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1 17:01:48

초대륙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지구대륙지역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fff><rowbgcolor=#6C71B5><nopad><rowkeepall> 지질학적 구분 ||<-2><nopad> 지리학적 구분 ||<nopad> 문화적 구분 ||
<colbgcolor=#5AC6D0> 아프로-유라시아 <colbgcolor=#4374d9> 아프리카 <colbgcolor=#003399><keepall> 북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nopad><keepall>유라시아 <nopad> 유럽 <keepall> 동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 중부유럽
<nopad> 아시아 <keepall> 동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북아시아 · 동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아메리카 <nopad> 북아메리카 <nopad><keepall> 북아메리카 앵글로아메리카
<nopad>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라틴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오세아니아
남극 동남극 · 서남극
{{{#!wiki style="margin: -15px -11px"<colbgcolor=#000><colcolor=#fff><keepall> 과거의 초대륙 <colbgcolor=#fff,#1c1d1f>
과거의 대륙괴 로렌시아 · 발티카
미래의 대륙 판게아 울티마 대륙 · 아마시아
전설의 대륙 무 대륙 · 아틀란티스 · 레무리아
<keepall> 침몰한 지역 <keepall> 질랜디아 · 대아드리아 · 모리티아 · 도거랜드 · 순다랜드 · 케르겔리아 · 브로큰리지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지구 초대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륙의 변천과 합병 및 분리 과정
발바라 -
우르 수페리아 그린스톤벨트
캐놀랜드
아티카 누나브이아
-
니나 아틀란티카
컬럼비아
그렌비우이아
로디니아
판노티아
팔레오곤드와나
판게아
곤드와나 로라시아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대아드리아) · 인도(모리티아) · 남극(케르겔리아 · 브로큰리지) · 호주(질랜디아) 북아메리카 · 유라시아(도거 뱅크 · 순다랜드) }}}}}}}}}

1. 개요2. 역사적인 초대륙
2.1. 발바라와 우르2.2. 신시생대2.3. 고원생대2.4. 중원생대2.5. 신원생대 이후
3. 판게아 이후의 초대륙4. 대중문화에서

1. 개요

역대 초대륙의 변천사 동일 유튜버의 360° 영상
超大陸 / Supercontinent

여러 대륙이 하나로 뭉친 대륙으로 보통 5억 년의 윌슨 주기[1]로 생성된다.

초대륙에는 크게 2가지의 정의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2개 이상의 대륙괴나 대륙이 붙어 있는 형태이다. 단 유라시아는 하나의 대륙이므로 엄밀히는 이 정의에 부합하지 않으며, 유라시아아프리카까지 더한 아프로-유라시아(아프라시아) 또는 북미남미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쯤 되면 현존하는 초대륙이라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판게아와 같이 모든 대륙이 붙어 밀집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초대륙이라고 하면 이쪽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유명한 초대륙으로는 판게아, 곤드와나, 로라시아 등이 존재한다. 이 문서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전자를 접촉 초대륙, 후자를 밀집 초대륙이라 임의로 명명토록 하겠다.

초대륙의 등장은 지구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접촉 초대륙이라도, 떨어져 있던 대륙들이 갑자기 붙으면 그 길을 따라 생물들이 이주하거나 해류와 기류의 흐름을 막아 환경 및 기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실례로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가 달라붙으면서 남미에 살던 많은 생물이 멸종하였고, 적도 해류의 순환을 막아 유럽은 더 따뜻해지고 북극에는 얼음이 쌓여 빙하기를 맞는 등의 대격변이 일어났다. 밀집 초대륙이면 상황이 더 극심한데,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곳은 사막이 되고 대륙붕이 줄어들어 육지와 해양 생물대멸종한다.

2. 역사적인 초대륙

과거의 초대륙은 아주 많지만, 판게아 이전의 초대륙에는 자료가 적은 편이다. 곤드와나까지는 모두 선캄브리아 시대에 등장했으며 판게아부터가 현생누대 이후에 등장한 대륙인 등 워낙 오래 전이라 지질학적 정보가 사라진 일이 많아서다. 밑으로 갈수록 최근 대륙이며 현재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초대륙은 로디니아, 판노티아, 판게아 뿐이다.

※ 밀집 초대륙이면서 해당 시대의 유일한 대륙이면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 아래 참조 이미지는 GPlate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2.1. 발바라와 우르

파일:IMG_0780.png 파일:IMG_UR.png
발바라 우르

2.2. 신시생대

파일:IMG_0794.png 파일:IMG_0792.png 파일:IMG_0775.png 파일:IMG_0800.png
수페리아 캐놀랜드 아티카 누나브이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아테네 일대를 일컫는 그리스 지명 Attica}}}에 대한 내용은 [[아티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티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티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아테네 일대를 일컫는 그리스 지명 Attica: }}}[[아티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티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티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2.3. 고원생대

파일:IMG_0796.png 파일:IMG_0778.png 파일:IMG_07981.png 파일:IMG_079023.png
아틀란티카 니나 컬럼비아 로렌시아

2.4. 중원생대

파일:IMG_080311.png 파일:IMG_0812.png
그렌비우이아 로디니아

2.5. 신원생대 이후

3. 판게아 이후의 초대륙

지금까지는 판게아가 최후의 밀집 초대륙이지만, 2억 년 이상이 지나면 다시 새로운 초대륙이 나올 수도 있다고 한다. 현재로서는 판게아 울티마, 판게아 프록시마아마시아 등의 이름이 거론되지만, 대륙이 미래에 어떻게 이동할지는 학자들 간에도 의견이 엇갈리기에 확정된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조.

4. 대중문화에서

인류 시대 이후의 미래 동물 이야기, 디스커버리 채널의 다큐 미래 동물 대탐험에도 나왔다.


[1] 국지적인 규모를 가진 지괴에 해양이 열리고 닫히는 데 걸리는 기간을 설명하는 주기.[2] craton. 지각 변동을 거의 받지 않은 지각을 의미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