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2:24:35

파워 포워드

파워포워드에서 넘어옴
농구포지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가드 포인트 가드
(PG, 1번)
슈팅 가드
(SG, 2번)
포워드 스몰 포워드
(SF, 3번)
파워 포워드
(PF, 4번)
센터 센터
(C, 5번)
플레이 스타일에 따른 분류
듀얼 가드 스윙맨 빅맨
포인트 포워드 코너맨(빅 윙) 스트레치 빅맨
3&D 트위너 식스맨
}}}}}}}}} ||

파일:external/basketballersz.weebly.com/3312282_orig.gif

1. 개요2. 역할과 변화3. 유명한 선수들4. 창작물에서

1. 개요

Power Forward

농구의 포지션 중 하나로 스몰 포워드와 함께 포워드를 구성한다. 대체로 두 명의 포워드 중 큰 쪽을 가리키며, 전통적으로는 센터를 보기엔 키가 작지만 덩치가 큰 선수들 혹은 반대로 센터급 장신이지만 골밑과 중거리를 넘나드는 선수들이 담당하는 포지션이다.[1]

2. 역할과 변화

기본적으로 공격에서는 가드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스크린을 걸어주고, 상대 골밑에 빈틈이 발생하면 파고들어 상대의 림을 공략하여 레이업이나 덩크를 노린다. 수비에서는 골밑 바로 밑을 지키는 센터를 보좌하여 상대 가드들의 아이솔레이션 루트를 차단하고 중거리 점퍼에 대한 블록과 방해를 시도하고 미스 샷을 리바운드 한다. 즉 몸싸움과 빠른 움직임, 리바운드에 필수인 높은 점프력이 요구되어 큰 키이지만 센터보다는 슬림한 체형의 선수들이 많으며, 터프한 수비와 허슬이 요구되기 때문에 강골인 선수들이 많다. 반면에 공격시에 공을 잡는 건 거의 페인트존 부근이기 때문에 드리블 능력이 크게 요구되지 않으며 중거리 슛보다는 두 걸음 정도를 움직여 골을 직접 노리는 경우가 많다. 리바운드 쟁탈과 수비시 센터를 가장 먼저 지원할 지원군이며 이때문에 파워 포워드는 리바운드 능력이 필수이다. 그리고 상대 센터 혹은 포워드와 몸싸움을 거리낌없이 수행할 허슬플레이와 투쟁심도 매우 중요하다.

고전적인 농구에서 파워 포워드는 골밑 공격의 중심인 센터를 도와 리바운드와 수비에서 궂은 일을 맡아 하던 선수들이 주로 선택하는 포지션이었다. 골밑에서 중심을 잡는 센터가 흘린 루즈볼을 따내거나 센터가 페인트존에서 매치업하는 동안 그 주변을 순찰하며 상대 가드의 드리블 돌파나 볼 없는 선수의 컷인, 박스아웃 등을 체크하고 저지하는 역할을 말한다. 수비에서 역할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그만큼 수비력을 중시했고 부지런한 선수들을 선호했다. 그렇다고 강백호나, 강백호의 모델이 된 데니스 로드맨보다는 벅 윌리엄스찰스 오클리, 오티스 소프, 호레이스 그랜트가 더 정통파 파워 포워드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2][3]그러나 농구가 발전하면서 파워 포워드의 역할도 다양하게 분화되어 여러 변종 스타일이 생겨났다.

1980~1990년대에 파워 포워드가 센터를 도와 궂은 일을 도맡아하는 블루칼라형 선수들이 많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 중반까지는 아예 센터 포지션보다는 오히려 PF 포지션에 득점력이 높은 슈퍼스타급 선수들이 많아지기도 했다.

2010년대 중후반의 현대 농구에서는 스몰라인업, 빅라인업 등의 전술 때문에 포지션 분화가 애매하게 이루어져 있는 편이다. 알 호포드앤서니 데이비스,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등 4~5번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선수가 4번으로 뛰며 센터와 트윈타워를 이루는 투빅의 형태가 쓰이는가 하면, 제이슨 테이텀이나 파스칼 시아캄, 케빈 듀란트 등 스몰포워드 유형의 선수가 4번으로 뛰며 1핸들러-3윙-1빅 형태가 쓰이기도 한다. 극단적으로는 2.5번 올드스쿨 스윙맨인 더마 드로잔이 4번으로 투입되는 포가드와 같은 구성까지 나올 정도.

