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41e3a><tablebgcolor=#c41e3a>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25 시즌 40인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66,#9999ff | <colcolor=#ffef00> 투수 |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41e3a,#e03b57> 12 페디 · 32 마츠 · 36 맥그리비 · 38 롬IL-60 · 39 마이콜라스 · 47 킹 · 52 리베라토어 · 53 팔란테 · 54 그레이 · 55 오브라이언 · 56 헬슬리 · 57 톰슨 · 58 로이크로프트 · 59 로메로 · 61 로버스 · 62 레이히 · 64 페르난데스 · 66 클로펜스틴 · 67 그라세포 · 68 루토스 · # 무뇨스 |
포수 | 40 콘트레라스 · 43 파헤스 · 48 에레라 | |
내야수 | 0 윈 · 15 페르민 · 16 고먼 · 25 수제이시 · 26 베이커 · 28 아레나도 | |
외야수 | 11 스캇 2세 · 18 워커 · 21 눗바 · 33 도노반 · 41 벌레슨 · 63 시아니 | |
''' 올리버 마몰''' 다니엘 데스칼소 · 존 제이 더스티 블레이크 훌리오 랑헬 · 딘 키케퍼 브랜트 브라운 · 브랜던 앨런 윌리 맥기 패트릭 엘킨스 스터비 클랩 · 론 워너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라이언 헬슬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4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22 | 2024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세이브왕 | ||||
데이비드 베드나 (피츠버그 파이리츠) 카밀로 도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라이언 헬슬리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2025년 수상자 |
2022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PHI | OF | SEA | OF | HOU | OF | ||||||
NYM | SS | CLE | 2B | ||||||||
S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D | 1B ||
LAA | DH | LAD | C | |||
CHW | SP | ATL | SP | PHI | SP | NYM | SP | LAD | SP |
STL | RP | HOU | RP |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56번 | ||||
그렉 홀랜드 (2018) | → | 라이언 헬슬리 (2019~) | → | 현역 |
<colbgcolor=#c41e3a><colcolor=#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o.56 | |
라이언 헬슬리 Ryan Helsley | |
본명 | 라이언 달튼 헬슬리 Ryan Dalton Helsley |
출생 | 1994년 7월 18일 ([age(1994-07-18)]세) |
오클라호마 주 탈레콰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세쿼야 고등학교 - 노스이스턴 주립대학교 |
신체 | 188cm / 106kg |
포지션 | 마무리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5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1번, STL) |
소속팀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9~) |
계약 | Arbitration / $3,800,000 |
연봉 | 2024 / $3,800,000 |
등장곡 | AC/DC - Hells Bells[1] |
기록 | 무결점 이닝 (2022.9.16.[2]) |
SNS |
[clearfix]
1. 개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 마무리 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라이언 헬슬리/선수 경력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피칭 스타일
평균 99.8mph, 최고 104.2mph[3]의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파이어볼러로, 팀 동료였던 조던 힉스와 함께 리그에서 가장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 가운데 한 명이다. 패스트볼의 회전수도 2,551rpm으로 리그 최고 수준으로, 종합하자면 구위 자체는 현 시점 빅리그에서도 독보적인 최상위 수준이다.이런 스타일의 불펜 투수들이 대개 강력한 패스트볼과 이를 받쳐주는 변화구 하나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한데, 헬슬리는 본래 선발 투수를 준비하던 선수인 만큼 더 다양한 구종을 구사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또한 선발투수 출신이기에 마무리 투수 치고 좋은 스태미나도 보유하고 있다. 평균 90mph, 최고 95mph의 슬라이더와 평속 80mph의 커브, 88~90mph의 체인지업을 구사하는데, 그 중에서도 슬라이더가 특히 위력적이다. 포텐이 터지기 전만 해도 구종가치는 슬라이더가 더 높았을 정도. 커브의 완성도도 쓸만한 수준이나, 체인지업은 그렇게 유용하지 않아서 2022 시즌에는 거의 구사하지 않고 있다. 2024시즌 기준으로는 사실상 포심-슬라이더 투피치에 커브를 가끔 섞어 보여주며 케빈 진켈의 상위호환 스타일의 피칭을 보여주고 있다.
단점은 역시 제구. 마이너 시절부터 꼽혀온 문제점으로 메이저 데뷔 후에도 통산 BB/9이 4를 넘고 부진했던 2020년과 2021년에는 5를 넘을 정도로 제구가 심하게 흔들렸다. 이전엔 기본적으로 멘탈이 강한 편이 아니었고, 이로 인해 볼카운트가 쉽게 몰리고, 몰린 상황에서 패스트볼을 한복판에 집어넣다가 장타를 맞는 일도 많은 편. 뛰어난 구위에 비해 탈삼진이 생각보다 적은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2022 시즌에는 멘탈 문제가 상당히 개선된 모습을 보이며, 플레이 스타일 역시 구위를 믿고 존에 공을 적극적으로 우겨넣는 패턴으로 바꾼 결과 제구가 잡혔다. BB/9은 3 아래로 내려왔고, 장타 허용도 크게 감소했으며, 삼진은 대폭 늘어난 데다가 피칭에 자신감을 얻다 보니 구속 역시 증가하였다. 그러면서 거의 언터쳐블 수준의 리그 정상급 마무리로 활약하는 중.
