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21:10:49

양성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양성지(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 김국광 신숙주 윤자운
정현조 조석문 최항 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 송문림 심회 윤사흔
이정 이침 정인지1 정창손1
한계미 한계희 한백륜 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 김겸광 강희맹 노사신
박중선 서거정 성봉조 신승선
양성지 윤계겸 이극배 이극증
이숭원 임원준 정효상 한계순
한치형1 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 김교 김길통 김수녕
김수온 김순명 류수 류지
박거겸 선형 신정2 신준
심한 어유소 오백창 우공
윤필상1 이극돈3 이석형 이수남
이숙기 이승소 이철견 이현
이훈 정난종 정숭조 한보
한의 한치례 한치의 한치인
함우치 허종 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

훈구파
勳舊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관학파
세조 - 예종
(1455 ~ 1469)
구치관 권람 김질 신숙주 양성지
양정 이사철 정인지 정창손 한명회
한확 홍윤성 이석형 한계미 현석규
성종 - 연산군
(1469 ~ 1506)
부중파 궁중파
노사신 성준 윤필상 이극돈 신수근
한치형 허종 홍귀달 이세좌 임사홍
중종
(1506 ~ 1544)
성희안 박원종 류순 류순정 류자광
정광필 정윤겸 홍경주 신준 심정
인종 - 명종
(1544 ~ 1567)
소윤 서인
윤원로 윤원형 이기 임백령 심연원
선조
(1567 ~ )
서인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조선 좌리공신
남원군(南原君) 문양공(文襄公)
양성지
梁誠之
출생 1415년 10월 24일[1]
(음력 태종 15년 9월 13일)
사망 1482년 7월 5일[2]
(음력 성종 13년 6월 11일 / 향년 68세)
묘소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 산32-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봉호 남원군(南原君)
시호 문양(文襄)[3]
본관 남원 양씨 [4]
순부(純夫)
눌재(訥齋)
학력 생원시 식년시 입격 (1441년)[5]
진사시 식년시 입격 (1441년)[6]
문과 식년시 을과 3위 급제 (1441년 6월 15일)[7]
문과 발영시 2등 12위 급제 (1466년 7월 1일)[8]
공훈 원종공신[9](原從功臣, 1455)
순성명량좌리공신[10](純誠明亮佐理功臣, 1469)
경력
[ 펼치기 · 접기 ]
경창부승, 집현전 부수찬 · 지제교 · 세자좌사경 (1441)
사간원 좌정언, 집현전 수찬 (1443)
겸 춘추관 기사관 (1446)
집현전 부교리 · 경연검토관 · 세자좌사경 · 겸 춘추관 기주관, 집현전 교리 · 세자우문학 (1450)
조봉대부 집현전 응교, 세자좌문학 (1451)
직집현전 (1452)
경연검토관 (1453)
중훈대부 직집현전 (1454)
집현전 직제학 · 지제교 · 경연시독관, 통훈대부, 평안도경차관, 원종공신 2등(1455)
통정대부, 세자좌보덕 (1456)
판서운관사 · 직보문각 · 지제교, 훈련관사 · 직수문전 · 지제교, 첨지중추원사 (1457)
겸 춘추관 편수관 (1458)
가선대부, 동지춘추관사, 중추원부사 (1460)
가정대부 동지중추원사 (1461)
첨지중추원사 (1462)
자헌대부, 홍문관 제학 (1463)
이조판서 (1464)
지중추원사, 사헌부대사헌(1465)
공조판서 (1469)
지중추원사, 순성명량좌리공신 · 남원군 (1471)
봉조하(1474)
동지중추부사, 겸 춘추관사 · 홍문관 대제학 (1476)
봉조하, 사헌부 대사헌, 공조판서 (1477)
지중추부사, 숭정대부 (1481)
저서 《눌재집(訥齋集)》
부모 부친 - 양구주(梁九疇)
모친 - 권담(權湛)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
형제자매 이복형 - 양경지(梁敬之)
이복누이 - 이전명(李專命)의 처
동복제 - 양신지(梁信之)
부인 본부인 정경부인 원주 변씨(原州 邊氏, 1414~1504) - 변상근(邊尙覲)의 딸
측실
자녀 4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원주 변씨 소생 4남]
적장남 - 양원(梁瑗, ? ~ ? )
적차남 - 양수(梁琇, ? ~ ? )
적3남 - 양찬(梁瓚, 1443~1496)
적4남 - 양호(梁琥, ? ~ ? )
[측실 소생 2녀]
서장녀 - 이세번(李世蕃)에게 출가
서차녀 - 손관(孫灌)에게 출가
}}}}}}}}}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梁誠之, 1415년 ~ 1482년

