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업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Shiraz[1] |
1. 개요
대우자동차가 1997년 하반기에 출시했어야 할 플래그십 대형 세단으로, 실제 판매가 성사됐을 시 국내 최초 8기통 엔진 장착 타이틀과 국내 최대 규모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기록됐을 것이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대우자동차 연구팀의 노력과는 달리, 경영진의 쌍용자동차 인수라는 엉뚱한 결과로 인해 결국 개발되지 못하고 영원히 사진으로만 남게 됐다. 단 개발 폐기는 아니었으며, 차후에 임원과 개발진들이 개발을 재개했지만 1999년 대우 사태로 인해 폐기된다.2. 상세
차량의 후면부 |
1997년 6월호 모터트렌드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오디오, 기어위치, 시간, 마일리지, 전화번호가 표시되는 LCD 계기판과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 PC, 프린터, 팩스를 사용할 수 있는 뒷좌석 테이블을 적용하고, 안전장치는 차간거리 경보 시스템, 지능형 브레이크, 측면 에어백을 사용했다고 밝혔다.[3][4]
1999년 초를 목표로 경쟁 차종들[5]보다 제원을 늘리면서 출시 직전 단계까지 갔지만, 1997년 12월에 대우자동차가 쌍용자동차를 인수하고 체어맨을 기함으로 선택하면서 베이퍼웨어가 됐다. 당시 이미 체어맨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상태였기에 굳이 중복되는 라인업을 투입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인 듯 하다.
이후 대우 P100 프로젝트로 양산 시도를 통해 살려보려는 최후의 시도를 했으나 회사의 경영 여건이 더 나빠지면서 프로젝트가 사장됐다.
2.1. 제원
당시 자료에 의한 쉬라츠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컨셉트명 | 쉬라츠(Shiraz)[6] |
엔진 | I6[7] ~V8[8] |
배기량 | 2500[9] ~ 4000cc[10] |
연료 | 휘발유 |
구동방식 | 앞 엔진-앞바퀴굴림(FF) |
무게 | 2,000kg |
휠베이스 | 2,900mm |
길이 | 5,007mm |
너비 | 1,873mm |
높이 | 1,446mm |
인승 | 5인승 |
여담으로 쉬라츠의 제원은 2021년 출시한 기아 K8과 비슷하다.
3. 기타
- 사진을 보면 1990년대 후반 당시 대우자동차 승용 라인업이었던 레간자, 누비라, 라노스 등과 유사성이 보이며 특히 상위급인 레간자와 많이 비슷해 보이는데, 이는 대우자동차가 디자인 기획 단계에서부터 나름 패밀리룩을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전면부 디자인은 당시 대우에서 패밀리룩의 중심으로 마구 밀던 3분할 그릴을 집어넣으려고 별의별 고생을 다 한 티가 팍팍 난다. 그런대로 제법 잘 어울리는 편. 여담으로 쉬라츠의 휠 디자인은 이후 1999년에 출시된 누비라 2에 적용됐다.
- 만일 출시됐다면 4000cc[11]의 메리트와 독자개발로 만들어지는 대우의 첫 고급 대형 세단으로서 높아질 브랜드 가치를 내세울 수 있는 기회였지만, 출시 무산[12]으로 1990년대부터 고전하던 대우자동차의 대형 세단의 계보는 스테이츠맨[13], 베리타스[14]로 이어지며 실패하는 신세를 면치 못했다.[15] 로얄시리즈 시절의 전성기를 끝으로 지금까지 스테이츠맨, 베리타스가 대한민국에서 연전연패했던 이유가 쉬라츠의 저주라는 유머가 있을 정도였다. 베리타스를 마지막으로 대우 계열 대형 세단 계보는 끝이 났으나, 이후 출시된 한 체급 아래의 GM대우 알페온 역시 현대기아에 밀리는건 여전했다.[16] 그리고 GM대우 브랜드는 2011년 폐지되며 완전한 종말을 맞았다.
