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2025년 1월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된 계기의 참사에 대한 내용은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국가애도기간(國家哀悼期間, period of national mourning)은 군주제 국가의 군주의 붕어, 사회에서 존경받는 사람의 사망[1], 많은 희생자를 낸 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국가적으로 이를 애도하고 추모하기 위해 지정되는 기간이다. 국가 차원에서의 애도기간은 행정권을 가진 정부수반 내지는 국가원수가 공식 선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간은 보통 사흘, 일주일, 열흘에서 길면 한 달 정도며 국가에서 애도기간을 정함으로써 이후에 계속 추모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2.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에서는 국가애도기간의 법적 근거나 선포 기준, 운영 방식이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다.대략적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면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해왔으며, 국가애도기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2]
2.1. 사례
대한민국 정부 출범 이래 공식적으로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된 것은 총 3회다.<colbgcolor=#000,#383b40><colcolor=#fff><rowcolor=#fff> 순번 | 사건 사고 | 정부 | 기간 | 총일 |
1 | 천안함 피격 사건 | 이명박 정부 | 2010년 4월 25일 ~ 4월 29일 | 5일 |
2 | 이태원 압사 사고 | 윤석열 정부 | 2022년 10월 30일 ~ 11월 5일 | 7일 |
3 |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 2024년 12월 29일 ~ 2025년 1월 4일 |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 후에도 공식적으로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국가애도기간 이상의 추모 분위기였다. 주요 방송사의 정규 방송이 2~3주 정도 중단된 것을 시작으로 전국에 분향소가 설치되었으며, 사고 발생 후 19일이 지난 시점의 어린이날 행사가 모두 연기 또는 취소되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간에도 선거 유세 로고송을 아예 틀지 않거나 비교적 잔잔한 로고송이 흘러나왔다.
즉,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2014년 4월 16일부터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지 않았는 데도 2개월 가까이 대한민국 전체가 초상집이나 다름 없는 슬픈 분위기였다. 이후 매년 4월 16일을 국민안전의 날이라는 이름의 기념일로 지정했다.
심지어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의 열기도 과거 다른 월드컵보다 덜했을 정도였다. 그래도 이 즈음에는 추모 분위기가 많이 사라진 것은 사실이다.[3] 브라질 월드컵 열기가 덜했던 것은 최종예선과 본선에서의 졸전과 브라질과의 시차 때문도 있었다. 당시 대한민국 첫 경기인 러시아전은 한국 시간으로 평일 출근 및 등교 시간에 경기가 열려 출근길, 등굣길에 DMB를 통해 경기를 시청하는 사람들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게다가 한일 월드컵이 열린 지 12년이 지난 탓에 월드컵 열기가 저절로 식은 것도 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은 물론이고 2010년 남아공 월드컵까지만 해도 한일 월드컵의 열기가 남아있어서 빨간 티를 입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 응원을 했다.
2.2. 애도기간의 운영
- 전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이 검소한 복장에 근조(謹弔) 리본을 패용
- 전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 회식 금지
-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체육대회, 축제 등의 행사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급적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하더라도 간소하게 진행할 것
- 조기 게양과 추도 묵념[4]
- 군 장병의 휴가 통제. 전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은 연차 사용 자제.[5]
이태원 압사 사고 당시 사망자들이 국가애도기간 지정 덕에 지원금과 장례 비용을 지원받는다는 소문이 인터넷에 돌아다녔지만 실제로는 국가애도기간 지정이 아니라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지원이다.
2.3. 국가 애도의 날
국가애도기간과 달리 하루 동안 선포하며 대한민국 정부 출범 이래 세 번 선포되었다.<colbgcolor=#000,#383b40><colcolor=#fff><rowcolor=#fff> 순번 | 사건 사고 | 정부 | 기간 | 총일 |
1 |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서거 | 박정희 정부 | 1972년 12월 28일 | 1일 |
2 | 9.11 테러 | 김대중 정부 | 2001년 9월 14일 | 1일 |
3 | 천안함 피격 사건 | 이명박 정부 | 2010년 4월 29일 | 1일 |
2.4. 비판
자세한 내용은 국가애도기간/비판 문서 참고하십시오.3. 주요 해외 사례
여기서 해외의 많은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랍에서는 해당 국가의 어느 군주가 사망하면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다같이 애도 기간을 선포한다. 종교의 영향이 강한 나라는 종교 지도자의 사망 직후에도 선포하며 냉전 시절에는 소련 지도자의 죽음에 친소 국가들과 공산권 국가들이 함께 애도기간을 가졌다.- 브라질에서는 굉장히 자주 선포하며, 자국의 전직 대통령, 부통령뿐만 아니라 타국 국가원수들이 사망하거나 아일톤 세나, 펠레,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등 자국의 명망 높은 인물들이 사망했을 때도 선포한다.#
- 일본은 이보다 더 심했는데 쇼와 덴노가 1988년 9월에 위독해지자 벌써부터 초상집 분위기에 들어갔고 해를 넘기고 1989년 1월에 쇼와 덴노가 사망하고 한 달 뒤에서야 끝났다. 즉, 일본 전체가 무려 5개월 동안 초상집 분위기였다.
