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2:13:11

아롤디스 채프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 시즌 40인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colcolor=#fdb827>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fdb827,#d89301> 23 켈러 · 24 오비에도IL-60 · 26 팔터 · 27 M.곤잘레스IL-15 · 28 플레밍 · 35 홀더맨 · 36 모레타IL-60 · 37 존스 · 43 보루키IL-15 · 45 채프먼 · 48 오티즈 · 50 머진스키40인 · 51 베드나 · 53 버로우스40인 · 54 페레스 · 59 콘트레라스 · 61 에르난데스40인 · 62 니콜라스40인 · 63 스트래튼 · 64 프리스터40인 · 67 애시크래프트40인 · 72 라이언
포수 6 그랜달IL-10 · 14 바트 · 25 로드리게스IL-60 · 32 데이비스 · 55 딜레이IL-10
내야수 2 · 3 배지환40인 · 13 헤이스 · 15 크루즈 · 19 트리올로 · 25 윌리엄스 · 31 페게로40인 · 39 N.곤잘레스40인 · 44 텔레즈 · 71 정쭝저40인
외야수 10 레이놀즈 · 18 테일러 · 38 올리바레스 · 65 수윈스키 · 77 팔라시오스40인
지명타자 22 맥커친
'''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셸턴''' 파일:미국 국기.svg 돈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카 마린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헤인즈 파일:미국 국기.svg 타릭 브록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라벨로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아롤디스 채프먼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CHC_2016_WSChampion.png파일:텍사스 레인저스 2023 월드 시리즈 우승 엠블럼.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16 2023

파일:2012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3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4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5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2 2013 2014 2015
2018 2019 202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마리아노 리베라 상
에드윈 디아즈
(시애틀 매리너스)
아롤디스 채프먼
(뉴욕 양키스)
리암 헨드릭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파일:MLB 로고.svg
2019 ALL-MLB SECOND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SH | OF

ATL | OF

BOS | OF

OAK | SS

HOU | 2B

HOU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프리먼}}}
ATL | 1B ||

HOU | DH

MIL | C

ARI/HOU | SP

LAD | SP

STL | SP

TB | SP

ATL | SP

NYY | RP

OAK | RP
}}} ||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Guinness World Records
Fastest baseball pitch (male)
(가장 빠른 투구 (남자))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아롤디스 채프먼
105.1MPH(169.14km/h)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펫코 파크
기네스 등재 기록 링크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4번
홀버트 카브레라
(2008)
<colcolor=#ffffff> 아롤디스 채프먼
(2010~2015)
케일럽 코담
(2016)
뉴욕 양키스 등번호 54번
조 에스파다
(2015)
<colbgcolor=#c4ced4> 아롤디스 채프먼
(2016)
리처드 블라이어
(2016)
시카고 컵스 등번호 54번
닐 라미레즈
(2014~2016)
아롤디스 채프먼
(2016)
저스틴 핸콕
(2018)
뉴욕 양키스 등번호 54번
리처드 블라이어
(2016)
아롤디스 채프먼
(2017~2022)
콜튼 브루어
(2023)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54번
어빈 산타나
(2021)
아롤디스 채프먼
(2023)
테일러 헌
(2023)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5번
맷 무어
(2022)
아롤디스 채프먼
(2023)
결번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45번
맥스 크라닉
(2021~2022)
아롤디스 채프먼
(2024~)
현역
}}} ||
<colbgcolor=#000><colcolor=#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No.45
아롤디스 채프먼
Aroldis Chapman
본명 알베르틴 아롤디스 채프먼 데 라 크루스
Albertín Aroldis Chapman de la Cruz
출생 1988년 2월 28일 ([age(1988-02-28)]세)
올긴 주 올긴
국적
[[쿠바|]][[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1]
신체 193cm / 106kg
포지션 불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1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IN)
소속팀 신시내티 레즈 (2010~2015)
뉴욕 양키스 (2016)
시카고 컵스 (2016)
뉴욕 양키스 (2017~2022)
캔자스시티 로열스 (2023)
텍사스 레인저스 (2023)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
계약 1yr / $10,500,000
연봉 2024 / $10,500,000
등장곡 Rage Against The Machine - Wake Up
기록 Hit 106 MPH in relief appearance#[2]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아롤디스 채프먼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아롤디스 채프먼/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6 NYY 16 CHC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3 KC 23 TEX 2024년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2007년 2009년

