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1:49:04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대만 관계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아시아 <colbgcolor=#ecebff,#020033> 동북아시아 <colbgcolor=#fff,#191919>몽골 · 일본 · 중국(홍콩, 상하이, 칭다오) · 타이베이[미승인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인도 · 파키스탄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젯다) · UAE · 예멘 · 오만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미승인국]
유럽 서유럽 네덜란드 · 벨기에 · 룩셈부르크 · 아일랜드 · 영국 · 프랑스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에스토니아 · 핀란드
중유럽 독일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오스트리아 · 폴란드 · 헝가리
동유럽, 남유럽 교황청 · 그리스 · 러시아 · 루마니아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튀르키예 · 크로아티아 · 포르투갈 · 아제르바이잔 · 조지아[분관]
아메리카
북미 미국(로스앤젤레스) · 멕시코 · 캐나다
중미, 카리브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남미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서아프리카 가나 · 나이지리아 · 세네갈 · 코트디부아르
동아프리카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케냐 · 탄자니아
중앙 아프리카 가봉 · 앙골라 · 카메룬 · 콩고민주공화국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 짐바브웨
오세아니아
/ 태평양
오세아니아 호주 · 뉴질랜드 · [미국]
태평양 파푸아뉴기니 · 피지
국제기구 국제연합 UN
지역별 EU · ASEAN · 제네바
분야별 OECD, UNESCO, ICAO, NATO
}}}}}}}}} ||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駐台北韓國代表部
파일:800px-Taipei_World_Trade_Center_International_Trade_Building_20090617.jpg
<colbgcolor=#053863><colcolor=#fff> 소재지
[[대만|]][[틀:국기|]][[틀:국기|]] 타이베이시 신이구 지룽로 1단 333호 1506실[1]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표 이은호
상급기관 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외교공관으로서의 지위3. 역사
3.1. 역대 대사 / 대표
4. 이용가능한 대중교통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대만에 설치한 외교공관[3]으로,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후신이다. 일단 하나의 중국 문제로 인해 타국의 대사관과 동급이기는 하지만 대표부라는 이름을 달고 활동한다.

2. 외교공관으로서의 지위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라는 명칭에서 드러나듯이 '대사관'이 아니라 '대표부'이므로 다른 여타 대사관에 비하면 명목상 지위가 낮은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요구인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1992년 한국 - 중화인민공화국 수교와 동시에 한국 - 중화민국 국교 단절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주타이베이 대표부는 외교부 직속이며 주타이베이 한국 대표부장은 차관급 대사와 같은 직위의 외교관이며 대만 내에서 영사 업무, 정무 업무를 하고 있으며 사실상 대사관과 같다.

3. 역사

1882년 조선청나라가 외교를 맺었으나 청일전쟁 이후 단절되었고 을사조약으로 관계가 끊겼다. 중화민국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부터 가까운 관계를 가졌으며 1949년 정식으로 국교를 수립했다.

하지만 당시 중국 대륙에서는 국공내전이 진행 중이었고, 중화민국 정부중공에 밀리고 있었다. 한국 대사관도 남경에서 광주를 거쳐 대북으로 옮겨야 했다. 당시 한국 대사관의 이동거리는 1만 킬로미터에 이른다.

국부천대 이후에도 한국은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지속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1992년까지 주중대사관이나 주중대사라 하면 타이베이에 있는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과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를 말하는 것이었다.

당시는 군사정권 시절이라 주중대사는 예비역 대장들이 가는 자리라는 인식이 강했다. 백선엽김신[4] 등이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를 거쳤다. 중화민국이 주요국과 수교가 끊기면서 주중대사는 대만에서 거의 국빈 대접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1990년대냉전 종식의 물결 속에서 한중수교가 성사되면서, 중화민국과의 공식 외교 관계는 단절되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단교하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대만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듬해인 1993년 양국이 따로 협정을 맺어 주타이베이 대표부를 두게 되었다. 대만도 서울에 있는 주한국대만대표부와 총영사관 포지션인 주한국대만대표부 부산 사무처를 두고 있다.

3.1. 역대 대사 /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초대
신석우
제2대
이범석
제3대
김홍일
제4대
백선엽
<nopad> 박정희 정부
제5대
최용덕
제6대
김신
제7대
김계원
제8대
옥만호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9대
김종곤
제10대
김상태
제11대
한철수
제12대
박노영
}}}}}}}}} ||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시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
이승만 정부 특파대사 정환범 1948년 11월 27일 ~ 1949년 2월[5]
초대 신석우 1949년 8월 10일 ~ 1950년 4월 2일[6]
2대 이범석 1950년 12월 6일 ~ 1951년 9월 21일
3대 김홍일 1951년 10월 27일 ~ 1960년 6월 2일
장면 내각 4대 백선엽 1960년 7월 26일 ~ 1961년 7월 5일
박정희 정부 5대 최용덕 1961년 7월 5일 ~ 1962년 7월 14일
6대 김신 1962년 9월 8일 ~ 1970년 12월 26일
7대 김계원 1971년 2월 3일 ~ 1978년 12월 21일
8대 옥만호 1978년 12월 21일 ~ 1981년 5월 30일
전두환 정부 9대 김종곤 1981년 7월 25일 ~ 1985년 4월 11일
10대 김상태 1985년 4월 11일 ~ 1988년 7월 12일
노태우 정부 11대 한철수 1988년 7월 12일 ~ 1991년 7월 18일
12대 박노영 1991년 7월 18일 ~ 1992년 8월 22일[7]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
문민정부 초대 한철수 1993년 11월 ~ 1995년 12월[8]
2대 강민수 1996년 2월 ~ 1999년 2월
국민의 정부 3대 윤해중 1999년 2월 ~ 2002년 2월
4대 손훈 2002년 2월 ~ 2004년 2월
참여정부 5대 황용식 2004년 3월 ~ 2006년 2월
6대 오상식 2006년 2월 ~ 2008년 9월
이명박 정부 7대 구양근 2008년 9월 ~ 2011년 9월
8대 정상기 2011년 10월 ~ 2014년 4월
박근혜 정부 9대 조백상 2014년 4월 ~ 2016년 11월
10대 양창수 2016년 11월 ~ 2019년 4월
문재인 정부 11대 강영훈 2019년 4월 ~ 2021년 12월
12대 정병원 2021년 12월 ~ 2023년 2월
윤석열 정부 13대 이은호 2023년 2월 ~

4.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4.2. 철도

5. 기타



[1] 台北市信義區基隆路1段333號1506室.[2] 통상적으로 본국과 주재국의 국기가 동시에 게시되는 것과 달리 대만 대표부 홈페이지에는 태극기만 있고 대만 국기가 없다. 홍콩 특별행정구의 구기를 게시한 홍콩 총영사관팔레스타인의 국기를 게시한 팔레스타인 대표부 홈페이지와는 대조적이다.[3] 엄밀히 따지면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에 규정되지 않은 비직제 조직으로, 공식적인 외교 공관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외교 공관으로 인정되며 여타 공관처럼 외교부 소속 외교관들이 근무한다.#[4] 김구 선생의 장남이며 아버지장제스와의 관계가 매우 돈독했다보니 신임장을 수여받을 때도 장제스 - 장징궈 부자가 우리는 김신외부인이 아닌 동지로 여긴다고 했다.[5] 1949년 1월 4일 한국-중화민국 수교[6] 1949년 12월 7일 국부천대[7] 한중수교에 대한 대만의 단교[8] 11대 주중화민국 대사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