<colbgcolor=#000,#383b40><colcolor=#fff><rowcolor=#fff> 연도 | 사건 | 국가 | 애도기간 | ||
1964 | 에밀리오 아기날도 전 대통령 사망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 2월 6일~2월 20일 | 15일 | |
1968 | 유리 가가린 사망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3월 27일 | 1일 | |
1981 | 모함마드알리 라자이 대통령 사망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8월 30일~9월 3일 | 5일 | |
1985 | 탄크레두 네베스 대통령 당선인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4월 21일~4월 28일 | 8일 | |
1989 | 루홀라 호메이니 사망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6월 3일~6월 5일 | 3일 | |
우파 철도 참사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6월 5일 | 1일 | ||
1994 | 아일톤 세나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5월 1일~5월 3일 | 3일 | |
김일성 사망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7월 8일~7월 17일 | 10일 | ||
1996 | 에르네스투 가이제우 전 대통령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9월 12일~9월 19일 | 3일 | |
1999 | 주앙 피게이레두 전 대통령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12월 24일~12월 26일 | 3일 | |
2004 | 마드리드 열차 테러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3월 12일~3월 14일 | 3일 |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틀:국기| ]][[틀:국기| ]] | 12월 27일~12월 29일 | 3일 | ||
2005 | 요한 바오로 2세 사망 | [[바티칸| ]][[틀:국기| ]][[틀:국기| ]] | 4월 9일~4월 17일 | 9일 | |
2007 | 보리스 옐친 전 대통령 국장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4월 25일 | 1일 | |
2008 | 수하르토 전 대통령 사망 | [[인도네시아| ]][[틀:국기| ]][[틀:국기| ]] | 1월 27일~2월 2일 | 7일 | |
2008년 쓰촨성 대지진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5월 18일~5월 20일 | 3일 | ||
루스 카르도주[7] 전 영부인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6월 25일~6월 27일 | 3일 | ||
2009 | 라울 알폰신 전 대통령 사망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3월 31일~4월 2일 | 3일 | |
코라손 아키노 전 대통령 사망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 8월 1일~8월 10일 | 10일 | ||
2010 | 폴란드 공군 Tu-154 추락사고 (레흐 카친스키 대통령 부부 사망)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 4월 10일~4월 16일 | 7일 | |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 사망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10월 27일~10월 29일 | 3일 |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 |||||
2011 | 조제 알렝카르 전 부통령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3월 29일~4월 4일 | 7일 | |
이타마르 프랑쿠 전 대통령 사망 | 7월 2일~7월 8일 | ||||
김정일 사망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12월 19일~12월 29일 | 11일 | ||
2013 | 우고 차베스 대통령 사망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 3월 6일~3월 16일 | 11일 | |
중남미 국가 다수[8] | 3월 6일~3월 8일 3월 6일~3월 12일 | 3일 7일 | |||
넬슨 만델라 사망 |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12월 6일~12월 15일 | 10일 | ||
2014 | 에우제비우 사망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 1월 5일~1월 8일 | 4일 |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5월 15일 | 1일 | ||
2015 | 2015년 네팔 대지진 | [[네팔| ]][[틀:국기| ]][[틀:국기| ]] | 4월 29일~5월 1일 | 3일 | |
2015년 앙카라 폭탄 테러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10월 10일~10월 12일 | 3일 | ||
2015년 11월 파리 테러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11월 14일~11월 16일 | 3일 | ||
2016 | 2016년 브뤼셀 테러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 3월 23일~3월 25일 | 3일 | |
2016년 에콰도르 지진 | [[에콰도르| ]][[틀:국기| ]][[틀:국기| ]] | 4월 25일~5월 2일 | 8일 | ||
2016년 니스 테러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7월 16일~7월 18일 | 3일 | ||
피델 카스트로 사망 | [[쿠바| ]][[틀:국기| ]][[틀:국기| ]] | 11월 26일~12월 4일 | 9일 | ||
라미아항공 2933편 추락 사고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11월 29일~12월 1일 | 3일 | ||