4번에게 슛거리를 요구하기 시작한 결과로 나온 것이 스트레치 포워드라고 한다면, 4번에게 기동성과 다재다능을 요구하면서 윙맨화가 이루어진 파포들을 '윙4'라는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사실 2000년대~2010년대 중반까지의 파워 포워드 전성기와 센터 가뭄, 2010년대 중반 이후 센터 전성기와 파워 포워드의 상대적 약세는 같은 맥락에서 생긴 트렌드이다. 빅맨/윙플레이어 사이 구분이 비교적 엄격히 이뤄졌던 90년대까지를 지나 크리스 웨버, 케빈 가넷, 라쉬드 월러스, 팀 던컨(정통 빅맨이지만 4/5번에 걸쳐 있다) 등 리그의 트렌드가 포지션 소화 범위가 넓고 다재다능한 빅맨들로 변하기 시작했다.[4]웨버, 가넷, 던컨, 2000년대에 슈퍼스타로 뜬 후발주자 디르크 노비츠키, 아마레 스타더마이어까지 당시 올NBA팀 포워드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은 거의 전부 멀티포지션을 소화하는 빅맨들이었다.[5] 그런데 당시까지 센터는 "골밑의 중심"이란 인식이 강했고, 로우포스트 위주 농구가 아직 남아있던 시기라 저 다재다능한 빅맨들이 전부 파워 포워드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센터 자리는 MVP투표 10위권 밖인 샤킬 오닐이 06년에 퍼스트팀에 무혈입성하는 반면, 포워드 자리는 케빈 가넷조차 밀려날 정도로 경쟁이 엄청나게 빡세졌다. 심지어 오닐의 노화, 드와이트 하워드의 부진 이후론 올스타에도 못 오른 디안드레 조던이 퍼스트팀 센터가 될 정도로 센터 포지션이 약화되었다.

반면 리그 내 트렌드가 완연히 퍼리미터 위주로 변한 2010년대 중반부터는 얘기가 달라졌다. 센터 포지션 자체가 "골밑의 기둥"에서 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빅맨으로 정의가 바뀌었기 때문에 포지션이 애매했던 칼 앤서니-타운스나 앤서니 데이비스 등이 센터로 뛰었고, 래리 버드를 연상케할 정도로 다재다능한 니콜라 요키치 등 (이전같으면 파워포워드로 뛰었을) 선수들이 대거 센터로 분류되면서 센터 포지션의 전성기가 열린 것이다.[6] 반면 파워 포워드 포지션은 다소 애매해져서 순수 4번보다는 센터나 스몰 포워드와 함께 겸임하는 포지션이 된 것. 결국 현재(10년대 중반 이후)나 그 이전(00년대~10년대 중반)이나 리그 내 다재다능한 빅맨들이 우글거린 것은 마찬가지지만, 리그 트렌드에 따라 이들이 다르게 분류되었던게 뎁쓰의 차이를 가져온 것이다.

3. 유명한 선수들

분류:파워 포워드 분류 참조.

유명한 파워 포워드로는 조던과의 라이벌리로 유명했던 찰스 바클리칼 말론, 셀틱스의 전설 케빈 맥헤일, 초장신 빅맨 랄프 샘슨, 리바운드의 제왕 데니스 로드맨, 짐승 덩커 숀 켐프 등이 있었다.

2000~2010년대 초반에는 역사상 최고의 파워 포워드로 평가받는 팀 던컨, 도저히 막을 수 없는 학다리 페이드어웨이를 구사했던 디르크 노비츠키, 다재다능한 공수겸장으로 유명했던 케빈 가넷이 3대 파워포워드로 꼽혔다. 그 밖에 파우 가솔, 크리스 보시, 크리스 웨버, 잭 랜돌프, 카를로스 부저 등이 유명했으며, 당시에는 센터보다는 기동력과 득점력을 갖춘 엘리트 파워 포워드들이 전성기를 보냈다.[7]

2010년대에도 블레이크 그리핀, 케빈 러브, 라마커스 알드리지, 서지 이바카, 드레이먼드 그린, 폴 밀샙 등 수준급 PF들이 꾸준히 활약했다. 10년대 중반부터는 현대 농구에 최적화된 스타일로 4~5번을 오가던 앤서니 데이비스가 한동안 최고의 빅맨으로 평가받다가 이후 두 차례의 MVP와 한 번의 DPoY, 2021년 FMVP를 석권한 통칭 그리스 괴인 야니스 아데토쿤보가 현역 No.1 파워포워드로 우뚝 섰다.

