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22:59:45

와인드업 걸

와인드업 걸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휴고상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제1회
(1953년)
제2회
(1955년)
제3회
(1956년)
제5회
(1958년)*
알프리드 베스터
파괴된 사나이
마크 클리프턴, 프랭크 라일리
They'd Rather Be Right
로버트 A. 하인라인
더블 스타
프리츠 라이버
《빅 타임》
<rowcolor=#fff>제6회
(1959년)
제7회
(1960년)
제8회
(1961년)
제9회
(1962년)
제10회
(1963년)
제임스 블리시
《양심의 문제》
로버트 A. 하인라인
스타십 트루퍼스
월터 M. 밀러 주니어
리보위츠를 위한 찬송
로버트 A. 하인라인
낯선 땅 이방인
필립 K. 딕
높은 성의 사나이
<rowcolor=#fff>제11회
(1964년)
제12회
(1965년)
제13회
(1966년)
제14회
(1967년)
클리퍼드 시맥
《여기 별들이 모이다》
프리츠 라이버
The Wanderer
프랭크 허버트
로저 젤라즈니
《내 이름은 콘래드》
로버트 A. 하인라인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rowcolor=#fff>제15회
(1968년)
제16회
(1969년)
제17회
(1970년)
제18회
(1971년)
제19회
(1972년)
로저 젤라즈니
신들의 사회
존 브러너
Stand on Zanzibar
어슐러 K. 르 귄
어둠의 왼손
래리 니븐
링월드
필립 호세 파머
《가라, 흩어진 너희 몸들로》
<rowcolor=#fff>제20회
(1973년)
제21회
(1974년)
제22회
(1975년)
제23회
(1976년)
제24회
(1977년)
아이작 아시모프
신들 자신
아서 C. 클라크
라마와의 랑데부
어슐러 K. 르 귄
빼앗긴 자들
조 홀드먼
영원한 전쟁
케이트 윌헬름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rowcolor=#fff>제25회
(1978년)
제26회
(1979년)
제27회
(1980년)
제28회
(1981년)
제29회
(1982년)
프레데릭 폴
Gateway
본다 N. 매킨타이어
Dreamsnake
아서 C. 클라크
낙원의 샘
조앤 D. 빈지
The Snow Queen
C. J. 체리
《다운빌로 스테이션》
<rowcolor=#fff>제30회
(1983년)
제31회
(1984년)
제32회
(1985년)
제33회
(1986년)
제34회
(1987년)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의 끝
데이비드 브린
스타타이드 라이징
윌리엄 깁슨
뉴로맨서
오슨 스콧 카드
엔더의 게임
오슨 스콧 카드
《사자의 대변인》
<rowcolor=#fff>제35회
(1988년)
제36회
(1989년)
제37회
(1990년)
제38회
(1991년)
제39회
(1992년)
데이비드 브린
The Uplift War
C. J. 체리
Cyteen
댄 시먼스
히페리온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보르 게임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바라야 내전
<rowcolor=#fff>제40회
(1993년)
제41회
(1994년)
제42회
(1995년)
제43회
(1996년)
버너 빈지
심연 위의 불길
코니 윌리스
둠즈데이 북
킴 스탠리 로빈슨
Green Mars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미러 댄스
닐 스티븐슨
《다이아몬드 시대》
<rowcolor=#fff>제44회
(1997년)
제45회
(1998년)
제46회
(1999년)
제47회
(2000년)
제48회
(2001년)
킴 스탠리 로빈슨
Blue Mars
조 홀드먼
Forever Peace
코니 윌리스
《개는 말할 것도 없고》
버너 빈지
A Deepness in the Sky
J. K. 롤링
해리 포터와 불의 잔
<rowcolor=#fff>제49회
(2002년)
제50회
(2003년)
제51회
(2004년)
제52회
(2005년)
제53회
(2006년)
닐 게이먼
신들의 전쟁
로버트 J. 소여
Hominids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Paladin of Souls
수재나 클라크
조나단 스트레인지와 마법사 노렐
로버트 찰스 윌슨
Spin
<rowcolor=#fff>제54회
(2007년)
제55회
(2008년)
제56회
(2009년)
제57회
(2010년)
버너 빈지
Rainbows End
마이클 셰이본
유대인 경찰연합
닐 게이먼
그레이브야드 북
파올로 바치갈루피
와인드업 걸
차이나 미에빌
이중 도시
<rowcolor=#fff>제58회
(2011년)
제59회
(2012년)
제60회
(2013년)
제61회
(2014년)
제62회
(2015년)
코니 윌리스
《블랙아웃》
《올 클리어》
조 월턴
《타인들 속에서》
존 스칼지
레드셔츠
앤 레키
사소한 정의
류츠신(저자)
켄 리우(역자)
삼체
<rowcolor=#fff>제63회
(2016년)
제64회
(2017년)
제65회
(2018년)
제66회
(2019년)
제67회
(2020년)
N. K. 제미신
다섯 번째 계절
N. K. 제미신
《오벨리스크의 문》
N. K. 제미신
《석조 하늘》
메리 로비네트 코왈
The Calculating Stars
아르카디 마틴
A Memory Called Empire
<rowcolor=#fff>제68회
(2021년)
제69회
(2022년)
제70회
(2023년)
제71회
(2024년)
제72회
(2025년)
마샤 웰스
Network Effect
아르카디 마틴
A Desolation Called Peace
T. 킹피셔
Nettle & Bone
에밀리 테쉬
Some Desperate Glory
레트로 휴고상
<rowcolor=#fff>1939년
(2014년)
1941년
(2016년)
1943년
(2018년)
1944년
(2019년)
1945년
(2020년)
T. H. 화이트
The Sword in the Stone
A. E. 밴보트
《슬랜》
로버트 A. 하인라인
Beyond This Horizon
프리츠 라이버
《아내가 마법을 쓴다》
리 브래킷
Shadow Over Mars
<rowcolor=#fff>1946년
(1996년)
1951년
(2001년)
1954년
(2004년)
아이작 아시모프
로버트 A. 하인라인
《우주의 개척자》
레이 브래드버리
화씨 451
* 1957년 제4회 휴고상 시상식은 장편 부문을 비롯한 여러 부문들을 제외하고 진행되었다. }}}}}}}}}