- 출시의 영향으로 쌍용자동차와의 M&A 계획 역시 없었을 동시에 쌍용자동차는 삼성과 합쳤을 수도 있거나, 외국 업체에 팔렸을 수도 있다.[17] 더불어 대우그룹 자체도 무리한 쌍용차 인수로 인해 금전적 손실을 줄이며, 그룹의 수명을 늘리고 부도를 회피할 수 있는 기회로 될 지 모르는 일이다. 어차피 지난 일이지만, 대우가 무리하게 쌍용자동차를 사들이는 바람에 둘 다 신세를 망쳤다.[18]
- 쉬라츠의 컨셉트카는 '97년 제네바 모터쇼와 서울 모터쇼 이후 같은 해 연말에 영국 워딩 테크니컬 센터로 다시 운반됐으나 곰팡이가 심하게 슬어있어 폐차됐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승용 · SUV · RV · 승합 · 경상용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1960년대 | 새나라자동차 새나라 · 신진 신성호 · 신진 코로나 · 신진 퍼블리카 · 신진 크라운 · 신진 랜드 크루저 픽업 · 신진 에이스(승합 모델) |
1970년대 | 시보레 1700 · GMK 레코드(로얄 시리즈) · GMK 캬라반 · GMK 카미나 · 새한 제미니 | ||
1980년대 | 새한 맵시 · 맵시나 · 르망 · 임페리얼 · 바네트(코치 모델) | ||
1990년대 | 티코 · 마티즈 · 라노스 · 에스페로 · 프린스 · 씨에로 · 누비라 · 레간자 · 매그너스 · 브로엄/수퍼살롱 · 아카디아 · | ||
2000년대 | 칼로스 · GM대우 젠트라 · GM대우 라세티 · GM대우 토스카 · GM대우 스테이츠맨 · GM대우 베리타스 · GM대우 G2X · GM대우 윈스톰 · GM대우 윈스톰 맥스 · GM대우 레조 | ||
2010년대 | (GM대우) 알페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버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마이크로버스 · 신진 FB100LK · 신진 RC420TP | |
1970년대 | GMK BL 시리즈 · GMK BD 시리즈 · 새한 BU 시리즈 · 새한 BF 시리즈필리핀 내수용 · 새한 BR101 | ||
1980년대 | 새한 BV 시리즈 · BS 시리즈국내미수입 · 로얄 · BH 시리즈 | ||
1990년대 | BM090 | ||
2000년대 | 자일대우 BC 시리즈베트남 내수용, 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FX 시리즈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BX212국내미수입 | ||
2010년대 | 자일대우 레스타국내미수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트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에이스(트럭) | |
1970년대 | 새한 엘프 · 새한 대형트럭 | ||
1980년대 | 바네트(트럭) | ||
1990년대 | 차세대트럭 · | ||
2000년대 | 타타대우 노부스 · 타타대우 프리마 | ||
2020년대 | 타타대우 더쎈 · 타타대우 구쎈 · 타타대우 맥쎈 | }}}}}}}}} | |
회색 글씨: 단종차량 / |
[1] 이란의 전설적인 와인 이름인 쉬라츠에서 가져온 이름이다.[2] 사진만이 공개된 당시에는 플랫폼도 독자개발했다는 설도 PC통신을 통해 퍼져나간 바 있었다. 물론 이후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자동차생활 같은 전문 매거진들과 언론의 보도들을 통해 이러한 설은 일축됐다.[3] 이러한 편의장비나 안전장치는 1997년 또는 출시 예정 연도인 1999년에 나왔다면 자동차계의 혁신이 될 수 있었지만, 개발하면서 발생한 많은 비용과 시간은 대우자동차가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것만 개발하고 나머지들은 폐기할 가능성이 있었다.[4] 현재는 해당 기능들 대부분이 많은 양산차에 적용되고 있다.[5] 현대 다이너스티, 기아 엔터프라이즈, 삼성 PX 등.[6] 고급 적포도주의 종류 중 하나이다.[7] 대우 XK 엔진으로 추정하며, 2500cc에 해당한다.[8] 엔진의 출처는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대우자동차에서 독자개발했다는 설이 아직까진 정설이지만, 대우 아카디아의 V6 혼다 엔진을 대우자동차가 개량했다는 설 또한 있다.[9] 초기 매그너스에 탑재된 대우 XK 엔진으로 추정된다.[10] 대우자동차가 새롭게 개발했던 배기량이며, V8 엔진에 해당된다.[11] 에쿠스보다 2년 먼저 국내 최초로 V8 승용차 타이틀 및 최대 배기량 타이틀을 거머쥐었을 것이다.[12] 당시 많은 자동차 팬들이 안타까워했다는 일화가 있다.[13] 다만, 이쪽은 핸들 위치만 왼쪽으로 옮기고 그 외 사항은 좌핸들에 최적화시키지 않은 막장급의 현지화도 스테이츠맨이 망하는 데 한 몫 했다.[14] 이쪽은 차는 좋은데 당시 고급화 모델을 출시하기에는 GM대우의 브랜드 이미지가 그다지 좋지 않아 망해버렸다. 물론 스테이츠맨만큼 막장은 아니었으나 윈도우 스위치를 센터 중앙에 배치하거나, DMB 내비게이션 옵션이 꽤나 비쌌음에도 후방카메라와 터치스크린 등이 전무한 점 등 나사 빠진 구석 또한 없진 않았다.[15] 오죽했으면 이 차량이 출시됐다면 과장을 보태서 대우그룹이 IMF 사태를 견딜 수 있었다는 예측이 나올 정도이다.[16] 물론 이쪽은 그나마 동급 모델인 SM7의 판매량을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긴 했으나..[17] 만약 쌍용자동차를 독일의 벤츠가 인수해서 합작 업체로 출범했으면 상용차 생산은 현대, 기아, 대우처럼 지속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쌍용이 벤츠로 인수됐다면 쌍용은 현대, 기아, 대우를 대체할 차종도 나왔을 것이고 거기다가 SUV의 일변도에서 탈피했을 수도 있다.[18] 대우는 쉬라츠 계획 취소 이후 워크아웃으로 해체했다면, 쌍용자동차는 폭스바겐은 물론 GM과도 손을잡은 중국 상하이자동차의 기술 유출과 투자 부재, 법정관리로 인한 부도 위기에서 마힌드라에 인수된 후 모기업의 적극 투자와 티볼리의 흥행으로 장장 15년에 걸친 긴 터널에서 벗어났으나, 2019년 또다시 존폐위기를 맞은 상황이었다가 2022년 다시 KG그룹을 새 주인으로 맞이했으며, 새로 출시된 토레스가 초반에 좋은 반응을 얻었고 2023년 3월 22일을 기해 KG모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