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04:45:56

조병세(194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원호청 차장 (1961~1962)
<nopad> 송요찬 내각
초대
윤영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호처 차장 (1962~1984)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윤영모
제2대
최형규
제3대
이도헌
제4대
서윤택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5대
유원철
제6대
허길
제7대
최병삼
국가보훈처 차장 (1985~2023)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7대
최병삼
제8대
김상영
제9대
김옥조
제10대
전희찬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1대
이충길
제12대
김시복
제13대
김의재
제14대
장귀호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5대
조병세
제16대
김종성
제17대
배철호
제18대
김정복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19대
정일권
제20대
김흥걸
제21대
이종정
제22대
우무석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23대
정양성
제24대
최완근
제25대
심덕섭
제26대
이병구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7대
이남우
제28대
윤종진
국가보훈부차관 (2023~현재)
<nopad> 윤석열 정부
초대
윤종진
제2대
이희완
}}}}}}}}}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조병세
趙炳世
출생 1949년 3월 20일 ([age(1949-03-20)]세)
충청북도 제천시
학력 대전고등학교 (졸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 학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석사과정 수료)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1])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2])
경력 대한민국 철도청 공무원
대한민국 교통부 공무원
국무총리실 정무비서관
국무총리실 공보비서관
국무총리실 민정비서관
국무총리실 의전비서관
국가보훈처 차장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초빙교수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대구대학교 겸임교수
앨라배마 대학교 강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치학과 초빙교수
국민중심당 전략기획위원장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동양학부 한국학전공 교수
폴란드 크라쿠프 세종학당 학당장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공무원, 정치인, 교육인이다.

2. 생애

1949년 3월 20일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태어났다. 이듬해인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전쟁 중에 부모를 잃고 그 뒤로 할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대전고등학교 졸업 후 9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뒤 철도청 공무원으로 임용되었다. 공무원으로 봉직하면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한 뒤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과정을 수료하는 등 여러 대학에서 계속 공부했다. 1988년에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1993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철도청에서 공무원대상 교통 프로그래밍 수업을 듣고 교통부로 옮겼다. 학구열 덕분에 고속 승진하였으며 20년 동안 국무총리실에서 일하면서 5급부터 3급까지 올랐고, 정무비서관, 공보비서관, 민정비서관, 의정비서관 등 여러 보직을 맡았다. 1999년 1월 21일부터 2000년 2월 11일까지 제15대 국가보훈처 차장으로 재임하였다.[3] 공직 퇴임 후에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초빙교수, 한양대학교대구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각각 근무하였고, 21세기 지역발전연구소 이사장으로 재임하였다.

2000년 4월 치러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대전광역시 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이재선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또한 같은 해 10월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대전광역시 서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가기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낙선으로 인하여 많은 친구들을 잃고 낙심하여 사찰에 머물며 1년간 명상을 했다고 하며, 앨라배마 대학교 명상학 강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치학과 초빙교수 등으로 근무하기도 하였다.

2006년 국민중심당 창당준비위원회에 합류하였고, 창당 이후 치러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중심당 후보로 충청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우택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국민중심당 전략기획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임하였다.

이후에는 우즈베키스탄, 대만 등 아시아의 대학에서 강의하였고, 이후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동양학부 교수로 부임한 뒤 2013년 한국학전공을 개설하였으며 크라쿠프 세종학당 학당장으로 일했다.[4]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전 서 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084 (9.15%) 낙선 (4위)
10월 재보궐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대전 서구청장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1,525 (30.5%) 낙선 (2위)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646 (3.20%) 낙선 (4위)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1990-2002).svg 2000년 10월 재보궐선거 대전광역시 서구청장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자유민주연합 가기산 당선
새천년민주당 조병세
한나라당 김영진
· 영천
12재보궐345678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시장 대구시장 대전시장 강원지사 충북지사
임웅균 박승국 남충희 류승규 조병세
충남지사 경남지사
이명수 김재주
열린우리당 · 한나라당 · 민주당 · 민주노동당 · 국민중심당
광역 · 서울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_White.svg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열린우리당 한범덕
2 한나라당 정우택 당선
3 민주노동당 배창호
4 국민중심당 조병세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960년12345678 }}}}}}}}}}}}

[1] 석사 학위 논문: 한국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제5공화국 국무회의를 중심으로(1988.)[2] 박사 학위 논문: 충청권의 다부문경제모형에 관한 연구(1993.)[3] 이게 얼마나 대단하냐면 20세기가 아무리 고도성장시대였다고 하더라도 공무원이 9급으로 입직하면 5급 선에서 끝나는 것이 보통이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이사람은 1급까지 오른 것이다.[4] 나중에 바르샤바에 있는 주폴란드한국문화원 산하로 이관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