파일:네뷸러상 로고.png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소설 수상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65년)
제2회
(1966년)
제3회
(1967년)
제4회
(1968년)
제5회
(1969년)

프랭크 허버트
앨저넌에게 꽃을
대니얼 키스
《바벨-17》
새뮤얼 딜레이니
The Einstein Intersection
새뮤얼 딜레이니
Rite of Passage
알렉세이 팬신
어둠의 왼손
어슐러 K. 르 귄
제6회
(1970년)
제7회
(1971년)
제8회
(1972년)
제9회
(1973년)
제10회
(1974년)
링월드
래리 니븐
A Time of Changes
로버트 실버버그
신들 자신
아이작 아시모프
라마와의 랑데부
아서 C. 클라크
빼앗긴 자들
어슐러 K. 르 귄
제11회
(1975년)
제12회
(1976년)
제13회
(1977년)
제14회
(1978년)
제15회
(1979년)
영원한 전쟁
조 홀드먼
Man Plus
프레데릭 폴
Gateway
프레데릭 폴
Dreamsnake
본다 N. 매킨타이어
낙원의 샘
아서 C. 클라크
제16회
(1980년)
제17회
(1981년)
제18회
(1982년)
제19회
(1983년)
제20회
(1984년)
《타임스케이프》
그레고리 벤포드
The Claw of the
Conciliator

