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특징3. 역사4. 제품 목록
4.1. 리데코 라인(2003~2006)
5. 유니버스 이후 시리즈6. 외부 링크7. 기타4.1.1. 타이니 틴4.1.2. 디럭스 클래스
4.2. 리페키징과 흩어진 조각들4.3. 미발매 완구4.1.2.1. 웨이브 14.1.2.2. 웨이브 24.1.2.3. 웨이브 34.1.2.4. 웨이브 44.1.2.5. 웨이브 54.1.2.6. 웨이브 64.1.2.7. 웨이브 74.1.2.8. 웨이브 84.1.2.9. 웨이브 9
4.1.3. 울트라 클래스4.1.4. 한정판1. 개요
2003년 부터 2008년 까지 전개된 완구 시리즈 트랜스포머 유니버스를 정리하는 문서. 2008년에 전개된 동명의 완구 시리즈하고는 별개의 시리즈이다.2. 특징
2003년에 시작된 초창기 트랜스포머: 유니버스 완구 라인은 대부분 이전 시리즈의 장난감을 라툴 및 리데코한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아마다 시리즈의 성공과 그로 인한 트랜스포머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빠르게그리고 어떤 의미에선, 이 전략이 너무나도 잘 먹혀버렸다. 쏟아지는 제품과 넘쳐나는 매장 한정판들로 인해, 이 라인은 시작한 지 겨우 1년 조금 넘어서 사실상 종료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니버스는 다른 형태로 명맥을 이어갔다. 소규모 소매점에 기존 제품을 새 브랜드로 포장해 재출시하는 통로가 되었고, 원래 시점에서 밀린 제품들이 종종 출시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유니버스가 현재는 프리미엄이 씨게 붙어 구하기 힘든 몇 년 된 금형을 다시 활용해 소매 시장에 내놓는 전략을 해즈브로에게 확실히 자리잡게 해줬다는 점이다. 이후 이 정도로 대대적인 금형 재사용은 다시 없었지만, 이 방식은 계속해서 살아남았다. 특히 2008년에 시작된 두 번째 유니버스 라인에서는 신제품이 주를 이루었지만, 대형 제품군이나 매장 한정판에서는 이전 금형을 상당히 많이 활용했다.
3. 역사
3.1. 탄생과 첫 여정
유니버스 라인은 주로 아동을 타깃으로 한 에너존 시리즈와 동시에 출시되어 이를 보완하는 성격으로 기획됐다. 가격대는 10달러[1]짜리 '디럭스'와 20달러[2]짜리 '울트라' 이렇게 두 등급으로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이런 가격 제한을 보완하기 위해, 디럭스 급에는 일반 완구에 미니콘을 추가한 구성이 포함되었고, 울트라 급에는 베이직 클래스 완구를 곁들인 조합도 있었다.당시로서는 이례적일 정도로 많은 매장 한정 제품들과 멀티팩이 함께 출시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사용된 금형의 초기 출시가를 합친 것보다 더 저렴하게 판매되기도 했다. OTFCC 2003, 2004 한정판 역시 유니버스 브랜드로 발매되었다.
사용된 금형은 후반기 G1 시절부터 최신 시리즈까지 매우 폭넓었으며, 특히 비스트 머신즈와 아마다 계열 금형이 자주 쓰였다. 비스트 워즈 네오의 빅 콘보이[3]나 마이크로마스터의 식스컴바이너 같은 일본 한정 제품 금형도 이 라인을 통해 처음으로 북미 시장에 선보였다.
다만, 이 제품들의 색상은 G2 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파격적이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색상 설계는 트랜스포머 팀 외부 인력, 특히 스타워즈 쪽 직원들이 맡았고, 이들에게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도록 맡겼다고 한다. 초기 유니버스 제품에는 은색의 '에너존 서지[4]' 도장이 적용돼 전류가 흐르는 듯한 효과를 줬지만, 사라졌고, 대신 원색 계열의 화려한 색상만 남아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초기 제품은 관련 이야기와 미니 게임이 담긴 CD가 동봉되어 있었다.
이 라인은 공식적으로는 북미 전용이었지만, 일부 제품 특히 앞서 언급한 마이크로마스터는 에너존 또는 사이버트론 패키지로 유럽 일부 국가에도 출시되었다. 또한 배틀 인 어 박스 세트처럼 미국 내 제품 일부가 온라인 쇼핑몰과 전문 소매점을 통해 역수입 형태로 유럽 시장에 판매되기도 하였다.
3.2. 유니버스 라인의 쇠퇴와 잔존 형태의 지속
유니버스 라인은 사실상 2004년 말, 월마트가 울트라 클래스 상품군을 단종시키면서 대형 소매 유통망에서의 수명이 끝났다. 판매 부진이 주요 원인이었고, 그해 초에 월마트가 단독 출시했던 유니버스 한정 제품 여섯 종 역시 매대에 장기간 남아 있던 악성재고 였기 때문에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이후 디럭스 상품군도 해즈브로가 직접 단종시켰다.2005년에는 KB 토이[5]에서 단독 디럭스 제품 두 개가 사이버트론 스타일 패키지로 발매되었고, 2005년과 2006년에는 각각 마이크로마스터 한정 제품이 두 차례에 걸쳐 추가 출시하였다. 또 울트라 클래스 단종 이전에 생산되어 있던 울트라 2팩 세트 3종은 결국 2006년에 타겟 매장 한정으로 판매되었다.
