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에 제작된 반야심경 리믹스 버전 동영상에 대한 내용은 반야심경 리믹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불경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 니까야 | 디가 니까야 | 맛지마 니까야 | 쌍윳따 니까야 | 앙굿따라 니까야{{{#!wiki sty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 | |||||||
대승 경전 | 반야바라밀다심경 | 금강반야바라밀경 | 대방광불화엄경 | 묘법연화경 | 지장보살본원경 | 능엄경 | 관세음보살보문품 | 보현행원품 | 약사경 {{{#!wiki style="" | }}} {{{#!wiki sty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 |||
밀교 | 천수경 | 대일경 | 금강정경 | 대승장엄보왕경 | }}}}}}}}} |
한글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반야심경 |
한자 |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 般若心經 |
산스크리트어 | 데바나가리 문자 | भगवतीप्रज्ञापारमिताहृदयसूत्र |
로마자 전자 | Bhagavatī prajñāpāramitā hṛdaya Sūtra | |
한글 전사 | 바가와띠 쁘라지냐빠라미따 흐리다야 수뜨라 | |
영어 | Heart Sūtra | |
티베트어 | 티베트 문자 | བཅོམ་ལྡན་འདས་མ་ཤེས་རབ་ཀྱི་ཕ་རོལ་ཏུ་ཕྱིན་པའི་སྙིང་པོ |
와일리식 로마자 전자 | Bcom ldan 'das ma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i snying po | |
한글 전사 (티벳어 한글표기안) | 쫌덴데마 쎼랍기 파롤뚜친빼 닝뽀 | |
한국어 번역 | '모든 박가범[1]의 어머니가 되는 반야바라밀의 정수' |
[clearfix]
1. 개요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결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것으로 260자로 되어 있다. ≒대반야바라밀다심경, 마하반야 바라밀다 심경, 반야바라밀다심경, 심경.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이다.
600권이나 되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을 한문으로 260자도 안 되게 짧게 요약하여 대승 불교의 깊은 진리를 함축했다는 경전이다. 동아시아에 한문으로 번역하여 전래한 사람은 동아시아사 단골 불교 서적인《대당서역기》를 지은 당나라 현장 법사. 서유기에서 삼장법사(=현장)가 고향을 그리워한다거나 앞길이 걱정된다는 이유로 심란해하면 손오공이 "스승님, 또 반야심경의 깊은 뜻을 잊으셨군요."라고 태클거는 장면이 제법 많이 나온다. 서유기에서는 저팔계가 삼장법사의 제자로 들어온 뒤 오소선사라는 인물이 대단하다며 추천하였고, 심경은 이 오소선사가 삼장법사를 만나서 전수한 것으로 나온다.
2. 특징
원래 현장 이전에도 반야심경이라는 불경 자체는 '마하반야바라밀다명주경'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에 알려졌다. 번역자는 현장 (649년 번역본)과 함께 불경 번역의 거두로 꼽히는 412년 쿠마라지바(구마라습)의 번역본.(출처: 대한불교청년회 게시판 및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다만 요새는 현장의 번역이 더 많이 유명하다. 후술하겠지만 대한불교 조계종에서 정한 반야심경 한국어 표준번역도 현장이 한역한 반야심경을 기준으로 한다.
원래 반야심경도 다른 경전과 마찬가지로 석가모니가 반야심경의 내용을 설한 계기, 장소, 설해진 후의 결과 등이 다 쓰인 광본(廣本)[2]이 있으나, 반야심경 자체가 짧으면서 핵심을 요약하였기 때문에 대승 불교 의식에서 보통은 이 짧은 반야심경이 독송된다. 그리스도교와 비교한다면 주님의 기도/주기도문이나 사도신경[3], 이슬람에서는 알 파티하(개경장)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광본을 독송한다. 이 산스크리트어 광본을 두고, 소품반야경과 대품반야경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창작된 광본을 현장, 또는 누군가가 산스크리트로 역번역(back-translation)했다고 보는 불교학자(대표적으로 Jan Nattier)들도 있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쓰는 관용구에 맞지 않는 표현이나, 중국식 언어습관이 섞인 산스크리트어 조어가 광본 이곳저곳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라고. 현재로서 반야심경 위경 논란은 확실한 고고학적 증거가 없어서 결론이 나진 않았다.
하지만 산스크리트 원본이 있었다 하더라도, 각 번역자의 선택에 따라 번역본 혹은 음역본이 쿠마라지바나 현장에 의해 첨삭되었다는 점은 대체로 학계에서 인정하는 편이며[4], 학계에선 현장과 쿠마라지바 둘 다 짧은 판본만 건드렸지 광본을 번역한 흔적을 찾지 못했다. 광본의 대표 역자로는 저 두 사람이 아닌 법월法月(739년역), 반야般若/리언利言(790년역)[5], 법성法成(856년역), 지혜륜智慧輪(860년역), 시호施護(980년역) 등이 있다. 소본의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 사본은 일본 법륭사(法隆寺)에 패엽본으로 소장하고 있고, 광본의 산스크리트 사본은 일본 나라 하세데라(奈良 長谷寺)가 소장하였다.
