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6:32:53

파레이돌리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다 케이나의 곡}}}에 대한 내용은 [[パレイドリア]]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パレイドリア#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パレイドリア#|]]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다 케이나의 곡: }}}[[パレイドリア]]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パレイドリア#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パレイドリア#|]]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아포페니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파레이돌리아.png
콘센트 소켓에서 얼굴 패턴을 읽어내는 파레이돌리아의 예.

1. 개요2. 원리3. 예시
3.1. 군사계3.2. 천문학계3.3. 종교계3.4. 예술계
4. 항공업계
4.1. 기타
5. 여담

1. 개요

파레이돌리아(pareidolia) 또는 변상증(變像症)은 형태가 없거나 모호한 시각적 자극에서 명확하고 식별할 수 있는 패턴을 추출하려는 심리, 또는 그러한 심리에서 비롯된 일종의 착시 현상이다.[1] 이는 두 사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논리를 찾아내는 아포페니아(apophenia)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구름이나 연기 등 불규칙한 형상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동물, 과일, 손가락 등과 같은 익숙한 물체나 모습을 찾아내는 행위 등이 파레이돌리아에 속한다. 가장 흔한 사례가 얼굴을 찾아내는 것이기에 '얼굴 착시'라고도 불린다.

2. 원리

파레이돌리아는 자신이 알고 있는 패턴과 유사한 현상 등을 접했을 때 해당 패턴에 반응하는 뇌의 영역이 활성화되면서 일어난다. 가장 흔한 사례는 얼굴 패턴으로, 인간의 뇌는 안면인식과 관련한 패턴에 매우 민감하다. 만약 누군가 무늬에서 얼굴을 읽게 되면, 그 순간 안면인식에 관계하는 뇌의 방추상얼굴영역(FFA, Fusiform face area)이 활성화되며 마치 타인의 얼굴을 기억해 내듯 패턴이 도출된다. 이 영역은 얼굴 외에 신체의 다른 부위를 읽어낼 때에도 활성화된다.

인간의 뇌는 패턴 찾기 능력이 매우 발달해서, 점이나 선 3개만 있어도 사람의 얼굴로 인식할 정도이다.[2] 자동차의 전면부의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헤드라이트의 모습이 얼굴 표정처럼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며, 이모지가 발달하기 이전 기호 문자를 조합하여 표정과 비슷한 모습을 만들어 내는 이모티콘이 사용된 것도 학습에 따른 보편적인 패턴 해석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데포르메가 가미되어 현실의 사람 모습과는 매우 다른 얼굴을 갖고 있는 2차원의 그림을 보면서 해당 그림이 사람을 묘사한 것이라 인식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패턴 찾기 능력 덕분이라 할 수 있다. 파레이돌리아는 이러한 패턴 찾기 능력이 패턴이 아닌 것에까지 극단적으로 발휘되어 시각 정보를 왜곡함으로써 착시를 유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파레이돌리아는 원시 인류의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연에는 보호색 등 자신의 정체를 감추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으며, 파레이돌리아는 이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과 비슷한 패턴으로 숨어 있는 뱀을 보고도 알아차리지 못해 죽는 것 보다는, 뱀하고 비슷하게 생긴 나무 줄기를 보고 뱀이 있다고 착각하는게 더 낫다. 후자는 진짜 숨어있는 뱀을 못 보고도 뱀이 있다는 것으로 착각하여 도망칠 확률이 생겨 생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3. 예시

시각 정보가 아닌 내용은 몬더그린 등 타 문서에 기재.

3.1. 군사계

3.2. 천문학계

3.3. 종교계

3.4. 예술계

4. 항공업계

4.1. 기타

5. 여담


[1] Mario Beauregard, 2021. "pareidolia, a kind of optical illusion which consists of associating a formless and ambiguous visual stimulus with a clear and identifiable element", Expanding Reality: The Emergence of Postmaterialist Science. (ISBN 9781789047264)[2] -_-, •.• 등등.[3] 다만, 이 이야기가 나온 당시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에피소드 도용이 빈번하던 시기이기 때문에, 정말 MC몽이 직접 겪었는지는 불분명하나 흔히들 겪는 일이다. 요츠바랑에서도 아야세 후카가 비슷한 일을 겪는 에피소드가 나왔다.[진실] 의자 등받이에 걸어놓은 옷이 창문에 비쳤고, 그게 귀신의 얼굴처럼 보이게끔 사진이 찍혔던 것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