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9c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중구* | 동구* | 미추홀구 | 연수구 | |
부평구 | 계양구 | 서구 | ||
자치군 | ||||
강화군 | 옹진군 | |||
* 2026년 7월 1일 중구·동구 폐지 예정 ** 2026년 7월 1일 제물포구·영종구·검단구 설치 예정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a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aaa>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aa> 신포동 | 신포동 | 사동 |
신생동 | 답동 | ||
중앙동1~4가 | 송학동1~3가 | ||
해안동1~4가 | 관동1~3가 | ||
항동1~6가 | 항동7가 | ||
연안동 | 북성동1가 | ||
개항동 | 북성동2~3가 | ||
선린동 | 송월동1~3가 | ||
신흥동 | 신흥동1~3가 | 선화동 | |
도원동 | 도원동 | ||
율목동 | 유동 | 율목동 | |
동인천동 | 내동 | 경동 | |
인현동 | |||
용동 | 전동 | ||
만석동 | 만석동 | ||
화수1·화평동 | 화평동 | ||
화수동 | |||
화수2동 | |||
송현동 | |||
송현1·2동 | |||
송현3동 | |||
송림1동 | 송림동 | ||
송림2동 | |||
송림3·5동 | |||
송림4동 | |||
송림6동 | |||
금창동 | 금곡동 | 창영동 |
| |
중구 구도심의 행정동 | 중구 구도심의 법정동 |
| |
동구의 행정동 | 동구의 법정동 |
1. 신포동
관할 법정동은 관동1~3가·답동·사동·송학동1~3가·신생동·신포동·중앙동1~4가·항동1~6가·7가(일부)·해안동1~4가이다. 인구는 4,526명.[P]현대적 개념의 도시로서 인천이 발전할 수 있었던 기반 지역이자 1980년대까지 인천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쇼핑의 중심지였다. 지금은 개화기 관광지로써의 역할이 더 커서 한국근대문학관, 홍예문, 답동성당, 인천 구 대화조 사무소, 인천개항박물관,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등이 있다. 그 외 중구청, 인천중부경찰서, 인천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인천중부소방서,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 인천아트플랫폼, 자유공원, 신포국제시장, 이마트 동인천점, 올림포스호텔 인천, 하버파크호텔이 있다. 학교는 신흥초, 인성초, 송도중, 인성여고, 인천여상고가 있다.
2. 연안동
관할 법정동은 북성동1가(일부)·항동7가(일부)이다. 인구는 5,118명.[P]소월미도(인천해역방어사령부, 서해5도특별경비단 위치)가 북성동1가에 속하며, 나머지 인천항 지역 대부분은 항동7가에 속한다. 연안아파트(690세대),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3], 인천본부세관, 인천종합어시장이 있다. 학교는 연안초가 있다.3. 신흥동
관할 법정동은 선화동·신흥동1~3가이다. 인구는 14,118명.[P]동쪽으로 미추홀구 숭의동 및 용현동과 접한다. 신흥동3가 지역은 대부분 공단과 물류센터이다. 신흥 아이파크(1,330세대), 한국은행 인천본부, 인천지방조달청, 학익에코테마파크, 인하대학교병원이 있다. 학교는 신광초, 신선초, 신흥중, 신흥여중이 있다.
2006년 옹진군청이 현재의 미추홀구 용현동으로 신축이전 하기 전까지 이 곳에 소재해 있었다.
4. 도원동
중구의 행정동 도원동 桃源洞 | Dowon-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023 | ||
관할 법정동 | 도원동 | ||
하위 행정구역 | 14통 64반 | ||
면적 | 0.26㎢ | ||
인구 | 3,573명[5] | ||
인구 밀도 | 13,742.3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 임관만 (초선) | ||
중구의원 | 가 선거구 | |||
| 윤효화 (초선) | ||
| 이종호 (재선) | ||
| 정동준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도원로 42 (도원동 24-51) | ||
도원동 행정복지센터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573명.[P]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인천도원체육관이 있다. 그러나 정작 동의 이름을 딴 도원역은 동구에 있다. 학교는 광성중, 광성고, 인천중앙여고가 있다.
