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1:07:40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0.5px -11px"
시 교육청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로고.svg 파일:부산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대구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인천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광주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울산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로고.svg
도 교육청
파일:경기도교육청 로고.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충청북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충청남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전라남도교육청 로고.svg 파일:경상북도교육청 로고.svg 파일:경상남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로고.svg }}}}}}}}}

부산광역시교육청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釜山廣域市敎育廳
파일:부산광역시교육청 로고.svg
<colbgcolor=#018947><colcolor=#fff>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화지로 12
설립 1963년 2월 3일
소속기관 21개 기관
(직속기관 10개, 도서관 11개)
교육감 김석준 (3선)[1] [[진보주의|
진보
]]
부교육감 공석
슬로건 다함께 미래로! 앞서가는 부산교육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tree 로고.svg

1. 개요2. 조직
2.1. 본청2.2. 교육지원청2.3. 직속기관
3. 역대 부산광역시교육감4. 찾아오는 길5. 사건사고6. 기타

1. 개요

부산광역시의 교육,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할하고 있는 기관이다.

• 1952년: 부산시교육위원회 설치.
• 1962년: 부산시교육위원회 폐지(부산시청 교육국으로 소관 사무 이관)
• 1964년: 부산시 교육위원회 재설치.
• 1981년: 부산직할시교육위원회로 명칭 변경.
• 1991년: 부산직할시교육청으로 개편.
• 1995년: 부산광역시교육청으로 명칭 변경.

파일:부산교육청 슬로건.png
제18대 슬로건

2. 조직

2.1. 본청

2.2. 교육지원청

동부교육지원청[2]은 2007년 3월 1일부로 남부와 통합되었다.[3] 또한 면적이 넓은 강서구기장군의 경우 학군이 2개씩으로 나뉘어있는데 강서구는 주로 서부와 북부[4], 기장군은 동래해운대 학군으로 나뉘어 있다.[5] 2008년 까지는 4개 학군이었으나 2010년 입학생부터 해운대 학군이 추가되어 교육지원청별 5개학군으로 변경되었다.

2.3. 직속기관[8]

3. 역대 부산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광역시교육감#|]][[부산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산광역시교육청 휘장.svg
부산광역시교육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오복근
제2대
이윤근
제3대
홍순철
제4·5대
구용현
제6대
박찬우
제7대
주상우
제8대
조민식
제9대
우명우
제10·11대
정순택
제12-14대
설동근
제15대
임혜경
제16·17대
김석준
제18대
하윤수
제19대
김석준
파일:부산교육청 슬로건.png }}}}}}}}}
<rowcolor=#fff> 대수 이름 임기 표어 비고
관선
1대오복근1964년 2월 4일 ~ 1968년 2월 3일교육의 민주화
2대이윤근1968년 2월 4일 ~ 1972년 2월 3일선량하고 유능한 민주 시민 육성
3대홍순철1972년 2월 4일 ~ 1976년 2월 3일참다운 한국인 육성
4대구용현1976년 2월 4일 ~ 1981년 1월 30일애국하는 마음, 조화로운 품성, 슬기로운 능력,
강건한 체력을 지닌 자랑스런 한국인의 육성
5대재선
6대박찬우1981년 2월 26일 ~ 1985년 2월 26일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성실하고 창의적인
자랑스런 한국인의 육성
7대주상우1985년 3월 6일 ~ 1987년 2월 28일
8대조민식1987년 3월 1일 ~ 1991년 2월 28일
간선
9대우명수1991년 3월 4일 ~ 1995년 2월 28일
10대정순택1995년 3월 2일 ~ 2000년 10월 5일
11대재선
12대설동근2000년 10월 6일 ~ 2007년 6월 30일꿈과 보람과 만족을 주는 교육 실현
13대재선
직선
14대설동근2007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꿈과 보람과 만족을 주는 교육 실현첫 직선
3선
15대임혜경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인재 육성초선
16대김석준2014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모두에게 희망을 주는 부산교육초선
17대재선
18대하윤수2022년 7월 1일 ~ 2024년 12월 12일꿈을 현실로! 희망 부산교육초선[9]
권한대행최윤홍2024년 12월 12일 ~ 2025년 2월 28일 [10]
이상율 2025년 3월 1일 ~ 2025년 4월 2일
19대김석준 2025년 4월 3일 ~ 현재 다함께 미래로! 앞서가는 부산교육 3선

4. 찾아오는 길

파일:external/www.pen.go.kr/introduce09_img01_01.gif
출처

5.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자 공무원 보건실 사용 금지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자 공무원 보건실 사용 금지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자 공무원 보건실 사용 금지 논란#|]][[남자 공무원 보건실 사용 금지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1] 민선 6·7·8[2] 부산진구, 연제구 관할. 당시에는 동부교육청이었다.[3] 이때 연제구는 동래로 갔으며, 본래 남부 관할이었던 중구는 서부로 관할이 바뀌었다.[4] 평강천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을 경계로 학군이 바뀐다고 생각하면 쉽다.[5] 정관읍장안읍철마면은 동래학군이고, 기장읍일광읍은 해운대학군이다.[6] 반여동, 반송동, 석대동은 4학군에 해당.[7] 장안읍, 정관읍, 철마면은 4학군에 해당.[8] 설치조례에 따른 직속기관이다.[9] 당선무효[10]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출마로 인한 사퇴.[11] 후술되지만 불합격자가 아니었다[12] 라고 당시에 발표했으나 후술하겠지만 부정청탁이었다[13] 링크된 유튜브 댓글에는 피해자의 친구가 댓글을 달았다[14] 황범 앵커의 사전녹화 진행으로 월요일 아침 모닝통통통 방송 직후인 8시 20분경부터 5~10분 방송.[15] 서울특별시교육청은 10모 국어는 평이하게 출제한 대신, 3모 국어를 고3 기준 1컷 80점대, 고2 기준 1컷 70점대로 매우 어렵게 출제하며 2025년에는 이것도 모자라서 그나마 평이하게 출제된 수학의 난이도마저 급상승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수학을 고3 기준 1컷 70점대, 고1/고2 기준 1컷 80~84점으로 매우 어렵게 출제한다. 난이도 조절을 잘하는 편이었던 경기도교육청은 최근 들어 수학, 영어의 난이도가 급상승하여 수학의 경우 고3 기준 1컷 70점대, 고1/고2의 경우 2020년~2023년에는 평이하게 출제되었으나 2024년에는 각각 1컷 76점, 82점으로 상당히 어렵게 출제되었다. 영어는 1등급 비율이 고1/고2 기준 2~3%대로 매우 어렵게 출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