2017 | 마리사 레티시아 다 시우바[9] 전 영부인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2월 3일~2월 5일 | 3일 | |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전 대통령 사망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1월 8일~1월 10일 | 3일 | ||
2017년 멕시코 중부 대지진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9월 20일~9월 22일 | 3일 | ||
2018 | 쿠바나 항공 972편 추락 사고 | [[쿠바| ]][[틀:국기| ]][[틀:국기| ]] | 5월 19일~5월 20일 | 2일 | |
2019 | 페르난도 데 라 루아 전 대통령 사망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7월 9일~7월 11일 | 3일 | |
2020 | 카부스 빈 사이드 술탄 사망 | [[오만| ]][[틀:국기| ]][[틀:국기| ]] | 1월 10일~1월 12일 | 3일 | |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 사망 |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 2월 25일~2월 27일 | 3일 | ||
디에고 마라도나 사망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11월 25일~11월 27일 | 3일 | ||
타바레 바스케스 전 대통령 사망 | [[우루과이| ]][[틀:국기| ]][[틀:국기| ]] | 12월 6일~12월 8일 | 3일 | ||
2021 | 카를로스 메넴 전 대통령 사망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2월 14일~2월 16일 | 3일 | |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 사망 | [[차드| ]][[틀:국기| ]][[틀:국기| ]] | 4월 20일~5월 3일 | 14일 | ||
베니그노 아키노 3세 전 대통령 사망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 6월 24일~7월 3일 | 10일 | ||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전 대통령 사망 |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11월 17일~11월 21일 | 5일 | ||
김정일 사망 10주기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12월 10일~12월 20일 | 11일 | ||
2022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대통령 사망 |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 5월 13일~6월 21일 | 40일 | |
[[요르단| ]][[틀:국기| ]][[틀:국기| ]] | |||||
[[몰디브| ]][[틀:국기| ]][[틀:국기| ]] | 5월 13일~5월 15일 | 3일 |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
[[파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 |||||
아랍 국가 다수[10] | 5월 13일~5월 15일 5월 14일~5월 15일 | 3일 2일 | |||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사망[11]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7월 8일~7월 10일 | 3일 | ||
피델 라모스 전 대통령 사망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 7월 31일~8월 9일 | 10일 | ||
엘리자베스 2세 사망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9월 20일 | 12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3em + 5px)" 영국 이외의 40개 국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뉴질랜드| ]][[틀:국기| ]][[틀:국기| ]][12] | 9월 9일~9월 26일 | 18일 |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9월 19일 | 11일 | |||
[[말라위| ]][[틀:국기| ]][[틀:국기| ]] | 9월 10일~9월 19일 | 10일 | |||
[[르완다| ]][[틀:국기| ]][[틀:국기| ]]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틀:국기| ]][[틀:국기| ]] | |||||
[[벨리즈| ]][[틀:국기| ]][[틀:국기| ]] | |||||
[[세인트루시아| ]][[틀:국기| ]][[틀:국기| ]] | |||||
[[파푸아뉴기니| ]][[틀:국기| ]][[틀:국기| ]] | |||||
[[틀:국기| ]][[틀:국기| ]][[케이맨 제도| ]] | |||||
[[가나|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9월 15일 | 7일 | |||
[[요르단| ]][[틀:국기| ]][[틀:국기| ]] | 9월 10일~9월 16일 | ||||
[[탄자니아| ]][[틀:국기| ]][[틀:국기| ]] | 9월 10일~9월 14일 | 5일 | |||
[[쿠웨이트|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9월 12일 | 4일 | |||
[[레바논|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9월 11일, 9월 18일 |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9월 8일~9월 10일 | 3일 | |||
[[몰디브|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9월 11일 | ||||
[[방글라데시| ]][[틀:국기| ]][[틀:국기| ]] | |||||
[[바레인| ]][[틀:국기| ]][[틀:국기| ]] | |||||
[[오만| ]][[틀:국기| ]][[틀:국기| ]] | |||||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 |||||
[[네팔| ]][[틀:국기| ]][[틀:국기| ]] | 9월 10일~9월 12일 | ||||
[[케냐| ]][[틀:국기| ]][[틀:국기| ]] | |||||
[[솔로몬 제도| ]][[틀:국기| ]][[틀:국기| ]] | 9월 12일~9월 14일 | ||||
[[모잠비크| ]][[틀:국기| ]][[틀:국기| ]] | 9월 17일~9월 19일 |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 9월 18일~9월 20일 | ||||
