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제1회 (1953년) | 제2회 (1955년) | 제3회 (1956년) | 제5회 (1958년)* | |
알프리드 베스터 《파괴된 사나이》 | 마크 클리프턴, 프랭크 라일리 《They'd Rather Be Right》 | 로버트 A. 하인라인 《더블 스타》 | 프리츠 라이버 《빅 타임》 | ||
<rowcolor=#fff>제6회 (1959년) | 제7회 (1960년) | 제8회 (1961년) | 제9회 (1962년) | 제10회 (1963년) | |
제임스 블리시 《양심의 문제》 | 로버트 A. 하인라인 《스타십 트루퍼스》 | 월터 M. 밀러 주니어 《리보위츠를 위한 찬송》 | 로버트 A. 하인라인 《낯선 땅 이방인》 | 필립 K. 딕 《높은 성의 사나이》 | |
<rowcolor=#fff>제11회 (1964년) | 제12회 (1965년) | 제13회 (1966년) | 제14회 (1967년) | ||
클리퍼드 시맥 《여기 별들이 모이다》 | 프리츠 라이버 《The Wanderer》 | 프랭크 허버트 《듄》 | 로저 젤라즈니 《내 이름은 콘래드》 | 로버트 A. 하인라인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 |
<rowcolor=#fff>제15회 (1968년) | 제16회 (1969년) | 제17회 (1970년) | 제18회 (1971년) | 제19회 (1972년) | |
로저 젤라즈니 《신들의 사회》 | 존 브러너 《Stand on Zanzibar》 | 어슐러 K. 르 귄 《어둠의 왼손》 | 래리 니븐 《링월드》 | 필립 호세 파머 《가라, 흩어진 너희 몸들로》 | |
<rowcolor=#fff>제20회 (1973년) | 제21회 (1974년) | 제22회 (1975년) | 제23회 (1976년) | 제24회 (1977년) | |
아이작 아시모프 《신들 자신》 | 아서 C. 클라크 《라마와의 랑데부》 | 어슐러 K. 르 귄 《빼앗긴 자들》 | 조 홀드먼 《영원한 전쟁》 | 케이트 윌헬름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
<rowcolor=#fff>제25회 (1978년) | 제26회 (1979년) | 제27회 (1980년) | 제28회 (1981년) | 제29회 (1982년) | |
프레데릭 폴 《Gateway》 | 본다 N. 매킨타이어 《Dreamsnake》 | 아서 C. 클라크 《낙원의 샘》 | 조앤 D. 빈지 《The Snow Queen》 | C. J. 체리 《다운빌로 스테이션》 | |
<rowcolor=#fff>제30회 (1983년) | 제31회 (1984년) | 제32회 (1985년) | 제33회 (1986년) | 제34회 (1987년) | |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의 끝》 | 데이비드 브린 《스타타이드 라이징》 | 윌리엄 깁슨 《뉴로맨서》 | 오슨 스콧 카드 《엔더의 게임》 | 오슨 스콧 카드 《사자의 대변인》 | |
<rowcolor=#fff>제35회 (1988년) | 제36회 (1989년) | 제37회 (1990년) | 제38회 (1991년) | 제39회 (1992년) | |
데이비드 브린 《The Uplift War》 | C. J. 체리 《Cyteen》 | 댄 시먼스 《히페리온》 |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보르 게임》 |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바라야 내전》 | |
<rowcolor=#fff>제40회 (1993년) | 제41회 (1994년) | 제42회 (1995년) | 제43회 (1996년) | ||
버너 빈지 《심연 위의 불길》 | 코니 윌리스 《둠즈데이 북》 | 킴 스탠리 로빈슨 《녹색 화성》 |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미러 댄스》 | 닐 스티븐슨 《다이아몬드 시대》 | |
<rowcolor=#fff>제44회 (1997년) | 제45회 (1998년) | 제46회 (1999년) | 제47회 (2000년) | 제48회 (2001년) | |
킴 스탠리 로빈슨 《푸른 화성》 | 조 홀드먼 《Forever Peace》 | 코니 윌리스 《개는 말할 것도 없고》 | 버너 빈지 《A Deepness in the Sky》 | J. K. 롤링 《해리 포터와 불의 잔》 | |
<rowcolor=#fff>제49회 (2002년) | 제50회 (2003년) | 제51회 (2004년) | 제52회 (2005년) | 제53회 (2006년) | |
