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3:46:51

작센안할트 요리

{{{#!wiki style="margin: 0 -5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지역별 요리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튀링겐 · 함부르크 · 브레멘 · 니더작센 · 작센안할트 · 작센 · 헤센 · 베스트팔렌 · 라인란트 · 자를란트 · 팔츠 · 슈바벤 · 바덴 · 바이에른 · 프랑켄 · 슐레지엔 · 포메른 · 프로이센 · 주데텐란트 · 서프로이센 · 동프로이센
빵류 구겔후프 · 바움쿠헨 · 슈톨렌 · 슈트루델 · 오믈렛빵 · 슈바르츠발트 · 슈바르츠발트 키르쉬토르테 · 프레첼 · 핫도그 · 호밀빵
고기류 미트로프 · 소시지 · 슈니첼 · 슈바인스학세 · 햄버그 스테이크
스프류 맥주 수프 · 아인토프 · 호박죽
음료류 맥주 · 포도주 · 드립 커피 · 환타
기타 구미 베어 · 뮤즐리 · 쇼카콜라 · 자우어크라우트 · 지리적 표시제/유럽연합/독일
}}}}}}}}} ||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483dca99.jpg
할버슈태터 뷔어르첸(Halberstädter Würstchen)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4a34e020.jpg
림부르거 캐제(Limburger Käse)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6b59b1c0.jpg
가를레이(Garley)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69da655c.jpg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6ce1aeaa.jpg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6e79bc18.jpg
하써뢰더(Hasseröder) / 잘레-운스트루트 실바너(Saale-Unstrut Silvaner) / 로트캡헨 젝트(Rotkäppchen Sekt)

파일:attachment/b0013361_4dfd26428e1eb.jpg
쾨테너 슈스터판(Köthener Schusterpfanne)

Sachsen-Anhaltische Küche

1. 특성2. 주재료3. 특산품
3.1. 주류3.2. 유제품3.3. 제빵, 제과3.4. 요리

1. 특성

작센안할트 전 지역-특히 마그데부르크 인근의 비옥한 토양과 고른 기후는 이 지역을 중부 독일에서 어떤 작물도 재배하기 완벽한 곳으로 만들었다. 독일의 젖줄기라 불리는 엘베(Elbe)강과 독일에서도 경관이 아름다운편인 잘레(Saale)강이 작센안할트를 통과하며, 경지의 60% 정도는 곡물을 재배하는데 쓰이고 10% 정도는 사탕무를 재배하는데 쓰이는데, 토양이 척박하고 평지도 습지가 대부분이었던, 곡물 재배가 힘든 인접 지역 브란덴부르크와는 상당히 비교가 된다.

2. 주재료

작센-안할트 요리는 풍미있고 계절마다 각각 다양한데, 감자를 위시해 양파, 당근, 완두, , 아스파라거스, 꽃양배추, 양배추 등이 주로 쓰인다.

육류 중에서는 돼지고기가 제일 많이 쓰이며, 이는 갖가지 소시지 재료로 활발하게 쓰인다. 또한 숲과 호수에서 잡은 짐승이나 물고기도 종종 쓰이고, 하르츠 산에서는 비록 조금씩 만들어진다고는 해도 질 좋은 치즈를 만들어낸다.

3. 특산품

재료가 아무리 풍부하고 음식이 맛있다고 해도 작센-안할트의 "대표 요리"는 많지 않으며 인근 타 지역의 음식과 겹치거나, 아니면 단순하게 조리한 걸 그저 풍족하게 먹을 뿐이거나 한 것이 더 많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작센-안할트의 특산품은 많은 편으로 작은 소시지인 할버슈태터 뷔어르첸(Halberstädter Würstchen), 하르츠 산에서 만들어지는 치즈인 림부르거 캐제(Limburger Käse)[1], 생치즈소금과 케러웨이로 간을 하고 딱총나무 꽃을 섞은후 치즈 진드기들이 우글거리는 호밀기울이 든 나무상자 속에서 숙성시킨 치즈뷔르흐비처 밀벤캐제(Würchwitzer Milbenkäse)[2] 등이 있다.

튀링겐 주에 살짝 걸쳐있는 잘레-운스트루트 지역은 유럽에서 대규모로 포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최북단 장소로, 양질의 와인을 생산하기로 유명하다. 거의 뮐러-투르가우(Müller-Thurgau), 피노 블랑(Pinot Blanc), 실바너(Sylvaner) 같은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는데 중부 독일의 스파클링 와인 로트캡헨 젝트(Rotkäppchen Sekt)의 고향이기도 하다.

또한 맥주 양조 전통이 오래되기도 했는데, 1314년부터 유래된 세계 최고령 맥주 브랜드 가를레이(Garley)[3][4] , 또한 독일에서 나름대로 잘 나가는 필스너 맥주 하써뢰더(Hasseröder) 등이 작센안할트를 기반으로 두고 있다. 허브 리큐르 쉬어커 포여슈타인(Schierker Feuerstein) 역시 작센안할트가 기원.

아이어쿠헨(Eierkuchen), 바움쿠헨(Baumkuchen), 카르토펠푸퍼(Kartoffelpuffer) 등의 타 지역 요리가 작센-안할트에도 많이 퍼져있지만, 돼지고기감자를 구워 를 곁들인 쾨테너 슈스터판(Köthener Schusterpfanne), 도우로 뚜껑을 덮고 오븐에서 익혀낸 스튜 클룸프(Klump) 등이 작센안할트를 대표하는 요리로 꼽힌다.

3.1. 주류

3.2. 유제품

3.3. 제빵, 제과

3.4. 요리




[1] 특유의 구린 냄새가 강하여 입문하는 사람들이 고생하니 주의바람[2] 이 치즈는 중세 때부터 만들어진 유서깊은 치즈지만 동독 시절에는 제조와 유통이 금지되어 치즈 장인이 1명만 남을 정도로 쇠퇴했다가 동서독 통일 후 부활했다.[3] 2013년 5월 회사가 파산했으나 2021년 3월 회생했다.[4] 필스너를 주력 라인업으로 필스너, 한정판 필스너, 다이어트 필스너, 나팔수 필스너, 스페셜 엑스포트, 복, 페스트 비어, 크리스마스, 카니발 한정판, 오리기날, 켈러베르크 흑맥주, 라즈베리, 레몬 라들러 시리즈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