)라는 이름을 내려줬는데 발해 왕실의 후사라는 대광현의 입장을 생각하면 계(繼)라는 이름은 의도적으로 준 것이다.

대광현은 왕씨 종친으로 대우받아 고려 왕실의 족보에 이름을 올렸으며 원보(元甫) 품계과 함께 백주(白州)[5] 땅을 식읍으로 받아 발해 왕실의 제사를 받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대광현이 수만 명의 발해 사람들을 데리고 왕건에게 투항한 시점은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의 기록들이 서로 다르다. 고려사는 934년 7월, 고려사절요는 925년 12월, 동국통감은 926년 1월의 일로 기록하고 있다. 공식적인 발해 멸망은 926년 1월로 이에 대다수 한국의 역사학자들은 대광현이 수만 명 혹은 수만 가구의 발해 사람들을 데리고 고려로 투항한 년도는 926년 1월 이후로 보고 있어 동국통감의 기록이 가장 맞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

그의 망명은 발해의 멸망과 관련해서 발해에 발해부흥운동 과정에서 내분이 있었다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앞서 고구려백제 역시 부흥 운동 과정에서 구 직계왕족과 권력을 가진 실권자(검모잠, 귀실복신) 간의 치열한 권력 다툼이 발생한 것처럼 말이다. 이후 후발해가 발해를 계승하지만 정안국이 건국되어 구심점이 여러 군데로 분산되어 버리고 정작 정안국의 임금은 대씨가 아니었기에 발해 구 왕족은 이미 발해 멸망 직후부터 실권을 상당히 잃어버렸던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자치통감에서 왕건이 같이 거란을 치자며 석경당을 부추겼을 때 "발해는 우리와 혼인한 나라입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왕씨 성을 받고 왕실로 편입된 대광현이 고려 왕족과 혼인했을 가능성이 있어보인다. 신성왕태후 김씨와 혼인하고 딸들인 낙랑공주와 왕씨부인[7]경순왕에게 시집 보낸 왕건의 행보를 볼 때 충분히 가능성있는 대목이다.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파일:태조왕건대광현.jpg


[1] 세자라고 적혀있긴 하지만 발해에서는 직제상 당연히 태자를 사용했다. 다만 그가 확실히 말왕 인선왕의 태자였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에 세자를 자칭했거나 높여서 그렇게 불린 것일 수도 있다. 혹은 제후왕(군왕)의 세자였을 수도 있고 귀부한 시점이 발해가 이미 요나라의 침공으로 멸망한 뒤이기 때문에 관제가 격하된 번국의 세자였을 가능성 또한 있다.[2] 최승로의 시무 28조의 서문격이라고 할 수 있는 글로, 고려사 최승로열전과 동문선에도 실려 있다. 성종 이전 5명의 군주의 치적을 유교적인 입장에서 평가한 글이다.[3] 왕무는 정윤(正胤)으로 책봉하여 후계자로 구분했다.[4] 현 황해남도 배천군[5] 지금의 황해도 배천군. 2010년 태씨 종친회에서 자체적으로 협계, 영순 두 본관을 합본하기로 결정하면서 새로 선택한 본관이 백주였다.[6] 다만 여기에 대해서 일부에서는 고려사절요 일각의 서술은, 고려 멸망 이후 발해에 대한 간략한 요약 그 자체로 해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절요에 925년 12월 나오는 대광현 이래의 인물들은 이후에 발해로 여러 차에 걸쳐 귀순한 인물들을 모아서 서술했다는 것으로 추정[7] 왕씨부인은 박지윤(朴遲胤)의 딸인 후궁 성무부인 박씨(聖茂夫人 朴氏)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