전라도 남원 출생. 호는 눌재(訥齋),시호는 문양(文襄)이다. 중종 때의 인물인 박상(朴祥)도 호가 눌재이고 저서 역시 '눌재집'이다. 로마법 학자인 최병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도 호가 눌재인데, 양성지나 박상의 호를 따라서 지은 것은 아니고 짓고 보니 우연의 일치로 호가 같았다고 한다.

양성지는 같은 훈구파한명회, 신숙주, 권람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당대에 '세조의 제갈량'이라고 불린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2. 생애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초기 집현전 학자들 중 하나이다. 세조 ~ 성종 시기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와 《동국지도(東國地圖)》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앞의 서적들에서 보듯 지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병학에도 조예가 있었다. 명나라에 대한 사대에 신중하게 생각하여 자주적인 국가를 만들자는 사상을 지녔다. 세조에게 상소를 올려 환구단에서 제사를 올리게 한 인물이며, 세조를 시작으로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환구단에서 제사 지내지 않은 왕이 없을 정도다. 특히 이는 국방 사상에 영향을 주어, 조선 전기의 대표적 군사 체계인 진관 체제를 만들게 된다. 이는 조선 후기의 실학과 맞닿아 정조의 개혁에 영향을 주었다. 집현전 학사 시절에는 고려사 편찬에도 참여하였으며, 의학서인 《의방유취(醫方類聚)》를 편찬하는데도 기여한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다재다능 문신이다.

특히 그의 사상은 시대를 앞서나간 면이 있었는데, 백정이 양민이 되는 길을 열어주자거나, 의창과 같은 사회 복지 제도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고를 관청 옆이 아니라 산간 깊숙한 곳으로 옮겨 외적의 침입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130년 후 그의 주장이 현실화되고 말았다. 이후 지방에 새로 설치된 사고는 모두 산속에 자리했다.

다만 조선 중기에는 폄하되는 면이 있었는데, 그의 가문이 이후 훈구파로 분류되기도 하였으며, 이 때문에 사육신의 충절을 존숭하는 분위기의 조선 중후기에는 사림파에 의해 비난받기도 했다. 실제로 그는 세조에게 아부했다는 이유로 자주 탄핵되곤 했으며, 청백리라고는 할 수 없는 인물이었다 게다가 외가 4대손으로 원균을 두기도 했으나 정조가 양문공예외보를 내도록 할 만큼 뛰어난 인물도 많다.

한명회, 신숙주, 권람 같은 네임드들을 제치고 바로 제갈량에 비유된 흠좀무한 인물임에도 어째 사극에서는 코빼기도 안 보인다. 한명회, 신숙주, 권람의 이미지가 너무 후덜덜해서 양성지가 누군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다. 양성지 묘역 및 신도비는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에 있다. #

3. 관련 문서


[1] 율리우스력 10월 15일.[2] 율리우스력 6월 26일.[3] 학문을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하는 것(勤學好問)을 문(文)이라 하고, 일로 인하여 공이 있는 것(因事有功)을 양(襄)이라 한다.[4] 병부공파(兵部公派) 13세, 문양공파의 파조, 즉 기세조이시다[5] 세종 23년[6] 세종 23년[7] 음력 세종 23년 5월 18일[8] 음력 세조 12년 5월 10일[9] 2등[10] 좌리공신 3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