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6:49:36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서울의료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e1932><colcolor=#fff> 지방공기업 서울특별시 서울아리수본부 | 서울특별시 하수도
서울교통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서울에너지공사 | 서울시설공단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지방출연기관 서울의료원 | 서울연구원 | 서울경제진흥원 | 서울신용보증재단 | 세종문화회관 |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서울시복지재단 | 서울문화재단 | 서울시립교향악단 | 서울디자인재단 | 서울장학재단 |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 서울디지털재단 | 120다산콜재단 | 서울특별시공공보건의료재단 | 서울기술연구원 | 서울관광재단 | 서울특별시사회서비스원
}}}}}}}}} ||
서울의료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관내 종합병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5f5f5,#1f2023> 강남구 강남을지대학교병원, 강남베드로병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분원),, 우리들병원,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동구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성심의료재단 강동성심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
강북구 대한병원
강서구 미즈메디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인당의료재단 서울부민병원
관악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광진구 건국대학교병원, 혜민병원
구로구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구로성심병원
금천구 희명병원
노원구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도봉구 한일병원
동대문구 경희의료원, 삼육서울병원, 서울성심병원, 서울특별시 동부병원
동작구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서대문구 동신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초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기쁨병원
성동구 한양대학교병원, 베스티안 서울병원
성북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송파구 국립경찰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양천구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홍익병원
영등포구 씨엠병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대림성모병원, 명지성모병원, 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용산구 소화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금강아산병원
은평구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청구성심병원
종로구 국군서울지구병원, 세란병원, 강북삼성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적십자병원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중랑구 녹색병원, 동부제일병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서울지역 상급종합병원
2023년 11월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기준
}}}}}}}}}

파일:지방의료원연합.png 지방의료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울특별시
중량구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동작구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양천구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은평구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동부병원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의료원
옹진군 인천광역시의료원 백령병원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광역시의료원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의료원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의정부시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안성시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이천시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파주시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포천시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성남시 성남시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의료원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의료원
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의료원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의료원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의료원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의료원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의료원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공주의료원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의료원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의료원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의료원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료원
남원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료원
진안군 진안군의료원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강진의료원
순천시 전라남도 순천의료원
목포시 목포시의료원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북도 김천의료원
안동시 경상북도 안동의료원
포항시 경상북도 포항의료원
울진군 울진군의료원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마산의료원
진주시 경상남도 진주의료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료원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료원
}}}}}}}}} ||

