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1:04

청주·청원 통합

청주시 통합에서 넘어옴
파일:청주시 CI(2000-2015).svg 파일:청원군 구 CI.svg
舊 청주시 청원군
파일:청주시 CI_국영문.svg
新 청주시

1. 개요2. 두 지역의 입장3. 시도
3.1. 1차 시도(1994)3.2. 2차 시도(2005)3.3. 3차 시도(2008)3.4. 4차 시도(2014, 성립)
4. 통합의 영향 및 전망
4.1. 시청 / 구청 문제
5. 기타6. 통합 이후 변경 사항7. 관련 문서

1. 개요

청주•청원 통합의 역사
4차례 시도끝에 이루어진 충청북도 구 청주시청원군의 우여곡절 통합의 역사.

역사적으로 구 청주시청원군은 같은 청주군이었으나 1946년 청주군 청주읍이 청주부(1949년 청주시로 개칭)로 승격되어 분리되고[1] 청주군의 잔여 지역은 청원군으로 개칭되었다.[2] 이후 2014년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68년 만에 두 지역은 다시 합쳐졌다. 이는 2010년 경상남도 창원시의 통합 이후 2번째로 이루어진 기초자치단체 간 자율통합이다.

2. 두 지역의 입장

구 청주시의 입장에서, 청원군과의 통합은 청원군에 둘러싸였던 시역(市域)이 남동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 남서쪽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남쪽으로 대전광역시, 북쪽으로 충청북도 진천군, 북동쪽으로 충청북도 괴산군, 북서쪽으로 충청남도 천안시까지 확장되어 늘어가는 인구에 비해 항상 골칫거리였던 시 면적의 제한성을 일거에 해소하여 시세(市勢)를 확장할 수 있는, 한 마디로 청주시의 시대적 당면과제였다.

반면 청원군은 시종일관 통합에 반대하여 왔는데, 반대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밥그릇(공무원, 공직자)과 세금(주민)이었다. 관청이 통합되고 의회와 선거구가 통합되면 그에 따라 자릿수가 줄어드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해 보였다.[3] 한편 청원군 주민들은 도농통합으로 군세(郡稅) 및 시세(市稅)의 급상승, 그동안 받아오던 농어촌 주민에 대한 각종 특혜의 중단 등을 우려하고 있었다. 선거 입후보자들은 주민들의 이같은 우려를 등에 업고 저마다 통합 반대를 주창하고 나섰으며 주민들은 대체로 이에 동의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이리하여 청원군 내에서는 통합 반대 여론이 주류가 되어왔던 것이다. 이 밖에도 청주시의 도시문화가 농촌으로 유입되어서 농촌의 전통 문화를 해치게 될 거라는 의견, 도농의 격차와 이에 따른 차별 대우가 생길 거라는 의견도 반대여론의 한 축이었다.

3. 시도

3.1. 1차 시도(1994)

1994년 문민정부 당시 내무부에서 청주시와 청원군을 '도농통합 권유 대상지역'으로 선정함에 따라 주민 의견조사를 실시했으나 청원군민의 65.7%가 반대하여 통합이 무산되었다.[4]

3.2. 2차 시도(2005)

2005년, 청주와 청원 양 의회와 시군수가 합의하여 당시 행정자치부에 통합 주민투표 실시를 건의하였다. 행정자치부가 이를 받아들임으로써 양 도시의 두 번째 통합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이번에도 청원군민의 53.5%가 반대하여 또다시 무산되었다.

