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4:35:11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연합공화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이집트
이집트 문명
선왕조 하이집트 상이집트
초기 왕조 제1왕조
제2왕조
고왕국 제3왕조
제4왕조
제5왕조
제6왕조
제1중간기 - 분열 제7왕조
제8왕조
제9왕조 제11왕조
제10왕조
중왕국 제11왕조
제12왕조
제2중간기 제13왕조
제14왕조 제13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6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7왕조
신왕국 제18왕조
제19왕조
제20왕조 (람세스 왕조)
제3중간기 제21왕조 (타니스 왕조)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
제25왕조 (누비아 왕조)
말기 왕조 사르곤 왕조
제26왕조 (사이스 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제27왕조
제28왕조
제29왕조
제30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제31왕조
헬레니즘 아르게아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왕조
고대 로마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팔미라 제국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동로마 제국
중세 이슬람 라쉬둔 왕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툴룬 왕조
아바스 왕조
이흐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아이유브 왕조
바흐리 맘루크
중근세 부르지 맘루크
오스만 제국
알 카비르
근대 오스만 제국
프랑스
무함마드 알리 왕조
이집트 헤디브국
대영제국
이집트 왕국
현대 이집트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상고대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기독교화 / vs이란
이슬람 제국
이집트 vs 이라크
대십자군 전선
대몽골 전선
근대
오스만 튀르크 제국
[[알리 베이 알 카비르|
알 카비르
]] 제7차 러시아 튀르크 전쟁
오스만 제국
[[이집트 속주|
알리 왕조
]]
현대
내전
}}}}}}}}}}}} ||

{{{#ffffff 아랍 연합 공화국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1]
United Arab Republic (
UAR)}}}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파일:Coat_of_arms_of_the_United_Arab_Republic_(1958–1971).svg.png
국기 국장
파일:375px-United_Arab_Republic_(orthographic_projection).svg.png
1958년 ~ 1971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이집트 공화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
시리아 공화국 시리아 아랍 공화국
<colbgcolor=#000000> 국가 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
수도 카이로( القاهرة / ⲕⲁϣⲣⲱⲙⲓ / Cairo)
정치 체제 연방제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 (1958~1970)
안와르 사다트 (1970~1971)
총리 가말 압델 나세르 (1958~1962)
마흐무드 파우지 (1970~1971)
공식 언어 아랍어
공용어 이집트 아랍어, 시리아 아랍어, 레반트 아랍어, 쿠르드어, 시리아어
종교 이슬람, 기독교, 유대교
현재 국가
[[이집트|]][[틀:국기|]][[틀:국기|]]

[[시리아|]][[틀:국기|]][[틀:국기|]]

[[팔레스타인|]][[틀:국기|]][[틀:국기|]](가자 지구)

1. 소개2. 역사
2.1. 성립 과정2.2. 이집트와 시리아의 짧은 연합2.3. 시리아 탈퇴 이후
3. 유사품4. 상징
4.1. 국기
5. 기타

[clearfix]

1. 소개

1958년부터 1961년(사실상) / 1971년(명목상)까지 존재하였던 이집트시리아가 나라를 합쳐 성립된 연합 국가이다. 통일아랍이라고도 한다. 수도는 카이로이고 초대이자 마지막 대통령은 가말 압델 나세르. 합쳐진 이집트와 시리아 양국은 느슨한 연합 상태에 있었다.

2. 역사

2.1. 성립 과정

이집트와 시리아는 양국 국민이 아랍어를 사용하고 국민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으며 아랍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것 외에 외교 정책으로 중립주의를 채택하는 등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1955년 바그다드 조약 체결에 따른 다른 아랍 국가들로부터 고립을 우려하고 아랍 연맹의 다각적 통합 계획의 실패에 따른 회의감이 피어오르던 이집트와, 이라크와의 관계 악화로 고민을 하던 시리아는 양국간의 통합을 추진하게 되었다. 먼저 양국은 1955년 10월 상호군사동맹을 맺은것을 시작으로 1956년 7월 시리아는 연방계획작성위원회라는 각료 위원회를설치하여 이집트와의 연방적 통합을 구상하였으며, 1957년 9월에는 양국간에 무역 및 공동사업을 실시하여 경제 통합을 강화하였다. 그리하여 양국은 1958년 2월 1일 아랍연합공화국으로의 결합을 선언하게 되었다.