반야심경의 내용은 대승 불교에서 핵심으로 다루는 '공 사상'을 설명한다. 공 사상은 불교의 주요한 키워드이므로 불자가 아닌 이들에게도 어느 정도 알려졌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아제아제 바라아제 등이 널리 알려진 경구이다. 재미있는 점은, '공 사상의 측면에서 보면'이라는 전제 하에 초기불교의 교리가 깡그리 부정되는 듯하다는 것이다. 순서대로, 초기불교에서 무아를 설명하는 데 쓰이는 오온과 육입처, 육경, 육식은 물론, 순관과 역관을 포함한 12연기의 제1항부터 제12항, 사성제가 깡그리 모두 '없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여기서 '없다'고 하는 것은 진짜 없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단지 자성(自性: 고정불변하는 실체, 혹은 본성)이 없다는 이야기이다. 공 사상 문서로.
스리랑카 출신 승려가 일본에서 반야심경을 비판하는 강연을 하고 책을 내서 크게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대충 요지는 '색즉시공은 불교의 교리에 부합하고 철학적으로 보아도 논리가 맞지만, 공즉시색은 말이 안 된다. 공즉시색은 틀렸다.'는 주장이다. 이는 상좌부 불교의 관점 때문인데, 상좌부에서는 공(空), 즉 무아(無我)인 것은 물질, 마음, 마음부수, 닙바나로 실제로 있는 것 네 가지 전부이며, 그러므로 공은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본다. 이는 '모든 가로수는 나무이다'와 '모든 나무는 가로수이다' 두 가지 명제의 참/거짓 여부와도 비슷하다. 반면 대승 불교에서는 공(空)뿐 아니라 유식(唯識)을 함께 고려해서 논리를 전개한다. 공 사상에 따르면 모든 것을 하나로 보는 것이 '색즉시공'이고, 유식 사상에 따르면 그러한 하나를 모든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이 '공즉시색'이다. 이를 통해 '하나의 빛이 온 세상을 장엄하게 비춘다'는 화엄(華嚴)의 사상이 성립하므로 대승불교에서는 '공즉시색'을 빠뜨리면 안 된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이는 상좌부 불교와 대승 불교의 교리적 차이, 그리고 이를 믿는 지리적 차이[6]를 고려하지 않은 해프닝이라 볼 수 있겠다. 이슬람으로 치면 시아파를 믿는 이란 출신 이맘이 수니파를 믿는 사우디에서 쿠란 해석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마구잡이로 수니파를 비판하고 책을 내 양 국가간 갈등이 생긴 것과 비슷하다.
2011년 9월 20일 대한불교 조계종 187회 중앙총회에서 종단표준의례 한글반야심경[7] 동의안을 가결하였으며, 10월 5일 공포되었다. 이하 본문의 한국어 부분은 조계종 표준 한글반야심경을 인용한 것이다.
병풍에 많이 새겨지는데, 주로 불교 신자들이 많이 소장한다.