3.3. 3차 시도(2008)

2008년 후반기부터 양 시군의 통합 추진 움직임이 다시금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당시 청원군 쪽에서는 단독으로 청원시 승격을 추진하였는데, 이 때문에 여러모로 골때리는 상황이 연출될 지경이었다. 청원군이 시로 승격하게 되면, 통합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시 대 군이 아닌 시 대 시 통합형태가 되어버리므로 통합가능성이 더욱 줄어드는 상황에 처해진다. 한편 현재 청원군청이 청주시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데, 시로 승격할 경우 청원시청을 청주시 밖에 따로 건설해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도넛 모양인 청원시의 시청은 어느 한편으로 치우쳐 있는 곳에 지어지게 되고, 도넛 구멍 건너 반대쪽 지역은 접근성이 크게 떨어져 비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었다. 이미 이 당시부터 청원군 단일 승격이 아닌 (가칭) 오창시와 오송시로의 분리승격 떡밥이 도는 상태였다.

이런 가운데 2009년에 접어들어 당시 행정안전부가 행정구역 통합추진 방침을 발표하고 청주시와 청원군을 대상지역에 포함시켰으나, 시 승격을 추진했던 청원군과 군의회는 정부의 이러한 방침에 반발, '청원청주 통합반대 특별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통합반대 행보를 이어왔다. 거기에 결정타를 날린 것이 그해 11월에 행안부에서 실시한 행정구역 통합 여론조사였는데,[5] 청원군의회가 무응답을 뺀 결과를 다시 계산시킨 '신종 사사오입'을 벌인 것이라고 주장하며 분노가 폭발해 반대 여론이 더욱 확산되었다. 결국 청원군의회는 이듬해 2월 19일, 그 이틀 전 청주시의회가 통합 찬성을 의결했음에도 불구하고 만장일치로 통합 반대를 의결하여, 3차 통합시도는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3.4. 4차 시도(2014, 성립)

2010년 지방선거에서 양 시군의 통합을 공약으로 내건 한범덕이종윤이 각각 청주시장과 청원군수로 당선되었다. 그해 8월, 이시종 충청북도지사ㆍ한범덕 청주시장ㆍ이종윤 청원군수 세 사람의 통합추진 합의문 공동서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통합시도 4라운드에 돌입하게 된다.

물론 일각에선 반대여론도 극심했으나, 쳇바퀴처럼 반복되는 청주와 청원의 통합논쟁에 진절머리가 났는지 찬성의견이 점차 높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청원군에 거주하는 30~50대 층에서 자녀 교육 문제[6]와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등 통합시 승격에 따른 혜택으로 인해 찬성 의견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리고 통합 안 하고 청원이 혼자 시로 승격되면 청원에서 가장 인구 많은 오창읍이 분동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농어촌 특례가 사라지므로, 읍으로 남고 싶은 오창 지역 학부모들은 찬성으로 돌아섰다.

2012년 4월 13일, 도지사와 양 시장/군수는 '청원군은 주민투표, 청주시는 시의회 의결로 통합결정'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6월 21일 청주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합 찬성이 의결되었고,[7] 같은 달 27일, 4차 통합시도의 향방을 가를 청원군의 주민투표가 실시되었는데, 79.03%의 높은 찬성률을 얻어내어 20년 가까이 끌어온 이 지루한 통합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2013년 1월 1일 '충청북도 청주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2014년 7월 1일 통합시 출범이 확정되었으며, 통합시 명칭은 '청주시'로 확정되었다.

4. 통합의 영향 및 전망

외형상으로는 인구 100만 이상의 거대도시 부럽지 않은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의 인구는 약 83만 명이다. 이는 충청북도 전체 인구의 약 53%에 해당된다. 이는 비(非)수도권 대도시창원시(약 103만 명)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숫자이다.

통합 청주시의 일반구는 4개로 획정되었으며, 국회의원 선거구 4개[8], 도의원 선거구 11~13개이며, 시의원 정수는 35명[9]이다.

획정된 4개의 일반구 명칭은 청원구,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로 확정되었다.

2014년 일반구를 4개 이상 두고 있는 특례시는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수원시창원시 뿐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통합 인센티브로 인해 청주시는 비슷한 인구의 부천시(3개 구)[10]보다 한 개 더 많은 4개나 둘 수 있게 되었다.[11] 그리고 2014년 3월 안전행정부에서 4개의 일반구 설치를 승인하였다.

