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존재하는 창원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창원종합 ] {{{#!wiki style="margin: -5px 0;"
문서가 존재하는 통영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첫차는 통영까지 운행한다.[3] 나머지 3회는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하지만 고성, 통영은 남마산을 경유하는데다 국도 경유로 요금이 매우 비싸기에 시외버스 부산서부-통영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조합하는게 더 빠르고, 부산 버스 1011, 부산, 거제 버스 2000과 고현 ~ 통영 시외버스를 조합하는 게 가장 저렴하다. 게다가 통영행은 실제로는 남마산터미널에서 꽤 오래 대기하며 남마산에서 통영으로 가는 차량으로 환승을 권장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해운대 ~ 사상IC까지의 구간과 장유IC ~ 마산남부까지가 전부 국도 구간이라 운임이 매우 비싸다. 특히나 부산 구간은 동서고가로와 광안대교를 통해 부산 끝에서 끝까지 가로지르는데, 해당 구간이 전부 국도 구간이기 때문에 비싼 것이다. 그래서인지 한때 서비스 우등을 넣는다면 십중팔구 이 노선에 넣었다.
남산시외버스정류소 정차 노선 중 유일하게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착발 노선이 아니다. 시외버스 해운대-창원도 남산정류소에서 해운대를 운행하지만 제2만덕터널, 동래를 경유하는 창원발 노선과 다르게 동서고가로, 황령터널, 광안대교를 이용해 직통 운행한다. 그러나 배차간격이 창원발 노선 대비 극히 적어 걸릴 확률이 낮은데다가 동서고가로나 황령터널 정체로 복병에 걸리는 케이스도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우회하는 경로가 있긴 한데, 이게 부산항대교를 비롯한 해안순환도로 ~ 낙동강하굿둑 ~ 1030번 지방도이다. 하지만 통행료 폭탄을 맞게 될 가능성이 커서 그렇게 우회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