닐 게이먼 《신들의 전쟁》 | 로버트 J. 소여 《Hominids》 |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Paladin of Souls》 | 수재나 클라크 《조나단 스트레인지와 마법사 노렐》 | 로버트 찰스 윌슨 《Spin》 | |
<rowcolor=#fff>제54회 (2007년) | 제55회 (2008년) | 제56회 (2009년) | 제57회 (2010년) | ||
버너 빈지 《Rainbows End》 | 마이클 셰이본 《유대인 경찰연합》 | 닐 게이먼 《그레이브야드 북》 | 파올로 바치갈루피 《와인드업 걸》 | 차이나 미에빌 《이중 도시》 | |
<rowcolor=#fff>제58회 (2011년) | 제59회 (2012년) | 제60회 (2013년) | 제61회 (2014년) | 제62회 (2015년) | |
코니 윌리스 《블랙아웃》 《올 클리어》 | 조 월턴 《타인들 속에서》 | 존 스칼지 《레드셔츠》 | 앤 레키 《사소한 정의》 | 류츠신(저자) 켄 리우(역자) 《삼체》 | |
<rowcolor=#fff>제63회 (2016년) | 제64회 (2017년) | 제65회 (2018년) | 제66회 (2019년) | 제67회 (2020년) | |
N. K. 제미신 《다섯 번째 계절》 | N. K. 제미신 《오벨리스크의 문》 | N. K. 제미신 《석조 하늘》 | 메리 로비네트 코왈 《The Calculating Stars》 | 아르카디 마틴 《A Memory Called Empire》 | |
<rowcolor=#fff>제68회 (2021년) | 제69회 (2022년) | 제70회 (2023년) | 제71회 (2024년) | 제72회 (2025년) | |
마샤 웰스 《Network Effect》 | 아르카디 마틴 《A Desolation Called Peace》 | T. 킹피셔 《Nettle & Bone》 | 에밀리 테쉬 《Some Desperate Glory》 | ||
레트로 휴고상 | |||||
<rowcolor=#fff>1939년 (2014년) | 1941년 (2016년) | 1943년 (2018년) | 1944년 (2019년) | 1945년 (2020년) | |
T. H. 화이트 《The Sword in the Stone》 | A. E. 밴보트 《슬랜》 | 로버트 A. 하인라인 《Beyond This Horizon》 | 프리츠 라이버 《아내가 마법을 쓴다》 | 리 브래킷 《Shadow Over Mars》 | |
<rowcolor=#fff>1946년 (1996년) | 1951년 (2001년) | 1954년 (2004년) | |||
아이작 아시모프 《뮬》 | 로버트 A. 하인라인 《우주의 개척자》 | 레이 브래드버리 《화씨 451》 | |||
* 1957년 제4회 휴고상 시상식은 장편 부문을 비롯한 여러 부문들을 제외하고 진행되었다. | }}}}}}}}}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버너 슈테펜 빈지 Vernor Steffen Vinge | |
출생 | 1944년 10월 2일 |
미국 위스콘신 워키쇼 | |
사망 | 2024년 3월 20일 (향년 79세) |
미국 캘리포니아 라호이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조앤 D. 빈지 (아내) |
학력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수학 / 박사) |
직업 | 수학자, 컴퓨터과학자, 소설가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 사이언스 픽션 작가. 1971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에서 수학과 컴퓨터과학을 가르치다가, 2000년에 교수직에서 은퇴하고 전업 작가가 되었다.1965년 영국의 SF 잡지 New Worlds에 핵전쟁으로 북반구가 멸망하고 남반구 사람들이 세계를 지배하는 단편 "Apartness"를 게재하면서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여러 SF 잡지에서 침팬지로 지능강화 실험을 하다가 뇌가 미국 정부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바람에 소동이 벌어지는 "Bookworm, Run!" (아날로그, 1966)이나 회사 컴퓨터 시간을 횡령해서 《반지의 제왕》 CG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The Accomplice" (이프, 1967) 등의 중단편을 발표했다. 장편으로는 성간 노예상인들에게 착취당하는 원시적인 인간 행성의 이야기인 Grimm's World (1969)[1]와 인간 탐험가들이 초능력 외계인들이 사는 원시적인 행성에 조난당하는 The Witling (1976) 등을 썼다.