팀마다 투빅 라인업을 돌리는 비중이 이전보다 줄어들어 기존에 주로 4번으로 출전하던 선수들이 5번으로 뛰는 경우가 많아진 반면[8] 스몰포워드 스타들은 변함없이 강세를 보이고 있기에 All-NBA Team 포워드 자리 또한 3번 선수들이 많이 채우게 되었다. 덕분에 준척급~올스타급 자원들이 쏟아지고 있는 센터 포지션에 비해 스타 뎁스가 얕아진 것 아니냐는 평을 받기도 하나, AD와 아데토쿤보 이후로도 파스칼 시아캄, 줄리어스 랜들, 자이언 윌리엄슨, 자렌 잭슨 주니어, 파올로 반케로 등 PF 스타들 역시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한국 선수로는 남자농구의 사상 최초 아시아 선수권(1969년 / 현재 FIBA 아시아컵) 우승과 아시안게임(1970년) 금메달을 딸 때 주전이었던 이인표, 이 포지션으로 가장 유명한 선수는 김주성, 농구대잔치와 KBL 출범 이후 에어본 전희철과 KBL 대표적인 포인트 포워드 현주엽 등도 현역 당시에는 대표적인 파워 포워드로 꼽혔다. 2010년대에는 이승현강상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외국인 선수로는 프로농구 원년 클리프 리드 등 여러 선수들이 있겠지만 파워 포워드 에서는 누가 뭐라해도 조니 맥도웰이 단연 기억에 남는다. 당시 맥도웰을 귀화시켜 국가대표로 뛰게 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활약이 대단했다. 그리 큰 키는 아니었지만 바위처럼 단단한 몸과 타고난 힘으로 밀어붙이기만 한다는 비판도 받았지만 이상민, 재키 존스와 함께 현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4. 창작물에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실제로 대학에서 센터 포지션을 맡았던 선수들 중 상당수가 파워 포워드로 전향을 한다. NCAA는 기본적으로 선수들의 신장이 NBA보다 작기 때문에 2m 초반대 선수들이 무리없이 센터를 보지만 NBA에선 힘들기 때문. 99년 드래프트 전체 1순위였던 엘튼 브랜드나 카를로스 부저도 대학 시절 센터였으나 키가 작아 파워 포워드로 전향했다. 반대로 센터를 보기에 충분한 체격임에도 자신의 다재다능함을 살리기 위해 포워드를 고집하는 크리스 웨버케빈 가넷같은 선수들도 있었다. 다만 이런 경우 나이가 들고 기동력이 떨어짐에 따라 신체부담을 적게 하기 위해 센터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다.[2] 기본적으로 농구는 전원공격/전원수비의 스포츠이기 때문에 로드맨처럼 공격력이 극단적으로 떨어지는 선수는 수비부담이 확 줄어들기 때문에 다른 네 명에게 수비가 몰리고, 따라서 로드맨처럼 받아먹는 것 외엔 득점이 불가능한 선수가 스타급으로 되는 건 힘들다.[3] 여담으로 이런 정통파 파워 포워드중에는 센터들이 골밑에서 거친 몸싸움을 빙자한 더티 플레이로 부상 위협을 당하고 그 이후에 일어나는 싸움에서 생기는 상해를 입는 것을 막기 위한 보디가드역할을 하다 보니 싸움에 있어서 한가닥하는 선수들이 많았다. 대표적으로 불스와 닉스의 어깨 겸 리더였던 찰스 오클리, 피스톤즈의 또다른 파이터 릭 마혼, 하마터면 루디 톰자노비치의 목숨을 빼앗을뻔 했던 커미트 워싱턴이 있다.[4] 90년대를 지배한 센터들은 대부분 포지션 소화범위가 좁았다. 하킬 올라주원이나 데이빗 로빈슨은 현대 농구같으면 다재다능함을 뽐냈을 선수로 꼽히지만, 정작 커리어 내내 센터로만 뛰었으며 4대센터 중 풀타임 파워 포워드로 뛴 선수는 이들 중 가장 정통센터에 가까운 패트릭 유잉이었다. 유잉조차도 포지션만 4번이었을 뿐 빌 카트라이트와 함께 2센터 체제로 뛰었다. 그 외에 브래드 도허티도 순수센터, 디켐베 무톰보도 샤킬 오닐과 마찬가지로 장신에 너무 느려서 4번 소화가 불가능했고, 알론조 모닝은 키가 작고 기동력이 있었음에도 커리어 내내 센터를 소화해 말년에 오닐과 트윈타워를 세웠을 당시 파워 포워드로 제대로 못 뛰었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센터와 파워 포워드를 겸직한다는 개념 자체가 드물었다. 