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00:22:30

왕통(전진)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王綂
(? ~ 392)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진주(秦州)에 거주하던 흉노족 부락 중 하나인 휴도부(休屠部) 출신. 전량의 진주자사 왕탁(王擢)의 아들. 전진의 익주(益州) 자사 왕광(王廣)의 형.

2. 생애

황시 4년(354년) 11월, 전량의 황제 장조가 왕탁을 의심하여 장수를 보내 공격하자, 왕탁은 패하여 전진으로 망명하였다. 경명제 부건은 왕탁의 투항을 받아주고 그를 상서로 삼았다. 이때 왕통 형제도 아버지를 따라서 전진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영흥 3년(359년), 천왕 부견이 왕통을 부풍(扶風) 내사로 삼았다.

건원 7년(371년) 2월, 익주(益州) 자사로 전임되었다.

건원 7년(371년) 3월, 서현후 부아, 양무장군 요장구지 정벌에 종군하였다.

건원 7년(371년) 12월, 농서(隴西) 선비족 걸복부를 토벌하기 위해 도견산(度堅山)으로 진군하니, 걸복부의 수령 걸복사번(乞伏司繁)은 30,000 기병을 거느리고 나와 원천(苑川)에서 왕통을 막았다. 하지만 왕통은 길을 우회하여 도견산을 불시에 습격해버렸고, 걸복부 무리 50,000여 호가 모두 왕통에게 투항하였다. 이에 출진한 걸복사번의 부하들이 전진에 항복한 처자식을 걱정에 전의를 상실하여 무너졌고, 걸복사번은 결국 돌아갈 곳이 없게 되어 그 역시 전진에 항복하였다.

건원 9년(373년) 9월, 양주(梁州) 자사 양안이 동진군을 격파한 김에 나아가 한천(漢川)을 공격해 뽑았다. 왕통은 비서감 주융과 함께 천왕 부견의 명령을 받들어 정예병 20,000명을 인솔해 익주 정벌 선봉에 섰다. 동진의 양주(梁州) 자사 양량(楊亮)은 파(巴)의 요족 10,000명을 징병하여 성고(城固)로 달려가 청곡(靑谷)에서 막았으나, 왕통과 주융에게 대패하여 서성(西城)으로 들어가 굳게 지켰다.

건원 9년(373년) 11월, 양주(梁州)와 익주가 모두 평정되자, 왕통은 평원장군•남진주(南秦州) 자사에 임명되어 구지를 진수하였다.

건원 12년(376년) 5월, 천왕 부견이 무위장군 구장(茍萇) 등을 보내 전량의 장천석을 공격케 하고, 왕통으로 하여금 양주(涼州)의 군대를 거느리고 구장을 후원케 하였다. 이후 장천석이 항복하면서 전량 정벌이 끝나자, 왕통은 다시 진주로 복귀하였고, 동생 왕광은 익주자사에 임명되었다.

건원 21년(385년) 2월, 비수대전에서 전진이 패한 이후로 국세가 급격히 기울기 시작하자, 일전에 왕통에게 패했던 동진의 양주자사 양량이 50,000 군사를 이끌고 촉(蜀)을 침공하였으며, 동진의 파군(巴郡) 태수 비통(費綂) 등이 30,000 병력으로 선봉이 되어 수륙 양면으로 진공하였다. 왕광은 파서(巴西) 태수 강회(康回)를 내보내 이를 막게 하고, 강하(江夏) 태수 이비(李丕)를 성도(成都)에 남겨 진수케 한 뒤, 본인은 인솔 부대만 거느린 채 농서로 달아나 형 왕통에게 의지하였다. 이때 왕광을 따라 왕통에게로 간 촉땅의 사람이 30,000여 명이었다고 한다. 당시 천왕 부견이 장안에서 모용충의 군대와 혈투를 벌이고 있었기에, 왕통은 왕규(王虯)에게 촉한(蜀漢)의 군사 30,000명을 주어 장안을 구원케 하였다.

태안 원년(385년) 11월, 천왕 부견이 요장에게 살해당하고, 진양(晉陽)에서 애평제 부비가 즉위했다는 소식을 들은 왕통은 사자를 보내 부비에게 후진을 토벌할 것을 상표하였다. 부비는 크게 기뻐하며 왕통을 진서대장군•개부의동삼사•산기상시•진주목으로, 왕광을 안서장군•익주목으로 임명하였다.

태안 2년(386년) 정월, 왕광이 휘하 부대를 거느리고 하주목(河州牧) 모흥(毛興)을 부한(枹罕)에서 공격하였으나, 모흥은 건절장군 위평(衛平)과 그 종족 1,700여 명을 보내어 왕광의 진영을 야습해 대파하였다.

태안 2년(386년) 2월, 왕통이 동생을 위해 군대를 보내 왕광을 지원하니, 모흥은 농성하면서 스스로를 굳게 지켰다.

태안 2년(386년) 4월, 모흥이 다시 왕광을 기습하여 격파하였다. 왕광은 대패하여 도망치다가 농서의 선비족 필란(匹蘭)에게 사로잡혀 요장에게 보내졌다. 왕광을 무찌른 모흥은 이참에 상규(上邽)의 왕통도 공격하려 하였는데, 부한의 저족들이 반발하여 모흥을 제거하였다.

태초 원년(386년) 8월, 후진의 황제 요장이 친히 군대를 이끌고 진주를 침공해오자, 요석덕(姚碩徳)이 거병하여 요장에게 호응하였다. 이때 천수(天水)의 흉노족 도각부, 약양(略陽)의 강족과 호족(胡族) 10,000여 호도 요장에게 호응하고, 약양태수 왕피(王皮)도 후진에 항복하면서 전세가 불리해져만 갔다.

건초 원년(386년) 9월, 결국 버티다 못한 왕통이 진주를 들어 요장에게 귀순하였다.

건초 7년(393년) 3월, 요장이 병들어 눕자 태자 요흥을 행영(行營)으로 불렀는데, 정남장군 요방성(姚方成)이 요흥을 찾아가 말했다.
"지금 도적을 아직 멸하지 않았는데, 왕통 등이 모두 부곡(部曲)을 거느리고 있어 끝내 우리에게 화근이 될 것이니, 미리 제거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요흥은 요방성의 뜻에 동의하여 왕통과 왕광 형제, 서성, 모성(毛盛) 등 전진 출신 항장을 모두 숙청하였다. 나중에 이 사실을 알게 된 요장은 분노하여 말하기를
"왕통 형제는 우리 주리(州里)의 사람들이라 내가 막 쓰려 하였거늘 어찌 함부로 죽였느냐!"
라 하며 요흥을 크게 꾸짖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