[clearfix]
5. 율목동
중구의 행정동 율목동 栗木洞 | Yulmok-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024 | ||
관할 법정동 | 유동, 율목동 | ||
하위 행정구역 | 14통 64반 | ||
면적 | 0.18㎢ | ||
인구 | 2,896명[7] | ||
인구 밀도 | 16,088.8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 임관만 (초선) | ||
중구의원 | 가 선거구 | |||
| 윤효화 (초선) | ||
| 이종호 (재선) | ||
| 정동준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서해대로 483번길 3 (유동 27-4) | ||
율목동 행정복지센터 |
관할 법정동은 유동·율목동이다. 인구는 2,896명[P]
율목도서관, 율목공원, 인천기독병원이 있다. 학교는 인천반도체고가 있다.
[clearfix]
6. 동인천동
관할 법정동은 경동·내동·용동·인현동·전동이다. 인구는 5,260명.[P]동인천역,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중구보건소, 삼치거리, 가천대학교 의료원, 애관극장[10]이 있다. 동인천역 상권을 나락으로 빠뜨린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가 발생한 곳이다. 학교는 송월초, 인일여고, 제물포고가 있다.
7. 개항동
중구의 행정동 개항동 開港洞 | Gaehang-dong | |||
<colbgcolor=#e7211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490023 | ||
관할 법정동 |
| ||
하위 행정구역 | 37통 154반 | ||
면적 | 0.55㎢ | ||
인구 | 6,731명[11] | ||
인구 밀도 | 12,238.18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중구·강화군·옹진군 | |
| 배준영 (초선) | ||
인천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 임관만 (초선) | ||
중구의원 | 가 선거구 | |||
| 윤효화 (초선) | ||
| 이종호 (재선) | ||
| 정동준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차이나타운로 44번길 13-2 (북성동2가 10-8) | ||
개항동 행정복지센터 |
관할 법정동은 북성동1가(일부)·2~3가·선린동·송월동1~3가이다. 인구는 6,731명.[P]
2021년 7월 1일부터 기존의 행정동 북성동과 송월동이 통합하여 개항동이 되었다. 구 북성동은 인천역과 차이나타운, 월미도 놀이동산으로 유명한 월미도가 있으며, 구 송월동은 북성동과 동인천동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송월아파트가 소재한 주거지역이다. 학교는 인천해사고가 있다.
[clearfix]
8. 만석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6,276명.[P]만석 비치타운 주공아파트(1,273세대), 동구보건소, 두산산업차량 본사 및 사업장, 동일방직 인천공장[14]이 있으며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배경이 된 동네이다. 영종도 옆의 물치도도 행정구역상 동구 만석동에 해당한다.
9. 화수1·화평동, 화수2동
- 화수1·화평동: 인구는 5,416명.[P] 1998년 10월 27일 화수1동(花水1洞)과 화평동(花平洞)이 합쳐진 곳으로 관할 법정동은 화수동(일부)·화평동이다. 인천광역시교육청화도진도서관, 화도진공원, 화평동 냉면거리가 있다.
- 화수2동: 관할 법정동은 송현동(일부)·화수동(일부)이다. 인구는 6,869명.[P] 동부센트레빌아파트(1,140세대), 미륭아파트(560세대), HD현대인프라코어 본사가 있다. 동부센트레빌, 삼두2차, 송현초 일대는 법정동 송현동에 속하며, 실제로 이쪽에 사는 사람들은 "송현동에 산다"고 하지 "화수동에 산다"고 하지 않는다. 이들 지역은 원래 실제로도 송현2동[17]에 편성되어 있었으나, 1998년 10월 27일 인천 동구의 과소행정동이 통폐합 될 때 화수2동으로 편입된 지역이다. 추가로 가톨릭 성당 세부 관할 구역으로 봐도 이 지역은 화수동성당이 아닌 송현동성당 관할 구역이다. 학교는 만석초, 송현초, 화도진중이 있다. 화도진공원 옆 영풍아파트 자리에 천주교(가톨릭) 계열인 대건중/고교가 있었으나 중학교는 폐교, 고등학교는 연수구로 이전했다.
