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colbgcolor=#0742a4><colcolor=#ffffff>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大邱가톨릭大學校病院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 |
국가 |
|
개원 | 1980년 8월 12일 |
의료원장 | 노광수(그레고리오) 신부[대구대교구] |
병원장 | 김윤영 |
행정처장 | 김병수(루카) 신부[대구대교구] |
원목실장 | 황대환(바오로) 신부[대구대교구]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17길 33(대명동) |
종류 |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
병상 | 874병상[4] |
웹사이트 | |
<nopad> |
1. 개요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홍보영상 |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 더불어서 대구에 있는 5개의 상급종합병원 중 하나이다.
자병원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이 있다.
2. 진료 과목
3. 층별안내
3.1. R[라파엘관]
8F | |
리모델링 예정 | |
7F | |
리모델링 예정 | |
6F | |
부속실, 전산정보부, IRB, 물류자산팀 | |
5F | |
신경외과집중치료실[NSICU], 감사실, 총무팀, 인사노무팀, 재무팀, 감염관리팀, 고객경험팀, PI팀, 심사평가팀, 수련행정팀, 건축팀, 기획팀, 경영팀, 홍보팀, 진료협력팀(진료예약파트) | |
3F | |
36병동[R361~364(응급센터 입원병동)], 38병동[R385~392(정신건강의학과)], 간호처, 의료정보팀, 정보보안팀, 진료지원행정부 | |
2F | |
원무부(접수·수납), 성형외과, 피부과, 치과, 정신건강의학과, 인공신장실, 대구가톨릭WEE센터, 영상의학과 판독실, 임플란트전문진료센터, 노동조합사무실 | |
1F | |
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센터 보호자대기실, 마취통증의학과, 컴퓨터단층영상센터(CT촬영), 초음파센터, 인터벤션센터 | |
B1F | |
핵의학과(PET-CT센터) |
3.2. S[스텔라관]
11F | |
114병동[S1141~1151(신경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뇌졸중집중치료실, 수면다원검사실, 비디오-뇌파검사실 | |
10F | |
104병동[S1041~1054(소아청소년과)] | |
9F | |
94병동[S941~955(산부인과, 소화기내과)] | |
8F | |
84병동[S841~853(소화기내과, 감염내과, 호흡기내과) | |
7F | |
74병동[S741~751(순환기내과, 내분비대사내과)], 심혈관촬영실 | |
6F | |
64병동[S641~650(신경외과)], 66병동[S661~668(신장내과)] | |
5F | |
중앙수술실, 기관지내시경실, 보호자면담실 | |
3F | |
신경과, 신경외과, 척추클리닉, 신경생리검사실, 내분비대사내과, 신장내과 ,심혈관센터[순환기내과, 흉부외과(심장),임상연구실], 심혈관검사실, 원무부(산재 · 자보, 접수 · 수납, 원무행정팀), 국제협력팀, 연결통로[암센터·장기이식센터] | |
2F | |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호흡기센터[호흡기내과, 흉부외과(폐/식도)], 감염내과, 안내데스크, 원무부(접수·수납, 제증명발급), 중앙검사예약, 연결통로[암센터·장기이식센터], 남문주차장 | |
1F | |
영상의학과 접수, 일반촬영실, 자기공명영상센터(MRI), 외래채혈실, 심전도검사실 | |
B1F | |
방사선종양학과, 연구행정팀, 약무팀, 사회사업팀, 방재센터, 편의시설, 푸드홀(식당), iM뱅크(구.대구은행) | |
B2F | |
시설팀(기계, 영선, 전기) |
3.3. T[데레사관]
14F | |
140병동 [T1401~1411(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142병동[T1421~1426(호스피스병동)] | |
13F | |
130병동[T1301~1309(비뇨의학과, 안과, 성형외과)], 132병동[VIP] | |
12F | |
120병동[T1201~1211(외과계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122병동[T1221~1233(간이식)] | |
11F | |
110병동[T1101~1113(호흡기내과)], 112병동[T1121~1130(흉부외과, 이비인후과)] | |
10F | |
내과계중환자실[MICU], 외과계중환자실[SICU] | |
9F | |
92병동[T921~925(산부인과)], 고위험임산부집중치료실, 분만실,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NICU] | |
8F | |
80병동[T801~811(정형외과)], 82병동[T821~828(정형외과)] | |
7F | |
70병동[T701~712(재활의학과)], 72병동[T721~730(내과계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 |
6F | |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 |
5F | |
센터수술실, 센터집중치료실 | |
3F | |
재활센터, 세미나실, 데레사홀 | |
2F | |
류마티스내과, 정형외과, 임상연구실, 영상의학과(일반촬영실), 원무부(접수·수납), 안내 | |
1F | |
재활의학과, 진료협력팀, 외래약국, 주사실, 운동교육실, 전기진단실 | |
B1F | |
예방관리부·영양집중지원팀, 병동약국, 성당, 원목실, 편의점 GS25, 직원휴게실 | |
B2F | |
중앙공급실, 전기실, 기계실 |
3.4. P[바오로관]
6F | |
교직원식당 | |
5F | |
가정의학과, 건강증진센터[종합검진센터, 일반검진센터(공단검진)] | |
3F | |
산부인과(산과 · 부인과), 비뇨의학과, 안과, 연결통로(S[스텔라]관) | |
2F | |
소화기내시경센터, 소화기내과[소화기센터, 간센터], 소화기외과[간담췌, 위장관, 대장], 연결통로(S[스텔라]관) | |
1F | |
간담췌병원, 장기이식센터, 혈액종양내과, 외과[혈관외과·소아외과·유방&갑상선외과], 혈관기능검사실, 다학제진료실, 로봇수술상담실, 암센터교육실, 안내데스크, 원무부(접수·수납) | |
B1F | |
영양팀 | |
B2F - B4F | |
주차장 |
4. 대중교통
4.1. 시내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02558·02559) ||
순환 | |
간선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두류수영장(00629·05007)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
간선 | |
지선 | |
고령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4.2. 도시철도 및 셔틀버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지랑역 하차 후 326번, 623번[5], 셔틀버스[6] 환승
5. 사건 사고
5.1. 권정생 작가 의료 과실 사망 사고
- 2007년 5월 17일 한국의 동화 작가인 권정생 작가가 이 병원에서 의료과실로 사망하였다. 기존에는 사인이 '결핵'이었지만, 권정생 작가의 동생은 '결핵'으로 사망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계속 '의료과실'로 사망했음을 주장하였다. 권정생 작가가 사망한 지 10년이 지난 2017년 대구지방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의료과실임이 명백히 입증되었다.