3. 반야심경 본문 및 해석
[ruby(摩訶,ruby=마하)][ruby(般若,ruby=반야)][ruby(波羅蜜多,ruby=바라밀다)][ruby(心,ruby=심)][ruby(經,ruby=경)] 일체를 초월하는 지혜로 피안에 도달하는 가장 핵심되는 부처님의 말씀. [ruby(觀,ruby=관)][ruby(自,ruby=자)][ruby(在,ruby=재)][ruby(菩薩,ruby=보살)] [ruby(行,ruby=행)][ruby(深,ruby=심)][ruby(般若,ruby=반야)][ruby(波羅蜜多,ruby=바라밀다)][ruby(時,ruby=시)] [ruby(照,ruby=조)][ruby(見,ruby=견)] [ruby(五蘊,ruby=오온)][ruby(皆,ruby=개)][ruby(空,ruby=공)] [ruby(度,ruby=도)][ruby(一切,ruby=일체)][ruby(苦,ruby=고)][ruby(厄,ruby=액)]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8]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을 건너느니라.[9][10] [ruby(舍利,ruby=사리)][ruby(子,ruby=자)] [ruby(色,ruby=색)][ruby(不,ruby=불)][ruby(異,ruby=이)][ruby(空,ruby=공)] [ruby(空,ruby=공)][ruby(不,ruby=불)][ruby(異,ruby=이)][ruby(色,ruby=색)] [ruby(色,ruby=색)][ruby(卽,ruby=즉)][ruby(是,ruby=시)][ruby(空,ruby=공)] [ruby(空,ruby=공)][ruby(卽,ruby=즉)][ruby(是,ruby=시)][ruby(色,ruby=색)] [ruby(受,ruby=수)][ruby(想,ruby=상)][ruby(行,ruby=행)][ruby(識,ruby=식)] [ruby(亦,ruby=역)][ruby(復,ruby=부)][ruby(如,ruby=여)][ruby(是,ruby=시)] 사리자여! 색[11]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12], 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색이니, 감각ㆍ생각ㆍ행동ㆍ의식[13]도 그러하니라. [ruby(舍利,ruby=사리)][ruby(子,ruby=자)] [ruby(是,ruby=시)][ruby(諸,ruby=제)][ruby(法,ruby=법)][ruby(空,ruby=공)][ruby(相,ruby=상)] [ruby(不,ruby=불)][ruby(生,ruby=생)][ruby(不,ruby=불)][ruby(滅,ruby=멸)] [ruby(不,ruby=불)][ruby(垢,ruby=구)][ruby(不,ruby=부)][ruby(淨,ruby=정)] [ruby(不,ruby=부)][ruby(增,ruby=증)][ruby(不,ruby=불)][ruby(減,ruby=감)] 사리자여! 모든 법의 공한 형태는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ruby(是,ruby=시)][ruby(故,ruby=고)] [ruby(空,ruby=공)][ruby(中,ruby=중)][ruby(無,ruby=무)][ruby(色,ruby=색)] [ruby(無,ruby=무)][ruby(受,ruby=수)][ruby(想,ruby=상)][ruby(行,ruby=행)][ruby(識,ruby=식)] 그러므로 공 가운데에는 실체가 없고 감각ㆍ생각ㆍ행동ㆍ의식도 없으며, [ruby(無,ruby=무)][ruby(眼,ruby=안)][ruby(耳,ruby=이)][ruby(鼻,ruby=비)][ruby(舌,ruby=설)][ruby(身,ruby=신)][ruby(意,ruby=의)] [ruby(無,ruby=무)][ruby(色,ruby=색)][ruby(聲,ruby=성)][ruby(香,ruby=향)][ruby(味,ruby=미)][ruby(觸,ruby=촉)][ruby(法,ruby=법)] [ruby(無,ruby=무)][ruby(眼,ruby=안)][ruby(界,ruby=계)] [ruby(乃,ruby=내)][ruby(至,ruby=지)][ruby(無,ruby=무)][ruby(意,ruby=의)][ruby(識,ruby=식)][ruby(界,ruby=계)] 눈도, 귀도, 코도, 혀도, 몸[14]도, 의식도 없고, 색깔도, 소리도, 향기도, 맛도, 감촉[15]도, 법[16]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17] [ruby(無,ruby=무)][ruby(無,ruby=무)][ruby(明,ruby=명)] [ruby(亦,ruby=역)][ruby(無,ruby=무)][ruby(無,ruby=무)][ruby(明,ruby=명)][ruby(盡,ruby=진)] [ruby(乃,ruby=내)][ruby(至,ruby=지)] [ruby(無,ruby=무)][ruby(老,ruby=노)][ruby(死,ruby=사)] [ruby(亦,ruby=역)][ruby(無,ruby=무)][ruby(老,ruby=노)][ruby(死,ruby=사)][ruby(盡,ruby=진)]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없고,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18] [ruby(無,ruby=무)][ruby(苦,ruby=고)][ruby(集,ruby=집)][ruby(滅,ruby=멸)][ruby(道,ruby=도)] [ruby(無,ruby=무)][ruby(智,ruby=지)][ruby(亦,ruby=역)][ruby(無,ruby=무)][ruby(得,ruby=득)] 