이미 계획되어 있던 제품의 출시가 늦춰진 경우[6]를 제외하면, 유니버스 라인은 이후 약 4년 동안이나 명맥을 이어갔다. 다만, 이때부터는 새로운 색상 변경 없이 기존 시리즈[7]의 제품을 단순히 유니버스 브랜드로 리패키지한 형태로만 존재했다. 이러한 제품은 대부분 재고 정리 전문 할인점에서 판매되었다.
심지어 2008년에 쉐보레 온라인 스토어 전용으로 출시된 새로운 금형 제품조차도, 설명서에는 여전히 구식 유니버스 로고가 사용되고 있었다.
4. 제품 목록
4.1. 리데코 라인(2003~2006)
4.1.1. 타이니 틴
* 더트보스
* 다운시프트
* 미라지
4.1.2. 디럭스 클래스
4.1.2.1. 웨이브 1
* 랩틸리언
* 스날
4.1.2.2. 웨이브 2
* 다이노봇 스트라이카
4.1.2.3. 웨이브 3
* 인페르노
원작의 인페르노와는 다르게 오토봇 소속으로 진영이 변경되었는데, 이는 설정상 이 인페르노는 에너존이 아닌 미니콘을 두고 벌어진 비스트 워즈에서 전사한 뒤, 유니크론에게 스파크를 빼앗겨 유니버스 워에 참전하게 되고, 이과정에서 다른 우주의 레드 얼럿의 시체에 깃들어 부활하고, 이후 옵티머스 프라이멀에게 구출돼 충성을 맹세하게 되었기 때문.
* 오토봇 라쳇
4.1.2.4. 웨이브 4
* 트리세라돈
4.1.2.5. 웨이브 5
* 스카이다이브
4.1.2.6. 웨이브 6
파이어플라이트 | |
파이어봇 | 썬더윙 |
- 파이어플라이트 with 파이어봇 & 썬더윙
4.1.2.7. 웨이브 7
에어 레이드 | 윈드 시어 |
- 에어 레이드 & 윈드 시어
스워브 | 로드핸들러 |
- 스워브 with 로드핸들러
4.1.2.8. 웨이브 8
* 프로스트비트
* 롱 혼
4.1.2.9. 웨이브 9
* 블래스트차지
4.1.3. 울트라 클래스
4.1.3.1. 웨이브 1
4.1.3.2. 웨이브 1.5
탱코 | 옵시디언 |
- 탱코 & 옵시디언
4.1.3.3. 웨이브 2
4.1.3.4. 웨이브 2.5
* 킹 아틀라스
4.1.3.5. 웨이브 3
스톡케이드 | 마그나 스탬피 |
프라울 | 테러다이브 |
- 스톡케이드 & 마그나 스탬피 with 프라울 & 테러다이브
오토봇 월 | |
건배럴 | 메이크시프트 |
- 오토봇 월 with 건배럴 & 메이크시프트
4.1.3.6. 웨이브 3.5
사운드웨이브 | 스페이스 케이스 |
- 사운드웨이브 & 스페이스 케이스
4.1.4. 한정판
4.1.4.1. K마트
사이클 위도우 | 오일 슬릭 & 디스트로이 로봇 |
- 사이클 위도우 VS 오일 슬릭
4.1.4.2. 마켓 식스
스모크스크린 & 리프트 | |
랜섹 & 리퓻 |
- 스모크스트린 with 리프트 VS 랜섹 with 리퓻
박스 이미지 | |
울트라 매그너스 & 오버-런 | |
트레드샷 & 나이트비트 |
- 울트라 매그너스 with 오버-런 VS 트레드샷 with 나이트비트
4.1.4.3. Sam's Club
4.1.4.4. 타깃
오버바이트 | 리퍼그너스 |
- 오버바이트 with 리퍼그너스
롱 홀 & 하이타워 |
- 롱 홀 & 하이타워
본크러셔 & 스캐빈저 |
- 본크러셔 & 스캐빈저
* 데바스테이터
위에 롱 홀, 하이타워, 본크러셔, 스캐빈저을 모으면 데바스테이터를 만들 수 있다.