3. 피칭 스타일

파일:AroldisFastBall.gif
주무기인 104mph[3] 포심 패스트볼

역사상 가장 빠른 공[4][5]을 던져 기네스북에 등재된 선수이다. 역사상 최초로 최고 구속 106마일[6]인류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이 기록은 2011년 당시 앤드류 맥커친 타석에서 세운 기록이지만 비공식 기록으로, 공식 기록은 2010년 9월 24일 토니 그윈 주니어 상대로 기록한 105.8mph이다. 참고로 이 두 기록 모두 10년도 더 넘은 현재까지 전혀 깨지지 않고 있다. 우완 투수 최고 구속 기록은 2022년 5월 22일 기록된 벤 조이스의 105.5마일이다.], 평균 구속 100마일이라는 기록을 달성했었던,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고의 파이어볼러 중 한 명이었다.[7] 현재는 나이가 들어 구속과 구위가 줄었지만[8] 마무리 역할을 하기에는 아직까지 무리가 없다.[9]

채프먼의 구위가 얼마나 대단하냐면, 일반적인 메이저 리그 투수의 포심 헛스윙 비율이 16%이고, 좀 잘 던진다 싶은 투수들도 30%를 가까스로 넘기지만 채프먼의 포심 헛스윙 비율은 40%가 넘는다. 메이저 리그가 운영하는 pitchfx에서 최고 구속을 검색하면 채프먼이 전부 상위를 차지하기 때문에 채프먼만 거르고 볼 수 있는 필터를 제공하고 있다.[10] 변화구로는 80마일 중후반대의 낙차가 상당히 큰 슬라이더를 주로 던지며,[11] 90마일짜리 체인지업도 간간히 구사하긴 하지만 패스트볼에 비하면 그닥 좋게 평가 받는 구종은 아니다. 이유는 원래 체인지업은 느린 구속으로 타이밍을 뺏는 구종인데 무려 90마일으로 웬만한 투수들 패스트볼 이상의 구속을 보유한 지라...[12]

데뷔 때부터 패스트볼의 구위 하나 만큼은 아무도 따라올 자가 없을 정도로 막강했기에[13] 선발 투수로 전환시킨다는 말도 많았다. 허나 애초에 던질 수 있는 구종이 그리 많지 않아 선발 투수로서의 완성도에는 의문이 있었으며 제구도 그리 좋다고 보긴 힘들었는 데다가 무엇보다도 압도적으로 강력한 구위가 마무리 투수로 뛰기에 그야말로 완벽했기에 2012년을 기점으로는 마무리 투수로 완전히 정착했다.

과거 채프먼의 문제점은 커맨드가 불안정하고 슬라이더가 긁히는 날과 긁히지 않는 날의 차이가 극과 극으로 갈린다는 점이었으나 이는 2012 시즌에 상당히 개선되었다. 그리고 1루 베이스 커버와 주자를 1루에 묶기 등, 수비에서도 약점을 보이고 있지만 향후 시즌을 겪으면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받는다.

속구의 구속 외에 채프먼의 또 다른 장점은 바로 압도적인 내구성이다. 잔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오른 적이 없지는 않고 혹사 논란으로 폼이 떨어졌던 적도 있긴 하지만, 쿠바 시절부터 10년도 훨씬 넘는 기간 동안 과격하기 짝이 없는 투구폼으로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패스트볼을 던졌으면서도 팔꿈치 인대나 어깨에 심각한 부상이 온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현 시점 구속으로 전성기의 채프먼과 비견이 되는 유일한 투수 조던 힉스[14]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며[15] 채프먼의 내구력이 재조명됐다.