권역응급의료센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번 권역 개소수 응급의료기관
1 서울서북 1 서울대학교병원
2 서울동북 2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안암병원)
3 서울서남 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4 서울동남 2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한양대학교병원
5 부산 3 동아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6 대구 2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7 인천 3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8 광주 2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9 대전 2 충남대학교병원
학교법인 건양교육재단 건양대학교병원
10 울산 1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11 경기서북 2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12 경기동북 1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13 경기서남 3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안산병원
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14 경기동남 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15 강원영동 1 강릉아산병원
16 강원춘천 1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17 원주충주 1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18 충남천안 2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학교법인 동은학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19 충북청주 1 충북대학교병원
20 전북익산 1 원광대학교병원*
21 전북전주 1 전북대학교병원
22 전남목포 1 목포한국병원*
23 전남순천 1 성가롤로병원
24 경북안동 1 의료법인 안동병원*
25 경북구미 1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26 경북포항 1 포항성모병원
27 경남창원 1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삼성창원병원
28 경남진주 1 경상국립대학교병원
29 제주 1 제주한라병원*
29개 권역 44
* 닥터헬기 보유기관 }}}}}}}}}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번 시도 개설허가번호 의료기관 명칭
1 서울특별시 제2011-3060034-00001호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권역응급의료센터)
2 인천광역시 제1981-6280000-20-00001호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3 대전광역시 제1984-6300000-20-00001호 충남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4 울산광역시 제1977-3710033-00001호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5 경기도 제2001-3860049-00001호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6 경기도 제1983-4050147-00001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7 강원특별자치도 제1982-6420000-20-00001호 강원대학교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8 전북특별자치도 제1981-6450000-20-00101호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9 경상북도 제1982-6470000-20-00001호 의료법인 안동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10 제주특별자치도 제1965-6490000-20-00001호 제주대학교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 ||
<colcolor=#fff> 서울의료원
서울特別市 서울醫療院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Medical Center
파일: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로고.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개원 1977년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156 (신내동 316)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114길 43 (삼성동 171-1)
종류 종합병원
병상 수 655병상[1]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홈페이지
본원
1. 개요2. 상징3. 설립 목적
3.1. 설립 근거
4. 진료과 및 규모5. 연혁
5.1.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6. 기타 서울특별시 산하 공공병원 일람
6.1. 서울특별시 직영 시립병원6.2. 위탁 운영 중인 시립병원
7. 논란 및 사건사고
7.1. 극단적 선택 행정직원 산재 인정7.2. 청소노동자 폐기물 감염 사망 산재 인정7.3. 간호사 태움 논란7.4. 암투병 간호사 호스피스 병동 배치 논란7.5. 서울의료원장의 갑질 논란7.6. 부대시설 업체에 임대료 면제 번복 논란
8. 기타9. 둘러보기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img.sbs.co.kr/10000507122_700.jpg
▲서울의료원 전경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156 (신내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산하 공공 종합병원. 1977년 강남개발과 맞물려서 서울특별시 시립 강남병원으로 설립돼서 서울시의 대표적인 공공병원으로 자리매김했으나 강남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해서 저소득층의 진료를 담당하는 병원으로 좀 더 목적에 부합하고자 2008년 현 부지에 공사를 착공해서 2011년 5월 신축된 병원으로 이전했다.

2. 상징

파일: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로고.svg 파일:smc_signature.jpg
▲서울의료원 로고 ▲예전 로고

3. 설립 목적

진료와 의학연구를 통하여 시민의 보건향상을 도모하고 공공의료의 질 향상과 보건의료사업발전에 기여한다.[2]

3.1. 설립 근거

서울특별시 산하 다른 공공병원들이 서울특별시립병원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로 설치된 것과는 별도의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링크)에 따라 설립된 병원이다.

4. 진료과 및 규모

5. 연혁

5.1.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114길 43(삼성동)에 소재한 <서울의료원>의 분원이다. 원래, 여기가 서울의료원이였으나 이전 후 분원으로 격하되었다. 애초 2015년경 부지가 매각될 예정으로 있으며 매각이후에는 폐쇄될 예정이다. 그러나, 2020년 현재 3번에 걸친 매각 시도가 실패한 상태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위치는 최상이나 부지형태 및 매각가격의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일각에선 바로 뒤가 탄천으로 막혀 있고 무역센터지구 쪽에서도 길이 묘하게 접근하기 애매해서 개발하기 난해하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추후 GBC가 정상적으로 개발이 시작되면 재차 매각 시도를 할 예정이다. 토지 매각을 위해 현재는 철거되었다. #

이 건물에 서울시립 청소년드림센터가 있었다가 2022년 4월 양천구 신월3동으로 이전했다.

6. 기타 서울특별시 산하 공공병원 일람

서울의료원은 서울시가 출연하였을 뿐 서울시와 별도로 존재하는 특수법인인 반면, 아래 병원들은 원칙적으로는 서울시의 행정 조직 중 하나이다. 다만, 직영 병원의 경우에는 서울시 소속 지방직 공무원들에 의해 직접 운영되는 반면, 위탁 운영되는 병원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탁기관 혹은 해당 병원에서 직접 채용한 비공무원 직원들에 의해 운영된다. [5]

6.1. 서울특별시 직영 시립병원

시립병원들이 개원한 초창기에는 거의 대부분의 병원들이 직영 병원이었으나 현재는 아래 세 개 병원만이 남아 있다.