4.1.4.5. 토이저러스
램젯 | |
썬더클래시 | 건배럴 |
테러다이브 | 썬더윙 |
- 램젯 with 썬더클래시, 건배럴, 테러다이브, 썬더윙
4.1.4.6. 월마트
옵티머스 프라임 | 프라울 |
울트라 매그너스 | 아이언하이드 |
- 울트라 매그너스 with 스파이 체인저 아이언하이드
4.1.4.7. KB 토이
4.1.4.7.1. 마이크로 마스터 시리즈 I
width=100% | |
디펜서 | |
width=100% | width=100% |
핫 스팟 | 오토봇 그루브 |
width=100% | width=100% |
퍼스트 에이드 | 프라울 |
width=100% | width=100% |
레드 얼럿 | 스트리트와이즈 |
4.1.4.7.2. 마이크로 마스터 시리즈 II
width=100% | width=100% |
합체 모드(합체 후) | 전함 모드(합체 전) |
데바스테이터 | |
width=100% | width=100% |
버킷헤드 (1 of 6) | 퀵믹스 (2 of 6) |
width=100% | width=100% |
스캐빈저 (3 of 6) | 본트려서 (4 of 6) |
width=100% | width=100% |
롱 홀 (5 of 6) | 하이타워 (6 of 6) |
4.1.4.7.3. 마이크로 마스터 시리즈 III
width=100% | |
레일 레이서 | |
width=100% | width=100% |
레일스파아크 (1 of 6) | 오버로드 (2 of 6) |
width=100% | width=100% |
탱코 (3 of 6) | 미드나이트 익스프레스 (4 of 6) |
width=100% | width=100% |
스윈들 (5 of 6) | 래퍼트 런 (6 of 6) |
4.1.4.7.4. 마이크로 마스터 시리즈 IV
width=100% | |
슈페리온 | |
width=100% | width=100% |
파이어플라이트 (1 of 6) | 실버볼트 (2 of 6) |
width=100% | width=100% |
스카이다이브 (3 of 6) | 스톰 제트 (4 of 6) |
width=100% | width=100% |
에어 레이드 (5 of 6) | 로터 (6 of 6) |
4.1.4.7.5. 디럭스 클래스
* 다운시프트
4.1.4.8. 트랜스포머 컬렉터즈 클럽
4.1.4.8.1. OTFCC 2003
섀도우 스트라이커 | 룰렛 |
- 섀도 스트라이커 / 룰렛
4.1.4.8.2. OTFCC 2004
메가자락 | 캘리번 |
- 메가자락 with 캘리번
센티널 맥시머스 | 애이프링크 |
- 센티널 맥시머스 with 애이프링크
4.2. 리페키징과 흩어진 조각들
이 시점에서 유니버스 브랜드 제품은 사실상 대부분이 다른 시리즈에서 출시되었던 완구를 재판한 형태나 다름 없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일반 대형 매장이 아닌, 할인점 위주의 유통망을 통해 매우 불규칙하게 출시되었다. 그리고 이 라인에서 유일한 발매된 신제품은... 평범한 소비자라면 매장에서 실제로 마주칠 가능성이 거의 없을 정도로 한정적이였다.4.2.1. 스파이 체인저
4.2.1.1. 웨이브 1
4.2.1.2. 웨이브 2
4.2.2. 베이직 클래스
4.2.2.1. 웨이브 1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알시
- 둠-룩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인섹티콘
width=100% | |
퍼셉터 |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
- 퍼셉터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스트롱암
* 윈드레이저
4.2.2.2. 웨이브 2
* 크룰룩
width=100% | |
에너존 세이버 | |
width=100% | width=100% |
스캐터 | 스카이붐 |
width=100% | |
레커지 |
- 에너존 세이버
* 시그널 플레어
* 테러다이브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트레드샷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와일드로드
4.2.2.3. 웨이브 3
* 백스탑
* 브러쉬가드
* 러그너츠
* 스캐터샷
* 언더마인
4.2.3. 디럭스 클래스
* 바리케이드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샤크티콘
박스 이미지 | 실제품 이미지 |
- 스팀헤머
* 스톰 제트
4.2.4. 멀티-팩
- 더 얼티메이트 배틀
4.2.5. 한정판
4.2.5.1. 월마트
- 아퍼짓스 어택
- 서치 포어 더 파이럿 문
4.2.5.2. 쉐보레 스토어
4.3. 미발매 완구
5. 유니버스 이후 시리즈
5.1. 타임라인
5.2. 얼터니티
5.3. 레거시 에볼루션
6. 외부 링크
TF 위키7. 기타
[1] 한화 약 13,830원[2] 한화 약 27,660원[3] 국내판 명칭 맘모라이크[4] energon surge[5] 원래 이름은 Kay-Bee 토이이며 미국의 장난감 소매 체인이다. 1922년, 매사추세츠에서 Kaufman Brothers라는 이름으로 시작하다, 1946년의 장난감 사업 진출 하였다. 1973년부터 쇼핑몰 중심 소매점 운영하고, 1980~90년대에 1,300개 이상 매장을 운영하며 미국 2위 장난감 체인으로 성장하며 전성기를 맏이하였으나, 경쟁 심화와 온라인 쇼핑의 부상으로 2004년, 2008년 파산 신청을 하였고, 2009년 완전히 폐업하였다. 이후 토이저러스가 상표를 인수 하였다. 2018년엔 Strategic Marks가 부활을 시도한바 있다. 트랜스포머 등 특정 장난감의 독점 판매처로 팬들에게 인지도가 높았다.[6] 단, KB 디럭스는 예외[7] 에너존, 사이버트론, 클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