올라주원이나 로빈슨, 모닝 같은 경우 파워 포워드를 시켰을 경우 무난히 해냈을 스킬셋을 갖고 있지만, 애초에 감독들이 이런 걸 시키질 않았기 때문. 웨버나 가넷이 유독 센터를 하기 싫어했던 이유도 "센터가 해야 할 역할"이 뚜렸했고 이게 파워포워드와 달랐기 때문이다.[5] 이 시기에 올NBA팀에 오른 4번 중 순수 파워 포워드는 키가 작아 센터소화가 불가능하고 스몰 포워드 스킬이 없던 엘튼 브랜드 정도 밖에 없었다.[6] 실제로 전성기 당시 센터 포지션을 극구 거부했고, 도저히 대체 선수가 없던 약체 울브스 시절에나 센터로 뛰었던 가넷도 이 시기에 자연스럽게 센터로 뛰었다. 물론 나이가 들어 기동력이 떨어진 탓도 있지만, 말년의 가넷은 (00년대 중반까지 센터들이 그랬던 것처럼) 골밑 위주로 지키지 않고 3점 슛이나 하이포스트에서 컨트롤타워 역할도 하는 센터였다. 실제로 가넷이나 웨버의 전성기 플레이는 2010년대의 슈퍼스타 센터들 사이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저 둘이 현대에 센터로 뛰었다면 파워 포워드 시절보다 더욱 외곽비중이 늘었을지 모른다. 예를 들어 저 둘 모두 3점능력이 있었지만 당시엔 빅맨을 위해 3점을 세팅하는 플레이가 없었기에 성공률/갯수가 들쭉날쭉했는데, 현대농구에 뛰었다면 3점비중이 어느 정도 늘었을 가능성이 높다.[7] 과도기였다고도 할 수 있다. 1990년대까지 포지션 구분, 키에 따른 플레이 스타일이 다소 경직되어 있었다면, 케빈 가넷과 크리스 웨버 등 다재다능한 장신 선수들의 등장으로 이 경계가 조금씩 무너지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센터만큼은 골밑에서 뛰어야 한다는 편견이 리그를 사로잡고 있었기에 이런 다재다능한 선수들은 모두 파워포워드로 빠졌다. 사실 이 때문에 당시 센터뎁스가 매우 약해지기도 했다. 쓸만한 빅맨은 전부 파워포워드로 빠졌으니까. 아마레 스타더마이어처럼 골밑에만 짱박혀있지 않은 센터가 현재는 흔하지만, 당시 그는 "센터 위치에서 출장만 할 뿐 실제론 파워포워드"라는 식으로 인식되었다. 크리스 웨버같이 골밑 지배력을 겸비한 다재다능한 선수는 현재 같으면 센터로 분류되었을 가능성이 크고, 가넷은 동료 구성에 따라 센터나 스몰포워드로 구분되었을 것이다. 한 마디로 골밑에만 죽치고 앉아있기는 기동력이 아깝고 그렇다고 외곽 자원으로 몰아주기는 가드나 스몰 포워드들에 비해 불안한 포지션이 애매한 빅맨들은 일단 거의 파워포워드로 구분하던 시기라 그만큼 4번에 거의 비정상적으로 실력자들이 몰린 것이다.[8] 사실상 위에 나열된 파워포워드 중 대부분이 센터를 겸하고 있거나 아예 센터포지션으로 전직한 선수들이다.[9] 공식 포지션은 파워 포워드지만 능남과의 연습 경기와 해남과의 시합에서 채치수 대신 센터를 맡은 적이 있고 안한수 감독도 채치수의 백업 센터로 키울 생각을 했다.[임시] 연재 초 능남과 연습 경기 한정으로 체급이 작은 권준호가 스몰 포워드를 맡았기 때문에 파워 포워드로 경기에 나섰다.[11] 연재 당시에는 포워드로만 나왔으나 작가가 그린 1998년 슬램덩크 캘린더에는 파워 포워드로 분류됐다.[모바일게임] [모바일게임] [포워드-센터] [모바일게임] [모바일게임] [포워드-센터] [18] 센터부터 스몰 포워드까지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빅맨으로 작중에선 정통 센터인 채치수와 파워 포워드 강백호를 상대로도 우위를 점했다.[19] 등 번호가 4번이고 작중 등장한 몇 안 되는 장면에 강동준과 매치업 했을 뿐 포지션이 명확히 언급된 적은 없다.[TVA,모바일게임] [TVA,모바일게임] [22] 신장이 2m나 되기에 다른 팀 같았으면 센터를 맡고도 남았지만 같은 팀에 괴물을 포함해서 2m대가 둘이나 더 있기에...[23] 스피드와 트릭을 쓰는 기술이 무척 뛰어나서 스바루가 채택한 포지션이다.[PF/C] [PF/C] [PF/C] [PF/C] [SF/P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