6.2. 위탁 운영 중인 시립병원

서울특별시립병원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에 따라, 아래 시립병원들은 여전히 서울특별시 소유이나 운영은 민간 의료법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7. 논란 및 사건사고

7.1. 극단적 선택 행정직원 산재 인정

2015년 11월 서울의료원의 행정직원으로 근무하던 A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있었다. 당시 A씨의 죽음과 관련해선 잦은 부서 이동과 업무 과다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그 원인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실제 A씨는 2012년 서울의료원에 입사한 뒤 3년 동안 원무팀과 기획팀, 총무팀, 의학연구소 등 4개 부서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

2019년 5월 행정직원의 산재가 인정되었다. #

7.2. 청소노동자 폐기물 감염 사망 산재 인정

2019년 6월 과로사 논란을 낳았던 서울의료원 60대 청소노동자 A씨가 산업재해 승인을 받았다. 근로복지공단은 A씨 사망이 의료 폐기물 감염에 따른 것으로 판단하고 업무 관련성을 인정해 산재로 인정했다고 밝혔다. #

7.3. 간호사 태움 논란

2013년 3월 서울의료원에 입사해 일하던 고 서지윤 간호사는 2018년 12월 17일 간호행정부서로 발령받은 뒤인 2019년 1월 5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서울시는 같은 해 9월 서 간호사가 직장 내 괴롭힘을 겪었다는 결론을 내고 책임자 징계 및 구조 개선 등 재발방지책을 권고했고, 지난해 10월에는 근로복지공단도 서 간호사의 죽음이 직장 내 상황과 관련된 정신적 고통에서 비롯됐음을 인정하고 산업재해 판정을 내렸다. #

김민기 서울의료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김 원장은 사임 발표문에서 "혁신 방안이 마련된 만큼 서울의료원이 새 출발을 할 수 있도록 그간의 과오는 제가 대표로 안고 물러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2019년 1월 의료원 간호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뒤 의료계 직장 내 괴롭힘이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책임론에 휩싸였다.  #

직장 내 괴롭힘으로 사망한 고 서지윤 서울의료원 간호사와 관련해 혁신안이 발표됐지만, 책임자 처벌 항목이 누락되는 등 알맹이가 빠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 #

7.4. 암투병 간호사 호스피스 병동 배치 논란

암 판정을 받은 간호사를 말기 암 환자들이 주로 있는 호스피스 병동에 배치했다는 사실이 알려서 논란에 휩싸였다. #

7.5. 서울의료원장의 갑질 논란

2020년 6월 29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 서울지부 새서울의료원분회에 따르면 송 원장은 서울의료원 원장으로 취임하기 전인 지난 5월말 자신의 노모를 서울의료원에 입원시킨 뒤 담당 간호사들에게 부당한 업무지시를 내려 병원 내부에서 논란이 됐다. 송 원장이 간호사들에게 현금을 주고 "입원 중인 가족이 필요한 물건이 있다고 하면 사다주고, 영수증은 서랍에 넣어두라"고 지시했다는 게 서울의료원 노조 측 주장이다. #, #

7.6. 부대시설 업체에 임대료 면제 번복 논란

2021년 2월 서울의료원이 코로나19 확진자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부대시설들이 폐쇄되었다. 그런데 의료원 측은 병원 직원들을 위해 편의점만은 계속 열어 달라고 요청했으며, 업체 측에서는 큰 적자가 예상됐지만 서울의료원 측에서 임대료 면제를 적극 검토하고 계약도 연장해주겠다는 말에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6개월 뒤 의료원 측은 돌연 임대료 면제는 불가하고 40%를 깎아줄 테니 그동안 밀린 임대료 7천여만 원을 내라고 요구하여 소송을 제기한 상태이다. #