버너 빈지가 본격적으로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게 된 것은 1981년 중편 "True Names"[2]를 발표하면서부터다. 익명으로 네트워크를 누비는 사람들과 이들의 진짜 이름을 밝혀내려는 정부기관과의 투쟁을 다룬 이 소설은 사이버스페이스를 소재로 한 작품의 효시로 간주되며,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나 닐 스티븐슨의 《스노 크래시》 등 후대 사이버펑크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고, 실제 해커와 컴퓨터과학자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1983년의 잡지 기고문과 1993년의 논문 〈다가오는 기술적 특이점〉을 통해 '기술적 특이점'이란 용어를 만들어내고 대중화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이 기술적 특이점이란 개념은 특이점과 정치권력의 문제를 다룬 Realtime 시리즈 (1984~1986), 특이점을 비롯해 집단정신, 인터넷, 포스트 휴먼 문명 등이 등장하는 빈지풍 하드 SF 스페이스 오페라의 총결산인 《심연 위의 불길》과 그 속편들인 《사고의 권역》 시리즈 (1992~2011), 특이점 이후의 증강현실과 유비쿼터스 사회를 무대로 한 Rainbows End (2006) 등 버너 빈지의 여러 소설들 속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2011년 이후로는 잡지 《네이처》에서 2015년과 2017년에 단편 두 개를 발표한 것 외엔 별 활동이 없었다.
2024년 79세 나이로 사망했다. 당시 파킨슨병을 앓고 있었다고 한다.
2. 작품
- 심연 위의 불길 A Fire Upon the Deep (1992)
여러 소설을 썼지만 한국에서는 이것 하나만 번역되었다.
3. 수상
- 프로메테우스상
- 1987: Marooned in Realtime (장편소설)
- 2000: A Deepness in the Sky (장편소설)
- 2004: "The Ungoverned" (명예의 전당)
- 2007: "True Names" (명예의 전당)
- 2014: 평생공로상 (특별상)
- 휴고상
- 1993: 《심연 위의 불길》 (장편소설)
- 2000: A Deepness in the Sky (장편소설)
- 2002: "Fast Times at Fairmont High" (중편소설)
- 2004: "The Cookie Monster" (중편소설)
- 2007: Rainbows End (장편소설)
- SF 크로니클상[3]
- 1993: 《심연 위의 불길》 (장편소설)
- 존 W. 캠벨 기념상
- 2000: A Deepness in the Sky
- 쿠르드 라스위츠상[4]
- 2004: A Deepness in the Sky (해외 장편소설)
- 로커스상
- 2004: "The Cookie Monster" (중편소설)
- 2007: Rainbows End (SF 장편소설)
- 이그노투스상[5]
- 2008: "The Cookie Monster" (해외 단편소설)
- 로버트 A. 하인라인상[6]
- 2020: 수상
4. 여담
아내 조앤 D. 빈지도 유명한 SF 작가다.[7] 둘은 1972년 결혼했고 1979년 이혼했다.5. 외부 링크
[1] 버너 빈지의 첫 장편으로, 원래는 1968년 앤솔러지 Orbit 4에서 발표한 중편 "Grimm's Story"의 확장판이다.[2] 앤솔러지 Binary Star No. 5에서 발표[3] SF Chronicle Award. 잡지 《SF 크로니클》에서 수여하는 독자 투표상[4] Kurd Laßwitz Preis. 독일의 SF 문학상[5] Premios Ignotus. 스페인의 장르 문학상[6] Robert A. Heinlein Award. 하인라인 협회에서 수여하는 SF 문학상으로, 우주탐사에 영감을 준 작가들에게 수여한다.[7] 대표작으론 휴고상 수상작 The Snow Queen (1980)이 있다. 한국에서 번역된 소설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