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개편 이전까지 해당 번호를 사용하던 노선에 대한 내용은 울산 버스 721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ffbc00> | }}} |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11 | 112 | 114 | 115 | 118 | 121 |
122 | 124 | 128 | 132 | 134 | 142 | |
213 | 215 | 216 | 217 | 219 | 225 | |
226 | 236 | 246 | 313 | 318 | 323 | |
333 | 343 | 353 | 363 | 373 | 383 | |
412 | 413 | 414 | 415 | 416 | 417 | |
418 | 422 | 423 | 428 | 432 | 438 | |
442 | 452 | 462 | 472 | 482 | 513 | |
514 | 515 | 518 | 523 | 533 | 543 | |
711 | 712 | 713 | 714 | 715 | 716 | |
718 | 721 | 722 | 723 | 724 | 725 | |
728 | 732 | 734 | 735 | 742 | 743 | |
744 | 752 | 753 | 754 | 762 | 763 | |
772 | 773 | 818 | 918 | |||
[1]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
1. 개요
- 구 104번
- 울산광역시 동구 대왕암공원에서 중구 성남동을 거쳐서 울주군 율리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는 울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14번 | |||||
기점 |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대왕암공원) |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율리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00 |
막차 | 22:40[1] | 막차 | 22:40[2] | ||
평일배차 | 10~30분 | 주말배차 | 15~30분 | ||
운수사명 | 대우여객 | 인가대수 | 18대[3] | ||
노선 | 대왕암공원 - 일산해수욕장 - 동부경찰서 - 현대중공업.울산대학병원 - 남목1동 - 성내 - 신전 - 현대출고사무소 - 울산종합운동장 - 학성공원 - (→ 신중앙시장 → 중앙전통시장 →/← 구역전시장 ← 성남프라자 ←) - 태화루 - 삼호교 - 남운프라자 - 신복교차로(신복교차로입구) - 울산대학교 - 문수경기장 - 율리공영차고지 |
3. 역사
- 구 30번이 전신이다.
- 30번의 지선노선으로 30-1번이 있었는데, 이 노선은 30번과 5-1번(현 118번)을 적절하게 섞어놓은 형태(무거동 - 신복로터리 - 삼호 - 태화동 - 우정시장 - 복산동 - 중구청 - 학성초교 - 현대자동차 - 현대중공업 - 방어진)로 운행하다 99년 무거동 - 화봉동으로 노선을 변경·단축하였다. 이후 2000년에 30-1번, 45번, 46번 노선을 통합해 구 48번(현 732번)으로 운행했다.
- 그리고 2000년 이전에는 무거-방어진 노선이 5개로 굉장히 많았다. 100번(지금의 1411번), 102번(지금은 134번에 흡수통합된 1114번), 112번(지금은 폐선된 1104번[4]), 130번[5], 131번(지금의 713번)으로 지금은 구 100번만 살아남았고, 대부분은 폐선 또는 입석으로 전환되었다.
- 2003년 8월 개편 때 번호가 104번으로 바뀌었다.
- 2017년 7월 12일에 1대가 감차되어 20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7월 1일부터 개별노선제 시행으로 인해 신도여객에서 운행하게 되었다.
- 2020년 11월 9일에 16대에서 18대로 2대 증차되었다.
- 2021년 2월 17일에 18대에서 19대로 1대 증차되었다.
- 2021년 5월 28일에 19대에서 20대로 1대 증차되었다.
- 신도여객 파산으로 인해 2021년 9월 1일부터 운행 업체가 대우여객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파산 직전 신도여객의 임의결행[6]으로 인한 행정 처분으로 인해 울산여객, 남성여객, 한성교통이 임시로 운행했다. 또한 차량도 16대로 감차되었다.
- 2021년 10월 31일에 운행정지 행정처분이 풀렸고 동시에 차량도 4대 증차(원상복구)되어 20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2년 5월 6일에 20대에서 22대로 2대 증차되었다.
- 2024년 12월 21일부터 시내버스 대개편으로 인해 노선번호가 114번으로 변경되고, 직행좌석버스 1114번 분리신설로 인해 22대에서 16대로 6대 감차되면서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소폭 늘어났다.
- 2025년 1월 6일부터 평일기준 운행대수가 16대에서 18대로 늘어났다 공지사항
4. 특징
- 134번이 울산의 대표적인 신도심인 삼산동 일대의 대표 노선이라면 이 노선은 반대로 구도심인 성남동의 대표 노선이다. 그래서 성남동을 중심으로 출퇴근 시간은 물론이거니와 평상시에도 많은 수요를 자랑한다. 성남동과 태화동에서 이 노선을 보조하는 다른 노선으로는 1114번이 있다.
- 울산 시내버스 노선 중 평일 인가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고, 대우여객 노선들 중 배차간격이 평일 10~30분, 주말 15~30분[7]의 가장 촘촘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대왕암공원 앞까지 바로 가기 때문에 관광 수요도 적지 않다.
4.1. 노선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14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등대로 | |
일산해수욕장 ▼ | ▲ 휴먼시아아파트 | |
방어진순환도로 | ||
성내 ▼ | ▲ 성내 | |
염포로 | ||
▼ | ▲ 학성초등학교 | |
가구거리 | ||
학성공원 ▼ | ▲ 학성공원 | |
구교로 | 학성로 | |
▼ | ▲ 성남프라자 | |
번영로 | 강북로 | |
성남동 ▼ | ||
강북로 | ||
태화루 ▼ | ▲ 태화루사거리 | |
태화로 | ||
좋은삼정병원앞 ▼ | ▲ 삼호교 | |
북부순환도로 | ||
신복로터리 ▼ | ▲ 남운프라자 | |
대학로 | ||
▼ | ▲ 우신고등학교입구 | |
문수로 | ||
울산구치소입구 ▼ | ▲ | |
청량천변로 | ||
▼ | ▲ 울산구치소입구 | |
웅촌로 |
5. 사건사고
- 2020년 10월 20일 오전 10시 5분에 동구 남목고등학교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시내버스끼리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원인은 조사 중이며 이 사고로 전문과 앞 유리창이 파손되어 레커차로 태화루사거리를 거쳐 가는 것이 인근 시민들에 의해 목격되어 인터넷상에서 사진이 떠돌고 있다.
6. 연계 철도역
없음.[1] 주말 22:30[2] 주말 22:30[3] 주말 12대[4] 구.134번은 1104번을 대체하기 위해 1달 뒤에 신설된 별개의 노선이지 1104번이 형간전환된 노선이 아니다.[5] 처음에는 법원, 공업탑, 시청을 경유했다가 102번, 112번이 공업탑에서 무거동으로 연장됨으로 인해서 구 30번과 동일하게 변경되었으나 방어진 방면은 학성로가 아니라 강북로로 운행하던 노선.[6] 8월 30일에는 전체 20대 중 5대만 운행했다.[7] 이른 아침이나 야간 시간대에는 20~30분으로 벌어진다.[8] 동구(대왕암공원 - 중공업 - 남목), 북구(염포동 - 현대자동차 - 효문사거리 - 농심메가마트), 중구(울산종합운동장 - 학성공원 - 구시가지 - 성남동 - 우정동 - 태화동), 남구(삼호교 - 신복로터리 - 울산대학교 - 문수경기장), 울주군(율리)[9] 다른 노선으로는 115번, 1114번, 1115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