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9:09:27

대우여객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버스 회사
U-Bus 계열사
한성교통 울산여객 남성여객
유진버스 삼정여객 이음교통
시내버스 회사
대우여객 학성버스 (주)세원
지선버스 회사 · 마을버스 회사
웅촌버스 호계민영버스 시민교통
태화여객 서광여객 선암교통
우리버스 율리우리버스 검단마을여객
제일여객 무거교통 동구운수
없어진 회사
신도여객 경진여객 방기마을버스
상대고산마을버스 약사마을버스 성안마을버스
대우여객자동차 주식회사
大尤旅客自動車 株式會社
Daewoo Passenger Co., Ltd.
설립일 1982년 7월 27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김익기, 박재권
주요 주주 김익기: 47.60%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68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7억 9,631만 5,000원(2023년 기준)
매출액 353억 6,122만 2,800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17억 9,565만 7,838원(2023년 기준)
순이익 -4억 4,923만 6,406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112억 8,947만 2,963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117억 3,279만 1,743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2,646.58%(2023년 기준)
소재지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로 80 (창평동, 농소공영차고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우여객자동차㈜ 홈페이지
전화번호 052-266-2003

1. 개요2. 역사3. 자회사4. 운행 노선5. 보유 차량6. 지배구조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나무 723.png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차량번호는 울산71자 22**~23**번대[1], 30**번대[2], 자회사는 35**번대[3] 면허를 사용한다. 자일대우버스와는 관계 없다.[4]

2. 역사

1982년에 설립되었으며, 원래는 울산군의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업체였으나(노란색 바탕에 하늘색 줄무늬가 아닌 노란색 바탕에 빨간색 줄무늬 도색이었다.삼산동 이전초기 시외터미널) 1995년 도농통합으로 울산시가 되면서 시내버스 회사로 자동으로 클래스가 올라갔다.[5]
하지만 이전의 농어촌버스였던 흔적은 남아 있어서 원칙적으로는 공동운영이 아닌 독자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6] 현재 운행하는 노선이나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2010년 이전부터 운행노선 기준) 대부분이 울주군이나 울주군이었던 지역을 기종점으로 한다.[7] 시내와 언양권을 오가는 노선에서 태화루를 경유하거나 태화강역 기종점노선이 많은 이유도 농어촌버스 시절 노선의 흔적인데, 당시 노선의 상당수가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을 들렀기 때문이다.[8] 농어촌버스 시절 시외버스터미널을 들락거린 노선이 시내버스 업체가 된 후에는 시외터미널 밖인 삼산종점에 종착하는 형식이었지만, 이후에 여러 번의 개편으로 차츰 노선들이 태화강역까지 들어가도록 연장된 것이다.

특이점으로 (2003년 번호 개편 전까지 적용) 기존에 행선지를 표시하면서 운행하던 농어촌버스 노선들이 시내버스로 되면서 비슷한 계통이었던 노선들에 예를 들어 시종점이 같아도 경유지가 달랐던 경우(305번314번), 시점과 경유지가 같아도 종점이 다른경우(318번319번, 302번303번) 새로번호가 주어졌을 때, 기존의 한 자리 내지는 두 자리 숫자의 시내버스 노선번호와 구분을 위해서였는지, 모두 세자리 숫자로 된 300번대 번호로 부여받았는데 이후 신설된 노선도 300번대 노선번호를 받았고 원칙적으로는 단독배차제를 하였다. 번호를 부여받을 시 단독배차제의 예외로 노선번호 받자마자 공동배차했던 316번이 있고, 시내버스로 전환한 이후에 신설된 노선 중 66번, 81번, 50번과 같이 공동 배차하던 노선은 300번대를 달지 않았다. 이러한 과거가 있어서인지는 몰라도 2003년의 버스노선 번호 개편 당시에도 대우여객과 관련이 있던 노선 중 3xx 번호와 3권역이 아닌버스는 5xx번호를 싹쓸이하였다.

본사는 원래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9]에 있었으나, 2011년 11월 북구 창평동 농소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또한, 농어촌버스 시절부터 계속되어왔던 언양권의 대표적인 버스 회사였으나, 경영난으로 인해 2011년 11월 1일자로 언양지역 노선을 울산·남성여객 등에 넘겨 버리는 상황이 발생했다.[10] 그래도 언양읍에 인접한 범서읍노선(구영, UNIST/척과, 반용)은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13년에 943번을 추가로 매각하였다. 그리고 자회사인 우리버스에서 언양 지선버스인 953번, 954번을 보유하고 있다.