5.2. 신생아 학대 사건
2025년 4월 1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신생아 사진을 개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학대 마렵다.‘, ‘분조장 올라온다.’, ‘낙상 마렵다.’와 같은 글을 올렸다.#해당 간호사의 인스타그램 스토리가 올라온 후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학대를 당한 아기가 최소 6명이 된다는 이야기가 제기되었다. 이후 다른 3명의 간호사가 각자 본인의 SNS에 신생아 사진과 함께 '진짜 성질 드럽네 OO처럼', '우는거 안 달래줬드만 조용해서 보니까 ㅇㅈㄹ', '악지리는거 보니까 낼 퇴원해도 되겠구만 왜 왔는지.. 오자마자 열받아서 억제시킴', '성악설이 맞는 이유 딴 애기들 다 조용한데 혼자 안아달라고 출근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내내 보챈다', '고마 울어라' 등의 글을 올린 것이 추가 확인됐다. #
신생아의 부모는 해당 간호사를 아동학대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고,[7] # 경찰은 마찬가지로 SNS에 부적절한 언행이 담긴 글을 올린 간호사 3명 이상을 범죄 방조ꞏ공모 여부로 조사중이다. 또한 병원 측은 해당 간호사의 사직서를 수리하지 않고 자격 박탈, 재취업 제한, 퇴직금 미지급 등의 징계를 검토하고 있다.
4월 2일 대한간호협회는 유감 성명문을 발표하였다.#
신생아 학대 논란에 병원 측은 병원장이 직접 2025년 4월 4일 입장문을 내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대구경찰청은 대구 신생아 학대 간호사의 휴대전화·집을 압수수색하고 디지털 포렌식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병원에 대해서는 수사관련 전적으로 협조하고 있어 별도의 압수수색을 하지 않고 있으며 추가 혐의자와 피해자에 대해서도 조사중이다.#
4월 8일 신생아를 학대한 간호사 2명이 추가 확인됐다. # #
간호사 2명을 추가로 특정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피해를 본 신생아 가족은 심적 고통을 호소했다.#
4월 11일 대구가톨릭대병원은 "논란이 된 간호사는 교직원윤리위원회와 직원인사위원회 등을 통해 지난 4일자로 최고 중징계인 '파면' 조치됐다"고 밝혔다. 병원 측 관계자는 "이번 간호사의 SNS 사건으로 인해 본 병원은 환자와의 신뢰에 있어 산정할 수 없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에 병원은 이 사건을 엄중히 받아들이며 보건당국과 경찰의 조사에 따라 필요한 법률적 후속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파면이라는 중징계를 받으면 퇴직금 등 금전적 손해가 큰 것으로 알고 있다. 간호사 자격 박탈 등은 병원 측에서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4월 14일 피해 신생아 가족은 경찰에 간호사 2명을 모욕 등 혐의로 추가 고소했다. 병원이 논란 이후 자체 조사를 통해 추가로 밝힌 인물들이다. #
6. 기타
- 대학과 마찬가지로 가톨릭 계열이다. 이에 대해서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참조. 그래서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발생 직후였던 2020년 2월 19일 오전에는 대구파티마병원[8]과 함께 신천지가 안 와서 폐쇄되지 않았단 추측이 있었다. #다만 이 추측이 나온게 오전에 아직 안 닫혔을 때 나왔고, 오후에 닫혀서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있는데다, 같은 교구의 천주성삼병원은 의심환자가 왔으나 신천지 신도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당시만 해도 환자 중에는 없었다지만 정작 간호사 중에 신천지 신도가 잠입해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9] 그리고 이 병원에서 2월 18일 어머니에게 간을 기증한 여성이 신천지 신도였고, 2월 22일에 확진받은 데 이어, 간호사와 접촉한 전공의 1명도 같은 날 확진받았다. #1 #2 #3
7. 관련 문서
[대구대교구] 대구대교구 소속[대구대교구] 대구대교구 소속[대구대교구] 대구대교구 소속[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5] 이상 2번 출구[6] 4번 출구[7] 해당 사건에 의해 피해를 입은 아이의 아버지가 종합격투기 선수인 황영진이다. 자신의 아이가 이런 일을 당했단 사실을 파악하고 바로 개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론화했다.[8] 성 베네딕토 수녀회 대구관구에서 운영한다. 마찬가지로 가톨릭 계열.[9] 해당 간호사가 코로나19를 확진받은 후에야 자백했다. #1 #2[10]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은 동수는 지키지만 층수는 지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