30대에 슬슬 접어들기 시작한 2017년 이후부터는 구속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16] 어느덧 100마일이 최고 구속 수준이 되었고[17] 이러면서 채프먼은 슬라이더 비율을 대폭 늘리기 시작했고 동시에 싱커를[18] 추가해서 던지고 있다.
아롤디스 채프먼의 포심 평균 구속 변화
<rowcolor=#000000,#e5e5e5><colcolor=#000000,#e5e5e5> 2014 100.9마일
2015 100.3마일
2016 101.2마일
2017 100.1마일
2018 98.9마일
2019 98.1마일
2020 98마일
2021 98.4마일
2022 97.5마일
아롤디스 채프먼의 슬라이더 비중 변화
<rowcolor=#000000,#e5e5e5><colcolor=#000000,#e5e5e5> 2015 16.4%
2016 15.1%
2017 19.4%
2018 25.5%
2019 30.5%
2020 21.6%
2021 26.8%
2022 24.6%

2016년 슬라이더 비중이 15.7%였던 채프먼의 슬라이더는 2019년 기준으로 31.1%로, 약 두 배가 됐다. 단순히 비중만 높인 것이 아니다. 채프먼이 던지는 슬라이더의 분당 회전수는 2015년 평균 1798회에서 2019년 평균 2490회로 월등히 증가했다. 이에 슬라이더의 낙폭은 2015년 평균 36.9인치로 10인치가 늘었다. 따라서 과거 채프먼의 슬라이더가 역대 최고라고 평가 받는 패스트볼에 도움을 받는 공이었다면 이제는 스스로의 힘으로 헛스윙을 만들어내고 있다.[19] 포심보다 구속이 더 잘나오는 채프먼의 싱커는[20] 우타자의 바깥쪽으로 달아나는 역회전의 움직임을 통해 포심, 슬라이더와 다른 제3의 궤적을 만들어내고 있다.

노쇠화가 많이 진행된 현재는 평속 98~99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지지만, 여전히 리그 최상위권 구속이다.[21] 다만 노쇠화로 인한 구위의 하락과 제구 불안정으로 인해 양키스 말년엔 클레이 홈즈에게 마무리 투수 보직을 내주게 되었고[22] 2022년 후반기에 보여준 팀과의 마찰로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쫓겨나다시피하게 된다.
파일:채프먼103.gif
파일:탕프먼부활.png
그러니 캔자스시티에서 폼을 손봤는데 평균 99~100마일, 최고 103~104마일로 구속이 전성기 시절 수준으로 반등하였다. 하지만 제구력에 문제를 보이는 중.
피츠버그 이적 후 싱커의 구속을 끌어올리며 하이레버리지 상황에 등판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16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파일:2023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2016, 2023)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7회 (2012~2015, 2018, 2019, 202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마리아노 리베라 상 (2019)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2019)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켄리 잰슨, 크레이그 킴브럴에 이어 현역 마무리 투수 세이브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채프먼은 어린 나이부터 세이브를 차곡차곡 잘 쌓아놓았고 신시내티 시절 최고 구속 106마일을 기록하며 최고 구속 기네스북에 오른 상징성 덕분에 잰슨, 킴브럴과 함께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이 높은 현역 마무리 투수 중 1명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채프먼에게는 이 둘과 달리 세이브 개수가 부족하다는 점이 흠이다. WAR은 이 둘과 비슷하지만 세이브 개수가 321세이브로 이 둘에 비해서는 한참 모자란다. 아무리 마무리 투수에게 호의적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400세이브 정도는 채워줘야 입성 가능성이 올라가는데 321세이브로는 입성 가능성을 논해보기에는 다소 아쉽다. 게다가 40세이브를 기록한 시즌도 없고 노쇠화로 인해 세이브를 추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흠이다. 따라서 남은 현역 기간동안 최소 400세이브를 기록해야지 명예의 전당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는 길이 될 수 있다.