진 울프
No Enemy But Time
마이클 비숍
스타타이드 라이징
데이비드 브린
뉴로맨서
윌리엄 깁슨
제21회
(1985년)
제22회
(1986년)
제23회
(1987년)
제24회
(1988년)
제25회
(1989년)
엔더의 게임
오슨 스콧 카드
《사자의 대변인》
오슨 스콧 카드
《추락하는 여인》
팻 머피
Falling Free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The Healer's War
엘리자베스 앤 스카보로프
제26회
(1990년)
제27회
(1991년)
제28회
(1992년)
제29회
(1993년)
제30회
(1994년)
테하누
어슐러 K. 르 귄
Stations of the Tide
마이클 스완윅
둠즈데이 북
코니 윌리스
붉은 화성
킴 스탠리 로빈슨
Moving Mars
그레그 베어
제31회
(1995년)
제32회
(1996년)
제33회
(1997년)
제34회
(1998년)
제35회
(1999년)
The Terminal Experiment
로버트 J. 소여
Slow River
니컬라 그리피스
The Moon and the Sun
본다 N. 매킨타이어
Forever Peace
조 홀드먼
《은총을 받은 사람의
우화》
옥타비아 E. 버틀러
제36회
(2000년)
제37회
(2001년)
제38회
(2002년)
제39회
(2003년)
제40회
(2004년)
《다윈의 라디오》
그레그 베어
The Quantum Rose
캐서린 아사로
신들의 전쟁
닐 게이먼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Paladin of Souls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제41회
(2005년)
제42회
(2006년)
제43회
(2007년)
제44회
(2008년)
제45회
(2009년)
Camouflage
조 홀드먼
Seeker
잭 맥데빗
유대인 경찰연합
마이클 셰이본
《파워》
어슐러 K. 르 귄
와인드업 걸
파올로 바치갈루피
제46회
(2010년)
제47회
(2011년)
제48회
(2012년)
제49회
(2013년)
제50회
(2014년)
《블랙 아웃》
《올클리어》
코니 윌리스
《타인들 속에서》
조 월튼
2312
킴 스탠리 로빈슨
사소한 정의
앤 레키
《소멸의 땅》
제프 밴더미어
제51회
(2015년)
제52회
(2016년)
제53회
(2017년)
제54회
(2018년)
제55회
(2019년)
《업루티드》
나오미 노빅
All the Birds in the Sky
찰리 제인 앤더스
《석조 하늘》
N. K. 제미신
The Calculating Stars
메리 로비네트 코왈
A Song for a New Day
사라 핀스커
제56회
(2020년)
제57회
(2021년)
제58회
(2022년)
제59회
(2023년)
제60회
(2024년)
Network Effect
마샤 웰스
A Master of Djinn
P. 젤리 클라크
Babel
R. F. 쿠앙
The Saint of Bright Doors
바이라 찬드라세케라
-
}}}}}}}}}}}}}}} ||

역대 성운상 시상식
파일:seiunprize.jpg
해외 장편 부문
제42회
(2011년)
제43회
(2012년)
제44회
(2013년)
마이클 F. 플린
《Eifelheim》
파올로 바치갈루피
《와인드업 걸》
존 스칼지
《The Android's Dream》

역대 로커스상 시상식
파일:로커스상.jpg
데뷔 장편 부문
제39회
(2009년)
제40회
(2010년)
제41회
(2011년)
폴 멜코
《Singularity's Ring》
파올로 바치갈루피
《와인드업 걸》
N. K. 제미신
《십만왕국》

}}} ||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

1. 개요

파올로 바치갈루피 作의 SF 디스토피아 소설. 유전자 조작의 위험성과 인간의 기본적인 인권 문제를 바탕으로 꿈도 희망도 없는 세계관을 다양하게 풀어나가는 바이오펑크 소설이다.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 켐벨상, 콤턴 크룩상을 수상했다.

2. 줄거리

무계획적인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전세계적인 환경대재앙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각국의 영토분쟁, 고갈되어 가는 자원, 극단적인 사상 등으로 인해 점점 막장으로 치달아가는 먼 미래의 지구.

대부분의 나라들은 유전자 조작 처리된 생물들을 주자원으로 삼거나 메탄 가스 및 압축 스프링 에너지를 선점한 대기업의 횡포로 인해 점차 경제가 막장이 되어 간다.

이런 와중에 태국수도가 언젠가는 수몰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데다가 베트남과의 영토 및 석탄 전쟁, 난민化된 화교의 후예들 문제와 외국의 대기업의 실력행사 등으로 인해 몇 번의 위기를 겪지만 그래도 이를 꾹 참으면서까지 제대로 된 경제와 정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 와중에 어느 대기업이 추진해 온, 해초의 에너지를 이용한 압축 스프링 전지를 생산하는 공장의 감시관으로써 태국에 온 사업가 앤더슨은 방콕의 노천시장에서 유전자 조작 해충과 균의 징후가 거의 없는 과일을 발견하게 되고, 태국 정부에서 비밀리에 식물의 종자를 보관하고 있을 거라는 의혹을 안겨주게 된다.

한편 방콕의 빈민촌 깊숙이 자리한 술집에서 일하는 매춘부인 에미코는 옛날의 행복했던 때와 현재의 비참한 현실 사이의 간극에 괴로워하지만 점차 한계를 내 보이고, 결국엔 큰 사고를 쳐서 태국 전체의 폭동과 내란을 불러들이는 전초가 되고 만다.

태국의 정부기관인 「무역성」과 「환경성」과의 대대적인 내란 와중에 다양한 인간군상이 엮여지는데...

3. 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