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2:02:02

오성고등학교

오성고등학교(대구)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천안에 소재한 동명의 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천안오성고등학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천안에 소재한 동명의 고등학교:
천안오성고등학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북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대구남산고등학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대구중앙고등학교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대륜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 동문고등학교
수성고등학교 시지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오성고등학교
정화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Osung_High_School_main2.jpg
학교 전경
<colbgcolor=#fff><colcolor=#000> 오성고등학교
五星高等學校
Osung High School
<nopad>
개교 1953년 12월 24일
유형 인문계고등학교
성별 남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학교법인 오성학원
교장 최송호
교감 김원출
교훈 순간적인 감정에 살지 말고, 큰 흐름에 나를 찾아라
교화 장미
교목 히말라야시다
학생 수 560명[기준]
교직원 수 60명[기준]
관할 교육청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2길 78 (만촌동)
홈페이지 #

1. 개요2. 역사3. 연혁4. 교가
4.1. 교훈4.2. 교목4.3. 교화
5. 사진6. 위치 및 교통
6.1. 버스
6.1.1. 개편 이후
6.2. 전철
7. 사건·사고8. 출신 인물9. 기타
9.1. 학교 시설 / 지리9.2. 진학 실적9.3. 재단 / 동문회9.4. 학업 활동

[clearfix]

1. 개요

오성고등학교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위치한 인문계 남자고등학교이다.

2. 역사

1953년에 설립인가가 나서, 1954년부터 학생을 받아 개교했다. 1~5회 졸업생을 '오성고교'로 배출하고 1961년부터 수년간 잠깐 학생을 받지 않았다가, 1969년 입학생부터 '오성종합고교'로 6~8회 졸업생을 배출하고, 1972년 입학생부터는 다시 '오성고교'로 9~1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75년 입학생부터는(곧 12회 졸업생부터) 고교 평준화정책에 힘입어 학교가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1990년 교사를 본래 수성동1가 일대에서 현 만촌동으로 이전하면서 더욱 학교가 발전하였다. 2024년까지 70년의 역사를 가진 고교로 사회 각계에서 다양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덧붙여 인근 다른 전통의 공립, 사립고들과 마찬가지로 남학교이다. 참고로 민주화 운동의 하나인 1960년 5월의 <4대 국회 해산 요구> 운동에도 참여한 유서 깊은 대구 지역 고교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연혁

4. 교가

오성고등학교 교가
작사 이 우성, 작곡 김 동진
슬기로운 백두산은 하늘을 이고

남으로 뻗어내린 금수삼천리

우리들은 이땅에 주인이라며

오성은 그넋들의 등대이라네 진리를

비치며 지켜 나가는 이겨례의

희망 봉인 무궁 오성아

4.1. 교훈

순간적인 감정에 살지 말고 큰 흐름에 나를 찾아라

4.2. 교목

높은 기상과
안정의 상징으로
영원한 발전을 기원

4.3. 교화

5. 사진

파일:Osung_High_School_main2.jpg
학교 전경
건물 양쪽 끝에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출입구와 계단이 있다.

파일:Osung_High_School_Playground.png
운 동 장
그전까진 흙바닥이었으나 2015년부터 착공했다. 오성중학교와 같이 사용하고 있으며, 운동장 왼편에 농구코트가 있다.

6. 위치 및 교통

파일:external/www.osung.hs.kr/%EC%98%A4%EC%84%B1%EA%B3%A0%EC%9C%84%EC%B9%98%EB%8F%84(%EB%84%A4%EC%9D%B4%EB%B2%84).jpg

지도에 나와있는 것처럼 대중교통을 이용한 후 10분 정도 걸어야 한다. 초행자는 내비게이션의 도움 없이는 길을 찾기 힘들 정도로 복잡한 골목길을 앞에 두고 있다.

6.1. 버스

6.1.1. 개편 이후

2025.02.24부터 시행.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구.남부정류장건너2
만촌역서한포레스트앞
구.남부정류장앞2
구.남부정류장앞1
만촌육교2
만촌육교1

6.2. 전철

7. 사건·사고

8. 출신 인물

9. 기타

9.1. 학교 시설 / 지리

9.2. 진학 실적

9.3. 재단 / 동문회

9.4. 학업 활동


[기준] 2024년[기준] [3] 에서 내려서 최소 15분 정도는 걸어야한다[4] 2021년 도쿄올림픽 단체전에서 딴 금메달을 들고 학교 강당을 방문했었다.[5] 현 성운관(펜싱실)과 상운관(급식실, 과학실)[6] 주말 리그는 유지된다고 한다.[7] 오성고등학교 체육 선생님이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