신도색이 도입된 2000년부터 2003년 즈음까지 대부분의 차량에 특이하게 차량 하부에 흰색이 앞으로, 회색이 뒤로 가 있는 도색을 한 차량이 많았다.[11] 2004년즈음부터 다른 회사들과 동일하게 바뀌었고, 해당 변종 도색은 2014년까지 남아있었다.

2019년에 울남으로부터 울남지선, 마을버스를 인수받았고, 회사명을 우리버스로 변경하였다. 이로써 울남에 넘겼던 언양 쪽 노선을 지선버스 노선에 한해 수복하였고, 943번과 953번이 다시 돌아왔다. 이후 2024년 방기마을버스를 인수해 방기, 신평 쪽 노선을 마을버스 노선에 한해 수복하였다.

2019년 1월 1일부로 단계적으로 노선전담운행을 시행함에 따라 조정이 일어나면서 공동 배차 노선이 전부 사라졌다. 천상에서 완전 철수하였고 방어진 노선이 사라졌다. 대신 강동권 노선을 거의 전담하고 다운동 노선도 거의 커버하면서 덕하권 노선을 추가로 담당한다.

2020년부터 우리버스에서 랩핑버스가 시작됐고, 우리버스 중구 마을버스 노선에는 울산큰애기, 북구 지선버스 노선에는 쇠부리, 2022년 5월 울산대공원 장미축제 기간에는 1127번 1대에 장미버스 랩핑을 했다.

2021년 8월 중순, 신도여객의 차량·노선 매각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고 양도·양수 허가신청서를 시에 제출했다. 고용승계 관련 문제로 마찰이 있었으나, 8월 27일 이변 없이 최종 수리되면서 9월 1일 신도여객의 노선과 차량을 인수하였다.# 이 상황으로 대우여객은 비록 운행 계통은 다르기는 하지만 전담운행제 시행 초기에 철수했던 방어진 쪽과 천상 쪽을 각각 104번743번을 통해 다시 운행하게 되었고, 405번의 운행업체 변경 및 421번 단축 이후 완전히 철수했던 율리 노선 역시 다시 보유하게 되었고, 9년 10개월 만에 울산역 노선을 리무진 노선으로 다시 보유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전에 신도여객의 임의 결행으로 인한 행정 처분으로 인해 60일간 26대[12]의 차량이 운행을 할 수 없어서 104번은 울산, 남성여객, 한성교통이, 417번은 학성버스에서 임시로 운행하며, 행정 처분 만료되는 10월 31일부터 정상적으로 운행하게 된다. 또한 세원, 유진버스와 함께 모화로 가는 노선이 다니지 않았으나 신도여객에서 넘겨받은 이후 처음으로 모화로 가게 되었다.[13] 그리고 서창동과 덕계동, 노포역도 처음으로 가게 되었다.[14] 또한 2003년 개편 이후 18년 만에 다시 운행하는 좌석버스이기도 하다.

또한 이 회사는 122번처럼 양 방향 같은 정류장 경유하는 노선에 기점방향, 종점방향 보조행선판이 있다.[15]

3. 자회사


대우여객이 이 회사들을 인수하며 통합CI를 제정하여 계열사로 인수하였음을 못박았다.

4. 운행 노선

4.1. 과거 운행 노선

4.1.1. 울산 시내버스

4.1.2. 시외버스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5.2.2. 현대자동차

5.2.3. 기아

6.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김익기
47.60% 공동대표이사
기타 52.40% 6인