'청주-청원 통합'은 지방행정사에서도 의미있는 사건 중 하나인데, 주민투표가 동원됐었던 여러 행정구역 개편 중 실제로 성공해 지자체가 자율통합이 된 몇 없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4.1. 시청 / 구청 문제

통합청주시청은 최종적으로 기존 청주시청을 사용하고, 통합청주시의회는 기존 청주시의회를 사용하기로 했다. 기사 통합시청사 부지 후보로는, 기존 청주시청과 청주종합경기장(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대농지구(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광역매립장(청원군 강내면)이 거론되어있었다. 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존 청주시청을 그대로 사용하고 주변 지역을 매입하기로 확정했다.

통합 이후 2개 구에서 4개 구로 증설되는 구청에 있어서는 기존 상당구청과 흥덕구청을 재활용했다. 그러나 청원군 통합 후 기존 청주시 상당구와 흥덕구의 일부 지역이 청원구와 서원구로 분구되면서 기존 상당구청과 흥덕구청은 청원구, 서원구에 포함되었다. 이에 따라 구 상당구청은 청원구청, 구 흥덕구청은 서원구청으로 사용되고 기존 상당구와 흥덕구의 구청은 청주-청원 통합 계약서에 따라 구 청원군 지역에 구청을 신축할 예정이다. 통합 직후 상당구는 구 청원군청을 임시청사로 사용하고, 흥덕구는 임시청사를 신축하였다. 정식 구청 입지는 기존 청원군에서 지명하게 되어 있는데, 기사1기사2에 따르면 상당구청은 남일면 일대 2곳과, 흥덕구청은 강내면 또는 옥산면 지역이 후보에 올라 있었다. 상당구청 신청사는 남일면 효촌리, 흥덕구청 신청사는 강내면 사인리로 확정되었다. 기사 그리고 두 일반구 모두 정식 구청을 지어 입주했다.

5. 기타

청원군 내에는 도시와 도시인에 대한 혐오감 등을 가진 농촌의 보수성향 노인층과 농민층 등의 통합을 원하지 않는 여론도 있고, 지명이 바뀌어 실향(失鄕)을 하게 될 처지에다가 시군 세금이 급인상될 우려까지 있는 등 여전히 난제가 남아있다. 또 통합 후 도농의 격차와 차별대우 등을 우려하는 일설도 있는데 농촌의 경우 도시쪽에 대부분 예산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고 현재의 청원군 군정과는 달리 아예 외면당할 것이라는 걱정과 우려도 적지 않다. 게다가 도농민간 갈등과 괴리 등 지역감정까지 일어날 것이라는 일설도 있다. 다만 연령대가 내려갈 경우 '군민'에서 '시민'이 됨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 등에 대한 기대로 통합에 대한 기대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다만 학생층에서도 더 이상 농어촌출신 특별전형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될 것에 대한 우려를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러나, 농어촌 특별전형은 '시/군'이 아닌 '읍,면/동'을 기준으로 자격이 주어지므로 기존 청원군 지역이 읍/면으로 남는다면 혜택은 계속 받을 수 있다.

2012년에는 청주-청원시계외요금이 폐지되면서 청주-청원-증평을 오가는 학생들로서는 이미 통합을 한 것이나 다름 없다고 여겨졌다. 해당 시기에도 청주-청원-증평을 오가는 버스는 시외버스에 속했지만 이에 따른 요금 차이가 없어졌기 때문에 시외라는 느낌이 들지 않게 된 것이다. 하지만 택시 요금은 지금도 통합되어있지 않아 구 청원군 지역에서 부과되던 시계외할증은 복합할증이라는 이름으로 35%가 지금도 붙고 있다.[12]

한편 청원군 중 부용면은 통합이 논의되던 중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로 넘어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이 되었다.[13] 단, 부용면 외천리는 세종시에 편입되지 않고 대신 부용외천리로 이름을 바꾸어 남이면에 편입되었고 이후 청주시로 통합되었다.