고집멸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 [ruby(以,ruby=이)][ruby(無,ruby=무)][ruby(所,ruby=소)][ruby(得,ruby=득)][ruby(故,ruby=고)] [ruby(菩提薩埵,ruby=보리살타)] [ruby(依,ruby=의)][ruby(般若,ruby=반야)][ruby(波羅蜜多,ruby=바라밀다)][ruby(故,ruby=고)]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리살타는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ruby(心,ruby=심)][ruby(無,ruby=무)][ruby(罣,ruby=가)][ruby(礙,ruby=애)] [ruby(無,ruby=무)][ruby(罣,ruby=가)][ruby(礙,ruby=애)][ruby(故,ruby=고)] [ruby(無,ruby=무)][ruby(有,ruby=유)][ruby(恐,ruby=공)][ruby(怖,ruby=포)] [ruby(遠,ruby=원)][ruby(離,ruby=리)][ruby(顚,ruby=전)][ruby(倒,ruby=도)][ruby(夢,ruby=몽)][ruby(想,ruby=상)] [ruby(究,ruby=구)][ruby(竟,ruby=경)][ruby(涅槃,ruby=열반)]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19] [ruby(三,ruby=삼)][ruby(世,ruby=세)][ruby(諸,ruby=제)][ruby(佛,ruby=불)] [ruby(依,ruby=의)][ruby(般若,ruby=반야)][ruby(波羅蜜多,ruby=바라밀다)] [ruby(故,ruby=고)][ruby(得,ruby=득)][ruby(阿耨多羅三藐三菩提,ruby=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들도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아뇩다라삼먁삼보리)을 얻느니라. [ruby(故,ruby=고)][ruby(知,ruby=지)] [ruby(般若,ruby=반야)][ruby(波羅蜜多,ruby=바라밀다)] [ruby(是,ruby=시)][ruby(大,ruby=대)][ruby(神,ruby=신)][ruby(呪,ruby=주)] [ruby(是,ruby=시)][ruby(大,ruby=대)][ruby(明,ruby=명)][ruby(呪,ruby=주)] [ruby(是,ruby=시)][ruby(無,ruby=무)][ruby(上,ruby=상)][ruby(呪,ruby=주)] [ruby(是,ruby=시)][ruby(無,ruby=무)][ruby(等,ruby=등)][ruby(等,ruby=등)][ruby(呪,ruby=주)] [ruby(能,ruby=능)][ruby(除,ruby=제)][ruby(一切,ruby=일체)][ruby(苦,ruby=고)] [ruby(眞,ruby=진)][ruby(實,ruby=실)][ruby(不,ruby=불)][ruby(虛,ruby=허)]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ruby(故,ruby=고)][ruby(說,ruby=설)] [ruby(般若,ruby=반야)][ruby(波羅蜜多,ruby=바라밀다)][ruby(呪,ruby=주)] [ruby(卽,ruby=즉)][ruby(說,ruby=설)][ruby(呪,ruby=주)][ruby(曰,ruby=왈)]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 주문을 말하니 이러하니라. [ruby(揭諦,ruby=아제)][ruby(揭諦,ruby=아제)] [ruby(波羅揭諦,ruby=바라아제)] [ruby(波羅僧揭諦,ruby=바라승아제)] [ruby(菩提,ruby=모지)] [ruby(娑婆訶,ruby=사바하)] 가자 가자 넘어 가자, 모두 넘어가서 무한한 깨달음을 이루자[20] [ruby(揭諦,ruby=아제)][ruby(揭諦,ruby=아제)] [ruby(波羅揭諦,ruby=바라아제)] [ruby(波羅僧揭諦,ruby=바라승아제)] [ruby(菩提,ruby=모지)] [ruby(娑婆訶,ruby=사바하)] 가자 가자 넘어 가자, 모두 넘어가서 무한한 깨달음을 이루자[21] [ruby(揭諦,ruby=아제)][ruby(揭諦,ruby=아제)] [ruby(波羅揭諦,ruby=바라아제)] [ruby(波羅僧揭諦,ruby=바라승아제)] [ruby(菩提,ruby=모지)] [ruby(娑婆訶,ruby=사바하)] 가자 가자 넘어 가자, 모두 넘어가서 무한한 깨달음을 이루자[22] |
|
라틴어 번역본
3.1. 오역?