10. 송현1·2동, 송현3동
관할 법정동은 송현동(일부)이다.- 송현1·2동: 인구는 9,703명.[P] 1998년 10월 27일 송현2동의 수문통로(현재 기준)의 남쪽을 흡수하여 현재의 영역을 갖추었다. 이후 송림동에 동인천역 파크 푸르지오가 입주하면서 일부 영역을 송림1동으로 넘겼다.[19] 동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살며 동인천역 4번 출구 방향(북광장)에 위치하며 2000년대 초반 수도국산 일대와 그 아래 지역에 솔빛마을 주공아파트 1~2단지(3,451세대)가 조성됐는데 대형 아파트단지로는 동구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 송현3동: 인구는 2,754명.[P] 송현근린공원과 현대제철 본사 및 인천공장이 있다. 또한 동 행정복지센터가 송현1~2차아파트(900세대) 단지 내에 위치해 있다. 송현근린공원내에 달동네를 주제로 한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다. 박물관 내부 사진 #1 #2 #3 #4 #5
11. 송림1동, 송림2동, 송림3·5동, 송림4동, 송림6동
관할 법정동은 송림동이다.- 송림1동: 인구는 6,627명.[P] 동인천역 파크 푸르지오(2,562세대)가 2022년 중 입주를 시작하면서 인구가 2천명 가까이 늘었다. 학교는 송림초가 있다.
- 송림2동: 인구는 1,225명.[P] 동구청이 있다. 학교는 동명초, 서흥초가 있다.
- 송림3·5동: 인구는 5,521명.[P] 원래 대략 동산로를 중심으로 서남쪽 일대를 송림3동, 동북쪽 일대를 송림5동으로 나누었다가 1998년 10월 27일 합쳤으며, 동사무소는 舊 송림3동 동사무소를 사용하다가 2012년경에 현재 위치로 옮겼다.[24]동산 휴먼시아 1~2단지(1,173세대), 동구문화체육센터, 인천재능대학교, 천주교 인천교구청, 송림시장이 있다. 학교는 서림초, 동산중, 인천재능중, 동산고, 인천재능고가 있다.
- 송림4동: 인구는 6,025명.[P] 인천대로 앞까지 땅거스러미 형태로 튀어나와 있는데, 그 끝에 동구구민운동장이 있다. 송림 휴먼시아 1단지(1,011세대), 인천 브리즈힐(920세대), 인천광역시의료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송림점, 인천산업용품유통센터가 있다.
- 송림6동: 인구는 5,673명.[P] 송림 풍림아이원(1,355세대), 인천송림체육관, 현대시장이 있고, 현대시장 앞에는 닭내장탕집들이[27] 줄지어 있어서, 술안주로 먹기에 가성비가 괜찮다.
12. 금창동
관할 법정동은 금곡동·창영동이다. 인구는 2,207명.[P]금창동의 경우 동구 관할의 다른 행정동들은 물론 인천광역시 지역의 다른 자치구에서 과소행정동을 통폐합할 시기인 1998년 즈음이 아닌, 1985년 9월 19일에 일찌감치 합동되었었다. 배다리 헌책방거리, 인천세무서가 있고, 영화나 드라마도 제법 이곳에서 많이 촬영했다.[29] 창영초등학교 옆에 VR체험관이 있어 VR체험도 가능하다. 학교는 영화초, 창영초, 영화국제관광고와 직업교육 위탁기관인 인천산업정보학교가 있다.
[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3] 대중가요이자 인천 연고 스포츠팀의 응원가로 널리 알려진 일명 연안부두가 바로 이곳이다.[P] [5]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P] [7]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P] [P] [10]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영화관 중 가장 오래된 영화관이다.[11]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P] [P] [14] 동일방직 똥물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P] [P] [17] 대략 현재의 화수2동 관할의 송현동과, 송현1·2동에서 송현로19번길과 송현로 북쪽 지역에 해당하는 송현동 지번들을 관할하던 행정동.[P] [19] 또 송현1·2동 행정복지센터의 경우 원래 동인천역 파크푸르지오 110동의 서쪽 끝에 위치해 있었으나, 재개발구역에 들어가서 철거되었고, 행정복지센터를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P] [P] [P] [P] [24] 舊 송림3·5동 주민센터 건물의 경우 현재는 일대가 재개발에 들어가면서 철거되었다. 주소는 송림동 72-6, 도로명주소 금곡로92번길 23[P] [P] [27] 정확한 이유와 어원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인천에서는 닭내장탕을 유독 '닭알탕'이라고 부른다. 아귀를 '물텀벙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한 이치.[P] [29]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극한직업의 촬영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그밖에 무법 변호사나 인랑도 촬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