또다른 장점은 홈런 허용이 매우 적다는 점. 2023-2024 2년 동안 103이닝을 던지면서 고작 4개를 허용했다.
60° 팔각도의 극단적인 오버핸드 투구폼을 가지고 있다. 100마일에 가까운 평속과 2550rpm의 포심을 90%의 스핀 효율성으로 던지기에 수직 무브먼트는 최상위권이지만 연도가 지날수록 더욱 공략하기 쉬운 구종이 되고 있다.
2022년에는 팔각도가 53°, 릴리즈 포인트가 6피트였으나 2023년부터 팔각도를 60°로 올렸고 이에 릴리즈 포인트도 6피트 1인치로 높아졌다. 15°의 포심 Deviation을 잡기 위해 팔각도를 올림으로서 스핀 효율성을 올려 수직 무브먼트를 극대화하려는 시도로 보이는데, 실제로 스핀 효율성이 2022년 86%에서 23, 24년 모두 90%로 올랐다. 회전수가 2023년에는 2650대였기에 실제로 무브먼트는 0.3인치 증가했으나, 릴리즈 포인트가 올라가서 수직 무브먼트의 효과를 상쇄해 버렸다.[4] 게다가 2024년에는 어떤 일인지 회전수도 2550대로 급감해 수직 무브먼트는 2022년보다 줄은데다[5] 높아진 릴리즈 포인트는 유지되었고, 없다시피한 수평 무브먼트와 헬슬리에 어느정도 익숙해진 타자들의 대응으로 xwOBA가 .240에서 .338로 크게 늘었다. 비슷한 급의 불펜들과 xWOBA를 통해 포심의 구위를 비교하면[6] 의외로 효과적이지 못한 구종임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헬슬리를 최고의 불펜으로 만들어 주는 구종은 슬라이더로, 90마일의 평속, 포심과 거의 평행한 무브먼트로 스트라이크존 아래에 꽃히기에 포심을 대비하는 타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위력적인 구위를 가지고 있다. 2024년 슬라이더의 xwOBA는 무려 .208로 헬슬리의 세이브 1위를 가져다 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술한 요소들로 100마일의 불펜으로서는 드물게 슬라이더의 구사비율(48%)이 포심(46%)보다 높은 투수이다.
충격적인 포심 구위를 보여주었던 2022년에 비하면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고 있기에[7] 포심은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올스타 2회 (2022, 2024) 내셔널 리그 세이브 1위 (2024) All-MLB 세컨드 팀 (2022) |
5. 여담
- 2022년 올스타전에서 8회에 등판해 103마일의 구속을 기록하여 2015년 아롤디스 채프먼과 유이하게 올스타전에서 102마일의 구속을 기록한 투수가 되었다.
6. 둘러보기
2024년 4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태너 스캇 (마이애미 말린스) | → | 라이언 헬슬리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로베르트 수아레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024년 6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로베르트 수아레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라이언 헬슬리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태너 스캇 (마이애미 말린스) |
2024년 9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구원 투수 상 | ||||
레이셀 이글레시아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라이언 헬슬리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2025년 4월 수상자 |
[1] 트레버 호프먼의 등장곡. 다만 헬슬리 본인은 이 곡이 호프먼의 등장곡인지 모르고 있었다고 한다. 반면 호프먼은 헬슬리가 멋지고 옛날 현역 시절 생각이 난다며 헬슬리를 응원해 주었다.[2] 카일 파머, 제이크 프랠리, 도노반 솔라노[3] 2022년 9월 27일 밀워키 브루어스전 로우디 텔레즈 상대로 기록.[4] 라이징 패스트볼의 효과는 단순히 수직 무브먼트 뿐만이 아닌 상대적으로 낮은 릴리즈 포인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탄착군으로 공이 움직여야 발휘된다.[5] 2022년부터 인치 단위로 수직 무브먼트 18.1->18.4->17.5[6] xwOBA 커비 예이츠 .220 메이슨 밀러 .252 로버트 수아레스 .267 태너 스캇 .273[7] 2022년엔 K/9이 13.08이였지만 2024년에는 10.72. 다만 어디까지나 2022년에 비하면 아쉽다는 이야기. 2023, 2024년에도 충분히 S급 불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