이태승 위덕대 불교문화학과 교수는 2019년 《인도철학》(인도철학회 간행) 제54집에 발표한 <대·소본 《반야심경》의 비교를 통한 반야바라밀다주 고찰>이라는 논문에서 현존하는 대·소본 반야심경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반야심경의 한역(漢譯) 과정에서 오역이 있었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이 교수가 오역으로 지목하는 부분이 바로 본경의 말미에 붙은 반야바라밀다에 대한 부분이다.현재 통용되는 반야심경 번역본은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 주문을 말하니 이러하니라.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세 번 반복)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세 번 반복)
라고 하였다. 이 교수는 이 부분에서 한역 반야심경에서 '반야바라밀다 주문' 즉 '반야바라밀다'를 '주문'으로 번역한 부분 자체가 범본(산스크리트어본)을 한역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역이라는 것이다. 해당 부분은 범본에는 'prajñāpāramitāyām ukto mantraḥ'로 나오는데, 이는 '반야바라밀다의 상태에서(prajñāpāramitāyām)[28] 설해진(ukto[=uktaḥ])' '만트라(mantraḥ)'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문에서 언급되는 '반야바라밀다'가 그 자체로 주문이라는 것이 아니라 반야바라밀다라는 경지와 상태 속에서 설해진 주문으로서 그 주문의 구체적인 내용이 뒤에 언급되는 '아제아제…사바하'라는 것이다. 대다수 한역자가 잘못 이해했거나 구마라집이나 현장 번역을 그대로 수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 교수의 주장을 따라 해당 부분을 다시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
그러므로 알아야 할지니 반야바라밀다의 대주(大呪), 대명주(大明呪), 무등등주(無等等呪)는 일체의 고통을 없애는 주이며, 진실이며 허망하지 않은 까닭에 반야바라밀다에서 그 주가 설해졌으니, 바로 이것이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세 번 반복)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세 번 반복)
또한 이 교수는 반야바라밀다주에 해당하는 유명한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주문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해당 부분의 산스크리트어 본문은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ṁgate bodhi svāhā'이며, 이 부분도 현행 번역본처럼 '가자 가자 넘어가자, 모두 넘어가서 깨달음을 이루자. 깨달음이여, 영원하여라.'보다 '가신 분이여, 가신 분이여, 피안에 가신 분이여, 피안에 온전히 가신 분이여, 깨달음이여, 행운이 있으라.'로 번역할 수 있다. gate는 '갔을 때', '간 사람', '넘어간'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영어로 치면 gone에 대응한다. 이는 반야바라밀다 즉 제법공상(諸法空相)을 통찰하는 지혜의 경지를 얻고자 수행하는 사람들을 위한 격려, 내지는 찬양을 위한 캐치프레이즈 성격이 짙은 구절이라는 것이다. ##
4. 관련 동영상
대한불교조계종 공식 한국어 반야심경 |
AI가 작곡한 K-POP풍 한국어 해석 반야심경 |
Jazz풍 한국어 해석 반야심경 |
힐링 마음을 다스리는 반야심경 |
송광사의 반야심경.[29] |
- 우리말로 부른 것
- 영어로 부른 것
- 중국어로 부른 것
- 산스크리트로 부른 것: 힌두스탄의 고전 가수 비디아 라오(Vidya Rao)가 불렀다.
- 일본어로 부른 것: 꽤 으스스한 분위기때문인지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에서 메인빌런인 킹기도라의 테마곡으로 변주되었다.
- 티베트어 반야심경: 달라이 라마가 직접 티베트어로 독송하는, 본문 앞에서도 언급한 이른바 광본(廣本)이다.
- 한국인이 읽는 광본 반야심경: 티베트어 개경게(開經偈)가 앞부분에만 잠깐 나오고 나머지는 모두 한국어 해석이다.
4.1. 커버
- 힙합 반야심경: 2004년 작곡가 안치행이 목탁ㆍ기타ㆍ드럼 등 6가지 악기로 편곡하여 불렀다. 기사, 영상. '아제아제 바라아제'부터 시작한다거나 처음 제목을 2번 읽는다거나 하는 소소한 차이가 있다. 제목은 힙합이지만 힙합보다는 트로트 분위기라는 말이 있다. 싸이월드 BGM 버전이 이 영상의 28초부터 시작하는데, 해당 곡이 사용된 것은 아니긴 하지만 그 곡이 나올 2004년 경 PC방에서 싸이 로그아웃을 안 하고 간 사람이 있길래 그 사람 도토리로 반야심경을 질러서 BGM으로 도배했다는 웃짤 때문에 이 곡도 덩달아서 유명해졌다.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중반 때 불교 관련 유머글에 BGM으로 쓰이기도 했다. 안치행은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유명했던 작곡가이다. 최헌의 오동잎, 김트리오의 연안부두, 인순이의 실버들, 박남정의 사랑의 불시착 등의 히트곡을 남겼다.
- 일본의 힙합 반야심경: 가수는 ebesbeats.
- 반야심경 드럼
- 반야심경 팝: 하츠네 미쿠가 불렀다.
- 반야심경 랩이자 리믹스
- 반야심경 블랙메탈 버젼
- 반야심경의 본문 해석본을 바탕으로 제작된 AI음악: 노래 생성AI인 Suno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해당 작품의 제작자는 BBS불교방송 공식 유튜브 채널에 섭외되어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해당 커버에 대해 한국 기준 2000년대만 해도 경전을 리믹스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일부 있었다.[30] 하지만 실제 불교계를 비롯한 여러 종교에서는 이러한 작품에 대해 상당히 호의적이다. 고려 광종 시기 때 균여가 보현십원가[31]와 같은 향가의 형태로 만들어 포교했던 기록이 전해져 내려오는 만큼[32] 상당히 유서깊은 방식이라 호의적일 수밖에 없다. 더욱이 석가모니는 열반에 들기 전 유언으로 "무릇 형성된 것은 모두 변하기 마련이고 (의역, 중략) 불변은 있을 수 없는 법"이라 남겨서 인지 불교는 고대의 종교치고는 상당히 개방적인 편.