8. 기타

9. 둘러보기

권역응급의료센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번 권역 개소수 응급의료기관
1 서울서북 1 서울대학교병원
2 서울동북 2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안암병원)
3 서울서남 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4 서울동남 2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한양대학교병원
5 부산 3 동아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6 대구 2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7 인천 3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8 광주 2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9 대전 2 충남대학교병원
학교법인 건양교육재단 건양대학교병원
10 울산 1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11 경기서북 2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12 경기동북 1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13 경기서남 3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안산병원
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14 경기동남 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15 강원영동 1 강릉아산병원
16 강원춘천 1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17 원주충주 1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18 충남천안 2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학교법인 동은학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19 충북청주 1 충북대학교병원
20 전북익산 1 원광대학교병원*
21 전북전주 1 전북대학교병원
22 전남목포 1 목포한국병원*
23 전남순천 1 성가롤로병원
24 경북안동 1 의료법인 안동병원*
25 경북구미 1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26 경북포항 1 포항성모병원
27 경남창원 1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삼성창원병원
28 경남진주 1 경상국립대학교병원
29 제주 1 제주한라병원*
29개 권역 44
* 닥터헬기 보유기관 }}}}}}}}}

파일:지방의료원연합.png 지방의료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울특별시
중량구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동작구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양천구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은평구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동부병원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의료원
옹진군 인천광역시의료원 백령병원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광역시의료원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의료원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의정부시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안성시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이천시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파주시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포천시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성남시 성남시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의료원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의료원
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의료원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의료원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의료원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청주의료원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의료원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공주의료원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의료원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의료원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의료원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료원
남원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료원
진안군 진안군의료원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강진의료원
순천시 전라남도 순천의료원
목포시 목포시의료원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북도 김천의료원
안동시 경상북도 안동의료원
포항시 경상북도 포항의료원
울진군 울진군의료원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마산의료원
진주시 경상남도 진주의료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료원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료원
}}}}}}}}} ||

10. 관련 문서


[1] 본원 기준[2] 일반적인 공공병원의 목적보다는 좀 더 높은 의학연구까지 들어가 있는데 사실 서울시는 오래전부터 서울시립대에 의과대학 설치 및 서울의료원을 대학병원으로 바꿔서 좀 더 선도적인 공공병원으로 바꾸려는 계획을 추진중에 있었다. 문제는 의과대학의 인가가 절대 안 나고 있기 때문에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다.[3] 종로구 옥인동에서 1908년 30병상을 갖춘 순화원으로 설립되었고, 1914년 경성부립순화병원으로 개칭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시립순화병원, 시립중부병원이라는 이름으로 무료 진료를 해왔다. 1975년 기준 110개 병상과 의사 34명, 간호원 41명을 갖추고 95개 병상은 무료 환자를 위해 활용하였다. 용도만 변경되었을 뿐 여전히 민간에 매각되지 않고 경찰서로 활용되고 있는 <남부병원> 부지와 달리, <중부병원>은 병원 신축 및 이전 비용 마련을 위해 매각되었다.[4] 용산구 원효로에서 1918년 재단법인 경성불교 자재원으로 발족하였다. 해방 직후 서울시가 인수하여 시립 자혜병원, 시립 남부병원이라는 이름으로 무료 진료를 해왔다. 1975년 기준 105개 병상과 의사 25명, 간호원 40명을 갖추고 95개 병상은 무료 환자를 위해 활용하였다. 1977년 폐원 이후 해당 부지에는 서울용산경찰서가 이전해 현재까지 위치하고 있으며, 옛 용산경찰서 부지에는 용산구청이 들어섰다가 2010년 이태원으로 이전하였다.[5] 서울에 임용되는 간호직 공무원의 경우에는 발령 직후 3년여간 의무적으로 시립병원에서 근무해야 하는데, 이때 모든 시립병원에 발령나는 것이 아니라 시에서 직영하는 아래 세 병원에만 발령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다.[6] 민간병원은 확진자가 나올 경우 병원 수익에 타격을 입기에 이런 전염병 문제가 대두되면 해당 환자를 기피하거나 관련 투자를 꺼리는데 이런 부분이 공공의료에 대한 투자의 가장 큰 역할이라고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