7. 기타

8. 관련 문서


[1] 현재 23**번대 면허는 701번으로 운행하고 있는 2382호 말고는 없다.[2] 신도여객으로부터 양도받은 차량[3] 약사마을버스 출신인 10번과 방기마을버스 출신인 60번은 35**이 아닌 33**, 34**이다.[4] 대우버스의 대우는 한자로 大宇라고 쓴다. 즉 한자부터 다르다. 다만 과거 언양영업소의 차량 중에는 시내에서는 볼 수 없는 2011년형 BS090이 다수 다녔다. 대우버스 공장도 언양 생활권으로 이전했고. 이후 울산-남성여객에 매각할 때 차량까지 그대로 인수되어 폐차될때까지 운영했지만... 계열사인 우리버스는 대우차를 뽑는다.[5] 차량 디자인이 서로 다르긴 했지만, 빨간 줄무늬를 하늘색 줄무늬로 덮어 도색하면 끝이었다.[6] 도농분리시 당시에 울산시 시내버스 업체들은 계속 공동배차 형태였다. 이것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대우여객의 독자노선은 농어촌버스 시절에 운영했던 노선을 근간으로 한다.[7] 북구도 동구나 중구였던 염포동 양정동 등을 제외하면, 울주군의 일부였다. 즉, 과거 운행했던 노선을 포함하여 특히 단독배차 노선이거나 단독배차했던 노선은 기종점 중 최소한 한곳은 무조건 울주군이거나 도농통합 전에는 울주군이었던 지역이다. 2010년 언양권 노선을 울남에 넘긴 이후에 신설되는 노선은 거의 타업체와 공동배차 노선이 많았지만.(단, 서술시점이 2019년 공동배차제가 폐지되기 전의 기준이다. 공동배차제가 폐지된 이후에는 전노선이 단독배차이다.)[8] 시골의 시외버스 터미널을 생각해보면 된다. 시외버스뿐만 아니라 농어촌버스들도 들락거린다. 참고로 삼산동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우정동(현재의 GS수퍼마켓과 베스트샵, 리버스위트 자리. 태화루에서 도보 2분거리.)에 시외버스터미널이 있었고, 삼산동으로 이전 후의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태화강역과 버스정류장 3개 차이로 사실상 붙어있는 수준이다.[9] 삼산종점. 현 울산세무서 부근. 현대 문화아파트 201동 근처[10] 울산영업소와 언양영업소는 사실상 별도로 운영하고 있었고 특히 언양쪽의 경영난이 다소 심각했었다. 2001년 경에서부터 처우 문제 등 경영관련 이야기가 많이 나왔고 2008년에는 이와 관련하여 파업까지 갈 뻔했으니 #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문제가 있었단 이야기다. 비슷한 사례로 임금체불 등 경영난끝에 폐업한 경진여객의 건이 있는데, 대우여객은 경진여객의 뒤를 따라가지 않고 적자오지노선들을 넘기면서 사세는 크게 줄었어도 경영난에서는 어느 정도 숨통을 틔웠다. 버스회사의 역사를 파헤쳐가며 따라가는 경우엔 아쉬운 대목이지만 실질적인 이용객인 시민들의 입장에선 노선운행 중단이라던가 가뜩이나 배차도 적은데 파행운행 등의 상황을 맞이하지 않게 했으니 이러한 결정은 합리적인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대우여객으로부터 언양 노선을 사들인 울남이 2014년에는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기도 하는 등 반대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11] 일부 차량은 다른 회사들과 동일한 도색도 있었다.[12] 다만 당시 417번이 코로나 감차로 5대로 운행하고 있었기에 실질적으론 25대.[13] 경주시 자체는 이미 양남으로 가던 701번이 있었기에 처음은 아니다.[14] 양산시507번의 폐선이후 약 2년만에 가게되었고, 부산광역시는 농어촌버스 시절에도 가지 않았기에 회사 설립 이래 처음으로 가게 되었다.[15] 덕신 무궁화아파트를 양 방향 경유하는 527번, 537번, 태화강역을 양 방향 경유하는 712번, 916번, 성광여고(22404)를 양방향 경유하는 978번에 보조행선판이 있다.[16] 승무사원들에게 교통카드를 구입하여 찍도록 하였다.[17] 사실상 421번에 통합되었다고 볼 수 있다.[18] 그전에 언양 - 석남사를 운행하던 (구)328번이 있었다가 폐선되어 한때 배내골 지원을 807번이 담당한 적이 있다.[19] 이후 308번이 미호 지원을 담당. 참고로 배차간격은 울산시내버스 중 제일 긴 6시간 30분을 자랑했다. 운행횟수는 1일 2회.[20] 2023년 1월 7일에 노선이 연장되었다.[21] 우정혁신도시를 경유하는 노선이다.[22] 종점이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다가 농소공영차고지로 연장. 연장 후에도 기존의 효문공단을 경유한다.[23] 1705번과 완전히 같았다. 다만 이쪽은 공동배차 노선이다.