5. 대중매체에서
- 달마야, 서울가자: 배우 유해진이 반야심경을 코믹하게 개사해서 노래를 부르는 명장면이 유명하다. #. 그러나 이 장면은 천수경에 더 가깝다
- 디지몬 어드벤처 02 : 귀신 소동으로 인해 귀신을 쫒으려고 이걸 틀었다
- 명량: 이순신(최민식 분)이 자신의 장검을 들여다보며 앉아 있는 자리 뒤편의 병풍에 반야심경이 적혀 있다. 영상. 이순신 본인이 불교 신자는 아니었기 때문에 뜬금 없는 부분. 한편으론 실제 역사에서 이순신 휘하에서 활약한 자운, 옥형 등의 의승수군 소속 승병들이 이순신 사후 그를 위해 재를 올렸으며, 영화에서도 혜희 등 승병 캐릭터가 등장하는 등 어느 정도 비중 있는 역할을 맡고 있기는 하다.
이 장면은 감독의 종교(불교)가 반영된 적절하지 못한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김한민 감독은 법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려면 불가에서 이야기하듯 아상(我相)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견(正見)을 가져야 하고, 정견은 세상이 끝없이 변하는 것임을 깨닫는 것, 즉 삼법인에 대한 바른 인식에서 시작된다. 삼법인에 대해 바르게 인식한다면 정견을 통한 자기극복도 가능하다. 정견을 통해서만 자기 아상을 극복할 수 있다."며, 그런 점에서 이순신은 불교적 가르침에 대한 깨달음이 있는 인물이었으며, 특히 그가 공직에 나선 이후 보여준 삶의 모습과 생사관에 대한 인식은 그가 분명 자신의 아상을 극복한 인물임을 보여준다."라고 평하였다. 기사
명량이 어느 정도 참조했음직한 김훈의 칼의 노래[33]의 경우 허무주의라고까지 해석되지만 동시에 "삶의 조건을 비극적으로 만드는 현실을 적극 비판하고 부정한다는 점에서 체념적 허무주의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어,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오온이 모두 공(空)"이라는 불교의 가르침이 그저 세상의 만사가 허무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 허무 속에서도 긍정과 희망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로써 해석되기도 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영화의 캐치프레이즈(모두가 포기한 전쟁, 두려움에 맞서는 자, 역사를 바꿀 것이다)와도 어느 정도 들어맞는 부분도 있다. - 살인자의 기억법: 주인공 살인자 김병수는 평소 니체와 소포클레스 그리고 반야심경을 자주 읽는다고 언급된다. 이는 김병수의 살인에 대한 생각이 어떤 것인지를 말해 주는 동시에, 소설과 영화 결말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복선이기도 하다.
- 키즈모노가타리: 아라라기 코요미가 키스샷 아세로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가 기요틴커터를 먹는 것을 보고 정신이 붕괴되는 장면에서 나온다.
- 금빛 러브리체 : 실비아가 뜬금없이 오로에게 에로이나하고 데이트 할 것을 강요하는 바람에 반쯤 정신 놓은 채 기숙사 내 자기 방에서 반야심경을 듣고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옆방에 사는 리아가 와서 기분 나쁘다면서 당장 끄라고 일갈하는 바람에 멈춘다.
- 귀멸의 칼날: 히메지마 교메이의 유언으로 마지막 구절이 쓰였다.
- 아제 아제 바라아제 :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을 제목으로 쓴 소설가 한승원의[34] 작품으로, 강수연, 진영미 주연의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 최유기 : 공식으로 현장 삼장의 반야심경 독경 CD가 있으며 리로드 블래스트 애니판 3화에서 비록 짧지만 들을수 있다.
- 천녀유혼 : 장국영과 왕조현이 주연으로 나온 1987년 영화에서, 도사 연적하가 천년 묵은 나무요괴, 흑산대왕 등과 싸우는 장면에서 외우는 주문이 '반야바라밀'이다. 이 주문은, 동 영화의 속편에서도 요괴와 싸우는 상황에서 계속 쓰인다.[35]
- 서유기 - 월광보합 : 1995년 개봉한 주성치 주연의 서유쌍기의 상편인 월광보합에서, 지존보가 연인인 백정정을 구하기 위해 월광보합을 타고 날아가기 위해 외우는 주문이 반야바라밀이다.[36]
6. 여담
- 서유기에서 삼장법사(=현장)가 고향을 그리워한다거나 앞길이 걱정된다는 이유로 심란해하면 손오공이 "스승님, 또 반야심경의 깊은 뜻을 잊으셨군요."라고 태클거는 장면이 제법 많이 나온다. 서유기에서는 저팔계가 삼장법사의 제자로 들어온 뒤 오소선사라는 인물이 대단하다며 추천하였고, 심경은 이 오소선사가 삼장법사를 만나서 전수한 것으로 나온다.
