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공룡 둘리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오방떡(아기공룡 둘리)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과자빵류 | 맘모스빵 · 고구마빵 · 마약옥수수빵 · 오키나와 |
조리빵류 | 튀김소보로 · 허니브레드 · 감자핫도그 · 식빵튀김 · 고로케빵 · 인기가요 샌드위치 · 마늘빵 · 생크림 꽈배기 · 사찰식 피자 · 피자빵 · 불고기버거 · 군대리아 | |
도넛류 | 찹쌀도넛 · 꽈배기 · 꿀빵 · 치즈볼 | |
찜류 | 찐빵 · 호빵 · 술빵 · 보리빵 | |
생과자류 | 바나나빵 · 황남빵 · 찰보리빵 · 호떡 · 수제 초코파이 · 백설기빵 | |
풀빵류 | 붕어빵 · 잉어빵 · 계란빵 · 땅콩과자 · 호두과자 · 델리만쥬 · 국화빵 · 오방떡 · 대게빵 · 닭빵 · 주령구 빵 · 십원빵 | |
*생과자류는 본래 과자에 속하지만 인식상 틀에 포함 * 풀빵류는 생과자류의 하위 분류에 속함 *한국에서 개발하거나 개량한 종류만 기재 |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오방떡 |
영어 | Obang tteok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길거리 음식 중 하나.2. 유래
오반야키(大判焼き) |
유래는 일본의 오반야키(大判焼き)로 서양빵을 일본식으로 현지화시킨 여러 가지 빵 중 하나다. 빵 모양이 일본에서 사용되었던 길쭉한 타원형의 금화인 '오반(大判)'을 닮았기에 오반야키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오방떡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유래한 풀빵인 타이야키와 타코야키가 각각 붕어빵, 문어빵으로 불리는데 오반야키만 오방떡인 이유는 불명.
3. 상세
계란빵의 계란이 들어갈 자리에 팥앙금이 들어간 빵. 왕풀빵이라고도 한다. 팥앙금이 아닌 백앙금이 들어간 경우도 있다. 짐작이 가겠지만 이름과는 달리 떡이 아닌 풀빵의 일종이다. 땅콩과자와 같이 파는 가게의 경우에는 이 빵을 계란빵이라고 적어놓고 홍보하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의 풀빵 종류가 그렇듯 한국에는 1930년대에 일본에서 유입되었다.
타코야키와 마찬가지로 반쪽짜리 틀에서 굽는데, 어느 정도 구워지면 하나를 다른 하나에 포개서 굽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는 흔히 보이는 둥그런 모양(위 사진)이나 원조 격인 길쭉한 타원형(계란빵 문서의 사진 참고 바람) 외에도 하트형 틀 등 크게 모양은 신경쓰지 않으면서 재료만 단맛나는 풀빵 반죽에 앙금만 넣은 것을 죄다 오방떡이라고 지칭한다.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파는 홍두병도 이것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대만에서는 처룬빙(車輪餅)이라고 불린다.
4. 기타
- 일본에서는 지역별로 오반야키라는 명칭 외에도 이마가와야키(今川焼き), 코반야키(小判焼き),[1] 카이텐야키(回転焼き), 오야키(おやき), 니쥬야키(二重焼き), 타이코만쥬(太鼓饅頭)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때문에 서로 어떤 명칭이 맞는지 키배가 벌어져서 # 이름을 불러서는 안될 그 과자(名前を言ってはいけないあの菓子)라는 드립이 나오기도(...). 스플래툰 3 대회에서는 아예 이걸 가지고 팀 이름을 정하는 이벤트도 있었는데, 이 중에는 보기에는 없던 베이크드 모쵸쵸(ベイクドモチョチョ)[2]라는 정체불명의 신조어가 추가되어 밈이 되기도 했다.
- 일본 사극에서 악덕 상인[3]이 아쿠다이칸에게 뇌물을 건내면서 '황금색 과자'(山吹[4]色のお菓子)라고 말하는 장면이 종종 나오는데, 오방떡을 담는 선물용 나무상자에 진짜 오반 금화를 넣어서 영주에게 건네주는 식이다. 한국의 사과박스와 유사한 개념으로도 볼 수 있다.
[1] 코반 역시 일본에서 사용되었던 금화다. 이름에서 알다시피 오반보다 작은 크기로, 오반의 10분의 1 가치였다. 일본 속담에서는 이걸 고양이에게 던진다는 뜻인 '네코니 코반(猫に小判)'이 있으며, 뜻은 서양권이나 한국에서 말하는 "돼지 목에 진주 걸기"와 똑같다. 이를 포켓몬스터에서 기술화한 것이 바로 고양이돈받기다.[2] 대충 '구운(baked) 모찌 비슷한 식감의 과자'라는 의미라 '모쵸쵸'라고 지은 것. 원래는 스플래툰 3가 나오기 전인 2021년에 만들어진 신조어이다.[3] 가게 이름은 대개 '에치고야'.[4] 야마부키(ヤマブキ)라고 읽으며, 한국에서는 황매화라고 부르는 장미과 식물이다. 노란색 꽃이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