[24] 이후 527번이 출퇴근시간 한정으로 온산공단을 경유함.[25] 이전에는 서동(삼일교)이, 그 뒤에는 연암이, 직전에는 농소차고지가 기점이었다.[26] 과거에는 기종점 둘 다 태화강역으로 표기되어 있다. 노선은 대우여객 운행 당시에는 혁신도시 LH2단지에서 회차하는 순환노선이었다. 현재는 구영리 우미린1차에서 회차하는 순환노선이다.[27] 주로 728번으로 많이 운행하였다.[28] 2011년에 울산·남성여객으로 이관되었다.[29] 전중문 폴딩형에 트렁크가 있는 차량도 1990년대 초까지 있었다.[30] 농어촌버스는 전중문 폴딩이었고 시외완행버스는 중문 슬라이딩이었다.[31] 거의 대부분 중문 슬라이딩이었으며 중문 폴딩도 극소수로도 있었다.[32] 농어촌버스 및 시외버스 병행 운행시절 전중문 도시형 이외에 시외완행 중문형으로 도입하기도 했다.[33] 농어촌버스 시절 때 일부 차량 중 시외완행 중문형을 도입하고 전문을 설치개조한 차량이 소수 있었으며 이 사진을 참고 도농통합되기 전 수명이 다되어 도농통합 후 하늘색 줄무늬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그리고 최종사양은 다른 업체들과는 달리 하차벨, 중문창틀은 에어로시티 형식과는 달리 하차벨과 슬라이딩 중문창틀은 기존의 형식 그대로였다.[34] 울산 시내버스에서 1986년 이후 출고분(D6BR엔진)은 이 업체에만 유일하게 존재하였다.[35] 농어촌버스 시절 때 도입 후 곧바로 입석형으로 개조를 하였다.[36] 농어촌버스 시절 때 일부 차량은 스테인레스 차체인 차량도 소수 도입하였다.[37] 이 차량도 스테인레스 차체인 차량도 소수 있었다.[38] 동글이 차량도 일부 존재했었다.[39] 일단 2001년식과 2002년식까지는(필수) 천연가스버스로도 도입을 하였다.[40] 2005~07년식 중에 일부 존재했었다.[41] 2003년 내지 2004년 조기 대차.[42] 태화강역이 기종점이 아니다.[43] 527번의 경우 신차가 그린시티가 아닌 이상 이 노선에 자주 가는 편이다. 203번의 경우 2022년 3월 이전에는 전부 2014년식 이상 차량이었다.[44] 특히 좌석형은 대우여객 회사에 입고 되자 마자 바로 입석형으로 개조하였다.[45] 주로 411번, 472번에 투입됐다. 그 당시 411번의 경우 주전고개 구길인 봉대산 고개(쇠평마을)를 올라가고, 효문공단 종점 시절 472번의 경우 가스 충전이 힘들다 보니 디젤을 운용하는 게 유리했다.[46] 시내버스 전환초기 버스마다 내부에 노선 및 행선지 표지판을 두어 개 실어놓고 다녔지만 해당버스에 비치된 행선지 판을 다른 버스의 행선지 판과 교환하지는 않았다. 실제 운행 예시로 2243버스는 315(현재는 폐선된 317)와 325(현재는 울주 01번)노선판을 들고 다녔는데 한 번 315로 걸어놓고 운행하고 삼산에 돌아오면 325로 바꿔걸고 갔다온 후 다시 315로 갈아서 운행하는 식이었고, 그 외에 다른 노선으로는 투입을 하지 않았다. 언양권버스도 마찬가지로 언양에서 314(현 327)로 삼산으로 한탕 뛰고 온 후 361(현 308)로 봉계로 편도 지원운행 한탕갔다 351(현 802)로 서동찍고 봉계로 돌아와서 다시 361로 언양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었다. 뱀발로 이러한 이유때문인지 당시 361번(현 308번)의 배차간격이 약 30분으로 언양권 내에서 가장 조밀한 편이었다. 대우여객의 3분요리는 운행노선 수(거기에 지원운행 형식으로 파생노선도 많았다)에 비해 버스가 적었기 때문에 버스자체를 기준으로 특정노선 2-3개 씩 전담하는 식으로 운영해온 관행이 버스대수가 늘어나면서 전담버스 노선운행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47] 신도여객 인수로 3대가 더 생겼지만, 2022년 10월에 1대가 대차되었고, 2023년 3월에 1대가 대차되었다.[48] 2001두4450, 2003두4355. 주식회사 세원 문서에서도 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49] 기존 좌우 좌석에 1석씩을 각각 덧붙였으나 현재는 전부 대차되었다.[50] 정규차량은 모든 차량에 스티킹을 했다.[51] 대우여객을 제외한 나머지 울산 시내버스 회사들은 내구연한이 다 된 중형차량들을 대형으로 전환시키고 있다.[52] 원래는 신도여객 소속이었으나, 신도여객의 폐업으로 대우여객으로 넘어왔다. 다만 해당차량은 입석도색으로 재도색을 한 차량이었다.[53] U-bus 회원사는 2024년부터 저상버스를 일렉시티 전기버스나 수소전기버스로만 도입한다.[54] 반대로 유진버스는 울산 시내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가 아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