7. 관련 문서
[1] 붓다, 반야바라밀이라 하는 '진리'를 깨달은 모든 이들, 즉 넓은 의미의 붓다[2] 풀버전. 분량은 현장역본의 약 2배 정도가 된다. 반대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현장역본을 학계에서 (대조의 의미를 담아) 소본小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 천주교에서 미사 때마다 신앙고백문으로 (길고 복잡한)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대신 (쉽고 짧은)사도신경으로 대체 가능하게 하는 모습과 비슷하다. 짧은 버전(현장역본:사도신경)의 신앙고백문이 긴 버전(광본: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보다 판본이 오래되어 보인다는 문헌학계의 컨센서스도 주목할만한 유사점.[4] 이와 관련된 가장 결정적인 증거는 바로 반야심경에서도 핵심으로 꼽히는 부분인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이다. 이 문구는 산스크리트어 당대본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 문구가 존재하는 범어본은 한역본을 중역한 것이다. 이 문구는 쿠마라지바가 삽입한 것을 현장이 그대로 따른 것으로 본다. 당장 이언 공역 광본 반야심경에도 이저고액(離諸苦厄)이라 하여 이 문구가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5] 위의 동국대 한글대장경 링크도 반야/리언 판본의 우리말 번역이다.[6] 상좌부 블교는 동남아시아나 스리랑카에서 믿지만 대승 불교는 동아시아와 베트남에서 믿는다.[7] 조계종 측에서 이렇게 발표했는데, 개념적으로는 한국어(국어, 국문) 반야심경이라고 해야 옳다.[8] '5가지 쌓임'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색ㆍ수ㆍ상ㆍ행ㆍ식, 즉 물질ㆍ감수작용ㆍ지각작용ㆍ의지작용ㆍ인식작용을 말한다. 쉽게는 존재하는 모든 실체, 감각과 생각과 행함과 의식이라 하기도 한다.[9] 불교의 근본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오온은 물질ㆍ감각ㆍ지각ㆍ행동ㆍ의지를 뜻하는데, 부처의 모든 가르침은 이것을 전제하고 근거해서 모든 개념을 설명한다. 즉 초자연적 존재와 초능력, 기적 등을 근거하지 않는다.[10] 이전 한글 반야심경에는 "온갖 고통에서 건지느니라."라고 했는데 오역이다. ‘度’는 ‘건너다(渡)’는 뜻으로, ‘관자재보살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여 온갖 고통을 초월하다.’는 뜻으로 풀어야 한다. # 이는 度라는 한자가 불교에서 '(부처나 보살이) 지옥도나 아귀도 등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건진다'거나, 기도 혹은 천도재를 통해 이런 중생들을 천도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된 적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오역이다. 혹은 관세음보살이 지닌 '구원자'의 이미지로부터 비롯된 오역일 수도 있다.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배가 뒤집혀도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읊는다면 죽음을 피할 것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구절의 영향으로 관세음보살이 해상무역을 하던 상인들의 수호신 역할을 했던 역사도 있으니만큼. 이런 이유로 바닷가에 세워둔 관세음보살상을 '해수관음(海水觀音)'이라고 부른다.[11] 여기서의 색(rupa)이 말하는 건 물질을 포함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뜻한다. 비어있다는 뜻의 공과 일반적인 의미에서 대립하는 개념이라 생각하면 된다.[12] 산스크리트 원본에서는 '색과 구별되는 공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며, 공과 구별되는 색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되어 있다.[13] 산스크리트 원문에서는 '외부 자극을 받아들임', '대상에 대한 분석적 앎', '습관과 지어가는 행위에 의해 길들여지거나 훈습되는 것', '판단력 혹은 식별력'에 각각 해당한다.[14] 산스크리트 원문에서는 이 부분이 '접촉'에 해당한다.[15] 산스크리트 원문에 따르면 '인식 대상'에 해당한다.[16] '오근의 인식을 종합하는' 기관이나 기능에 해당한다.[17] 6근과 6식(이를 합쳐서 12처라고 한다.), 그리고 6계, 즉 안식계, 이식계, 비식계, 설식계, 신식계, 의식계가 모두 없다는 뜻. 이를 모두 합치면 18계가 된다.[18] 12연기, 즉 무명(無明)·행(行)·식(識)·명색(名色)·육입(六入)·촉(觸)·수(受)·애(愛)·취(取)·유(有)·생(生)·노사(老死)의 순관(順觀)과 역관(逆觀)이 모두 없다는 뜻.