이 개편에 맞추어 초중고 사회 및 한국지리 교과서, 지리부도가 수정에 들어갔다.

6. 통합 이후 변경 사항

7. 관련 문서


[1] 1995년 도농통합시 제도 실시 전까지는 어떤 군 예하의 읍이 도시화로 인해 인구 5만 명을 넘으면 해당 읍만 단독으로 시로 승격시키고, 잔여 지역은 그대로 군으로 남기는 시스템이었다. 이른바 '도농분리체제'로, 사실 일제강점기의 잔재이다. 부군면 통폐합 문서 참조.[2] 시군 분리시 시군의 이름을 다르게 하는 것이 관례였다. 군의 명칭을 '-원', '-천' 등으로 개칭하거나(제천시-제원군, 구 여수시-여천군 등), 시군 중 한 쪽이 역사적 명칭을 사용하거나(충주시-중원군, 군산시-옥구군) 시가 읍 이름을 사용하는(점촌시-문경군) 등의 양상이 있었다. 대전부-대덕군의 '대덕'처럼 '대전+회덕'을 한 글자씩 따서 지은 예도 있다. 이러한 시-군 명칭을 다르게 하는 시스템은 1963년 안동시-안동군에서 처음으로 깨졌다.[3] 이것은 통합을 반대하는 지자체 구성원들의 거의 공통된 속내이다. 그리고 이때 청원군 공무원 일부가 농촌지역 이장들과 함께 통합 반대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지방선거에서 청주시장, 청원군수 2명이 아닌 청주시장 1명만 뽑게 된다. 그리고 공무원의 개인당 업무 강도도 청주시가 훨씬 강하다.[4] 반면 청주시와 청원군이 분리될 때 같은 법령에 의해 동시에 분리된 춘천시춘천군은 이 시기에 일찍히 통합이 이루어졌다.[5] 청주(무응답 2.7%): 찬성 89.7%, 반대 10.3% 청원(무응답 6.6%): 찬성 50.2%, 반대 49.8%[6] 청원, 음성, 괴산 등 충북 내 다른 군에서는 교육을 위해 자녀들을 청주시로 통학, 혹은 유학 보내는 경우가 많이 존재했다.[7] 이에 앞서 4월 30일에 충청북도의회가 양 시군의 통합 찬성을 의결하였다.[8] 기존 '청주시 상당구'/'청주시 흥덕구 갑/을', '청원군' 선거구를 각각 '청주시 상당구', '청주시 서원구', '청주시 흥덕구', '청주시 청원구' 선거구로 변경했다.[9] 시의원 선거구는 12~14개 정도. 시의원은 2~3명씩 뽑는 중선거구제를 실시하기 때문이다.[10] 부천시는 2016년 책임읍면동제를 도입하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3개의 일반구가 없어졌다가 2024년 부활했다.[11] 2014년 수도권의 인구 80~100만 명의 도시들(성남시, 고양시, 용인시)도 각각 3개 구가 고작이다.[12] 과거에는 복합할증율이 55%였다가 2015년 7월 1일 지금의 35%로 조정 시행되었다. 택시가 대중교통이 아니다 보니 재정적인 지원이 있지 않은 복합할증을 폐지하기는 요원하다. 일례로 1995년 도농복합시 통합 당시에 일찌감치 통합한 충주시도 읍면 지역에서는 60%의 복합할증이 붙는다.#[13] 유명인 중 이러한 이유로 출신지의 시군이 바뀐 인물로는 에이핑크박초롱이 있다. 부용면 부강리 출신이다.[14] 기존 상당경찰서는 통합 이후에는 청원경찰서로 변경되었고, 기존 청남경찰서에서 상당경찰서로 바뀌었다.[15] * 표시는 주소 변경 제외 지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
, 4.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