[[도미니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9월 12일~9월 13일 | 2일 | |||
[[트리니다드 토바고| ]][[틀:국기| ]][[틀:국기| ]] | |||||
[[부탄| ]][[틀:국기| ]][[틀:국기| ]] | 9월 9일 | 1일 | |||
[[세이셸| ]][[틀:국기| ]][[틀:국기| ]] | |||||
[[쿠바| ]][[틀:국기| ]][[틀:국기| ]] | |||||
[[모리셔스| ]][[틀:국기| ]][[틀:국기| ]] | 9월 10일 |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9월 11일 | ||||
[[파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 9월 12일 | ||||
[[가이아나| ]][[틀:국기| ]][[틀:국기| ]] | 9월 19일 | ||||
[[몰타| ]][[틀:국기| ]][[틀:국기| ]] | |||||
[[바하마| ]][[틀:국기| ]][[틀:국기| ]] | |||||
[[스리랑카| ]][[틀:국기| ]][[틀:국기| ]] | |||||
[[자메이카| ]][[틀:국기| ]][[틀:국기| ]] | |||||
[[잠비아| ]][[틀:국기| ]][[틀:국기| ]] |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 }}}}}}}}} | ||||
이젭스크 88번 학교 총기난사 사건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9월 27일~9월 29일 | 3일 | ||
폭우 피해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 10월 11일~10월 13일 | 3일 | ||
펠레 사망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12월 29일~12월 31일 12월 29일~2023년 1월 5일[상파울루] | 3일 7일[상파울루] | ||
2023 | 예티항공 691편 추락 사고 | [[네팔| ]][[틀:국기| ]][[틀:국기| ]] | 1월 16일 | 1일 | |
가지안테프 지진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2월 6일~2월 12일 | 7일 |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사망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6월 14일 | 1일 | ||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15] | [[레바논| ]][[틀:국기| ]][[틀:국기| ]] | 8월 4일~8월 7일 | 3일 | ||
2023년 모로코 대지진 | [[모로코| ]][[틀:국기| ]][[틀:국기| ]] | 9월 10일~9월 13일 | 3일 | ||
2024 | 세바스티안 피녜라 전 대통령 사망 | [[칠레| ]][[틀:국기| ]][[틀:국기| ]] | 2월 7일~2월 9일 | 3일 | |
응우옌푸쫑 공산당 총비서 사망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 7월 25일~7월 26일 | 2일 | ||
2024년 에티오피아 고파 산사태 | [[에티오피아| ]][[틀:국기| ]][[틀:국기| ]] | 7월 27일~7월 29일 | 3일 | ||
2024년 스페인 대홍수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10월 31일~11월 2일 | 3일 | ||
만모한 싱 전 총리 사망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12월 26일~2025년 1월 1일 | 7일 | ||
2025 | 지미 카터 전 대통령 국장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월 9일 | 1일 |
[1] 주로 전현직 대통령들이 대상이다.[2] 대표적으로 이태원 압사 사고,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있다.[3] 이때부터 주요 방송사들의 정규 방송이 다시 방영되기 시작했다.[4] 국가 애도의 날 한정.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엔 영결식이 거행되는 29일 하루였다. 정부는 2001년 9월 14일에도 9.11 테러 희생자를 위한 애도의 날을 가진 적이 있다. 이태원 압사 사고 당시에는 국가 애도의 날이 따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대신 대통령 지시로 참사 이튿날 10월 31일에 전 공공기관에 조기가 게양되었다. 단, 해당 기간 중 국경일이 있을 경우 이 날만은 조기를 게양하지 않는다.[5] 금지라는 소문이 있으나 아무리 공공기관이라도 연차까지 통제할 수는 없으니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6] 공식적으로 애도의 날로 선포한 건 아니지만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이 일어났던 1974년 8월 15일부터 19일, 10.26 사건이 일어났던 1979년 10월 27일부터 11월 3일,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이 일어났던 1983년 10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장례기간 동안 전국에 분향소가 세워지고 TV와 라디오에서 정규프로를 중단하고 추모방송이 나오는 등 범정부적으로 애도 분위기를 조성했다.[7] 페르난두 카르도주의 배우자.[8] 비슷한 성향의 중남미 정권 다수에 영향력을 끼쳤던 차베스였던 만큼 볼리비아, 칠레,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을 비롯해 중남미 15개국 이상의 국가가 모두 연대해 3~7일의 국가애도기간을 가졌다.[9]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의 두 번째 배우자.[10]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레바논, 오만, 모리타니, 이집트, 모로코, 알제리. 이중알제리는 2일 동안 애도 기간을 가졌다.[11] 브라질은 일본계 브라질인이 많아서 일본과 상당히 친밀하다.[12] 다수의 언론에서 호주와 뉴질랜드가 영국과 같이 국가애도기간에 들어갔다고 보도했으나 호주 정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공식 애도 기간이 아니라고 한다.[상파울루] 상파울루 지역 한정[상파울루] [15] 폭발 사고 3주년 기념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