[19] '괘애'를 '가애'로 읽는 경우도 많다. 한자사전에는 '罣'를 '괘'로만 표기한다 되어있으나, 예로부터 '가' 발음이 굳어져 전해진 것으로 본다.이는 불교식 한자발음인 '가애'로 하는 것이 옳다. 대한민국의 모든 사찰과 불자들은 '가애'로 발음한다.[20] 이 부분은 범어를 한문으로 음역한 것으로, 우리말로 원어에 가깝게 새기자면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쓰와하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산스크리트어를 해석하자면 '가자 가자, 피안(彼岸; 저 '언덕')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넘어가자, 영원한 깨달음이여.' 여기서 넘어간다는 비유는, 앞서 서술된 '일체고액'에 휩쓸리지 않고 그것을 건넌다는 뜻이다. 최근의 해석 중에서는 '가떼'를 계, '빠라가떼'를 정, '빠라상가떼'를 혜, '보디'를 해탈, '쓰와하'를 해탈지견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21] 저 '가떼' 부분은 동사 gam(가다)의 피동분사이기 때문에, 원문 기준으로 보면 청유형으로 직역되지는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설명 참조.[22] 조계종 표준 한글반야심경은 관례에 따라 진언은 번역하지 않고 "아제아제 바라아제..." 하는 한문 음사로 되어 있다. 참고로 菩提의 실제 한자 발음은 보제이며, 불교 용어라면 보리라고 읽어야 하나, 반야심경에서 이 구절 한정으로 모지라고 읽는다.[23] 한문으로 윤문하는 과정에서 탈락하였다.[24] 이 문구에 대한 부분은 전술한 각주를 참조. 산스크리트어 원문에는 도일체고액이 존재하지 않는다.[25] svabhava. 현장 역에서 윤문 과정에서 삭제되었으며 일부 역자들은 이를 비판하여 체성(體性)이나 자성(自性)으로 번역하기도 한다.[26] 여기에서 라는 부사로 원래 이 문장은 앞의 조견오온개공과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쿠마라지바 역이나 현장역에서 일체개고액을 넣고 iha를 탈락시켜 앞 문장과 묶어 한 문장인 이 부분이 단절되었기 때문에 일부 역자들에게 비판받는다.[27] 데바나가리 문자가 아닌 IAST식 로마자 전사로 되어 있다. 참고로 pdf 파일이다. (of mind and body)부분에 괄호가 쳐져 있는건 전술했다시피 도일체고액은 원문에 없던 걸을 한역에서 삽입한 것이기 때문이다.[28] 'prajñāpāramitā'는 -a 계열 여성명사이며, 이 부류에서 -yām은 처격(locative) 어미를 나타낸다.[29] 불교에서도 절이나 지방마다 음이나 속도가 조금씩 다른데 가장 빠르기로 유명한 곳이 송광사와 해인사. 실제 송광사 예불에서는 더 빠르다. 그래서 지방의 불자가 서울에 와서 반야심경을 봉독할 때 가끔 삑사리 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또한 2022년 현재, 송광사 유튜브 채널의 예불영상들을 보면 녹음 당시와는 달리 반야바라밀다주 부분을 공식 번역에서의 한자 음역이 아닌 원어에 가까운 발음을 사용한다.[30] 꼭 경전 내용을 리믹스하는 것뿐 아니라 리믹스나 합성물에 종교적인 내용이 조금이라도 담겨 있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이 꽤 많다. 하지만 의외로 종교계에서는 이러한 것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이라는 게 킬포.[31] 균여전, 삼국유사에 일부 전해짐.[32] 문자가 없거나 있어도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교육이 상당히 제한돼 문해율이 낮은 사회에서 종교를 전파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매개체는 직접 눈으로 보는 성상이나 성화, 그리고 말로 직접 전파되는 노래가 될 수 밖에 없다. 그 중 노래는 암송에 매우 효과적이라 특히 많은 종교에서 애용된 매개체이다. 이는 불교 뿐만이 아닌 기독교 찬송가 등 타 종교에서도 오랫동안 사용돼 온 방식이다.[33] 영화에서 이순신이 명량 해전이 끝난 뒤에 "배를 돌리거라. 마침 물살도 돌아섰으니."라는 대사를 하는데, 이미 칼의 노래에서도 똑같이 나온 대사로 명량 해전 이후 이순신이 "돌아가자. 마침 물길이 돌아섰으니."라고 군관들에게 말하는 장면이 있다. 칼의 노래라는 작품이 이순신 관련 작품들 가운데서 갖는 영향력이나 위치를 생각하면 감독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34] 한승원 소설가의 딸은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이다.[35] 도교의 도사가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을 외우는 장면으로 보기에 따라서는 어색할 수도 있다.[36] 광동어 발음으로 뽀이뽀로미에 가까워서 비디오판에서는 뽀로뽀로미라고 자막을 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