2.2. 이집트와 시리아의 짧은 연합

1958년 3월 5일에 공포된 아랍연합공화국 잠정 헌법에서는
헌법 제1조 아랍연합공화국은 주권을 가진 단일의 민주공화국이다.

헌법 제2조 이집트 또는 시리아 국적을 가진 자는 아랍연합공화국의 국적을 갖는다.

아랍연합공화국은 단일 국기, 단일 군대, 단일 국민을 가지며 국민은 하나로 되어 평등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헌법 제13조 입법권을 갖는 국민회의 의원의 적어도 절반은 이집트와 시리아 의회의 의원이어야 한다.

헌법 제58조 아랍연합공화국은 이집트와 시리아 두 지역으로 구성되며, 각 지역에는 집행위원회를 설치하여 일선정책의 실시에 관한 사항을 조사, 연구한다.

등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합쳐진 양국이 평등한 관계일 거라는 당초의 기대와 달리 사실상 규모가 우세한 이집트가 시리아를 통제하는 식으로 흘러갔고 나세르의 통치도 중앙 집권적이었기 때문에, 시리아가 반발하기 시작했고 1961년에 시리아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이 연합 공화국을 탈퇴했다.

사실 비연속국이여서 시리아가 월경지가 된 격이니 행정에도 애로사항이 꽃피었고 무엇보다도 시리아와 이집트는 역사적으로 그리 관계가 밀접하다고 하기도 어려우며, 같은 아랍인이라지만 아랍 세계는 '아랍'이라는 공통 정체성은 있어도 언어나 문화가 매우 이질적이기 때문에 지도자 몇 명이서 쑥덕거려서 '한 지붕 두 가족'으로 합친 것으로는, 설령 이스라엘이 존재하지 않고 그 빈자리에 아랍국가인 팔레스타인이 존재했거나 두 나라가 육상으로 연결됐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돌아가긴 매우 힘들었다.

2.3. 시리아 탈퇴 이후

한편 시리아가 아랍 연합 공화국에서 탈퇴한 뒤에도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은 시리아의 아랍 연합 공화국 복귀, 또는 다른 아랍권 국가의 추가 가입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집트의 국명을 계속 아랍 연합 공화국으로 두었지만, 시리아의 아랍 연합 공화국의 복귀, 아랍권 국가들의 아랍 연합 공화국 추가 가입은 성사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시기 '아랍 연합 공화국(통일아랍)'은 국명, '이집트'는 지명인데, 사실상 이집트가 통일아랍의 전부였다. 지금의 '중화민국(대만)'과 유사하게 '통일아랍(이집트)' 같은 표현도 쓰였다.

그리고 1970년 나세르가 대통령 재임 중 심장마비로 사망하고, 그의 뒤를 승계한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이 이듬해인 1971년 국호를 이집트 아랍 공화국으로 바꾸기로 결정하면서 아랍 연합 공화국은 소멸되었다.

3. 유사품

이후 1972년 들어 아랍 민족주의자 카다피가 집권한 리비아 아랍 공화국이집트, 시리아를 묶어 새 연방을 구성하려는 비슷한 시도가 있었지만(아랍 공화국 연방, Federation of Arab Republics) 1977년 이집트-이스라엘 관계 개선 때문에 해체된다.

4. 상징

4.1. 국기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의 국기. 1958년에 제정되었으며 1971년까지 아랍 연합 공화국이라고 쓰고 이집트라고 읽는다 국기였다. 그 후 쓰이지 않는 국기가 되었다가 1980년에 하페즈 알아사드 정권 시절의 시리아가 이 국기를 다시 시리아의 새 국기로 채택해 2024년까지 이르다가 자유 시리아군이 아사드 정권을 함락시킴으로 다시 안 쓰는 국기가 되었다.

5. 기타



[1] 알 줌후리야 알 아라비야 알 무타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