6. 여담

파일:1561170217126.gif

7. 관련 문서



[1] 2016년 4월 29일,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2] 야구 역사상 최고 구속[3] 약 167km.[4] 공식 기준 105.8mph(170.26km/h). 비공식 기준 106mph(약 170.59km/h).[5] #공식 기록 #영상[6] 좌완 투수 최고 구속 기록이고, 이를 넘어서[7] 참고로 채프먼은 야구 역사상 최고의 파이어볼러 중 한 명으로는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구속에 비해선 좌완 파이어볼러의 상징성이 그리 큰 편이 아닌데, 왜냐하면 그의 구속이 동 시대 우완투수들도 전부 압도적으로 추월하는 정도였기 때문이다.[8] 구속을 회복한 2023년 기준으로는 평속 98~99마일, 최고 103~4마일 정도다.[9] 실제로, 구속이 현재 많이 떨어진 건 사실이나 다른 웬만한 마무리 투수들보다도 앞서 있다. 다만 예전에는 리그 내에서 독보적 1위 수준이었으나 2020년대 들어 본인의 구속 하락과 리그의 구속 인플레이션이 겹치며 채프먼보다 앞선 인물들이 많아졌을 뿐.[10] 대표적으로, 2015년 메이저리그 전체에서 기록된 100마일 공 571개 중 무려 335개혼자서 던졌다.[11] 데뷔 당시 랜디 존슨과 비교되기도 했다.[12] 물론 제이콥 디그롬처럼 체인지업 구속 증가로 인해 더 좋은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긴 하다. 허나 이건 정말 소수의 경우. 스티븐 스트라스버그도 비슷한 이유로 체인지업의 평가가 데뷔초에 좋지 않았었다.[13] 유망주 시절부터 20-80 스케일에서 당연히 만점 80을 기록했는데, 실제 채프먼의 구위를 생각하면 사실상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파워처럼 80+이다.[14] 포심, 싱커 모두 최고 105마일을 던진다는 점에서 이전의 파이어볼러였던 조엘 주마야보다는 확연히 빠르고 채프먼에 비견될 정도로 빠른 게 맞으며 채프먼이 좌완이므로 자연스럽게 힉스는 우완 최고 구속 기록을 경신했다.[15] 게다가 구속이 수술 전보다 확연히 줄었다.[16] 16->17년 1.1마일, 17->18년 1.3마일, 18->19년 0.5마일, 19->20년 0.4마일.[17] 가끔씩 103마일을 던지긴 하지만 예전에 비하면 매우 적은 빈도다.[18] 2018년 (7.9%), 2019년 (10.3%)[19] 슬라이더 구종가치 2017년 (0.6), 2018년 (6.5), 2019년 (8.1)[20] 2018년 (100.9마일, 2019년 100.1마일)[21] 현재 KBO 최고의 파이어볼러로 언급되는 안우진보다도 평속이 빠르다. 다만 안우진은 선발 투수인 데다가 100구에 160km/h를 던지는, 무슨 게릿 콜이나 워커 뷸러를 연상시키는 퍼포먼스를 보이는 중이므로 마무리 투수인 채프먼과는 사정이 다르다.[22] 클레이 홈즈는 90마일대 후반의 싱커를 던지므로 실질적인 구위는 현재의 채프먼보다 위라고 평가받는다. 물론 전성기 채프먼의 그것에 비할 바는 전혀 못 되지만.[23] 출처 기사에 의하면 여자친구가 그의 스마트폰에 '무언가'를 본 것을 계기로 다퉜다고 한다. 여자친구의 증언에 의하면 손가락으로 왼쪽 어깨를 찌르고 목까지 졸랐다고 한다. 벽을 향해 총알 8발을 쏜 것은 채프먼 본인이 인정했다고 서술되어 있다.[24] 알렉세이 라미레즈의 별명이기도 하다.[25] 이는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게리 산체스등 대부분의 비영어권 국가 출신 선수들이 이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