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20:01:49

파이살 2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0000, #CE1126 20%, #CE1126 80%, #8B0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파이살 1세 가지 1세 파이살 2세
<rowcolor=#ffffff> 이라크 대통령
}}}}}}}}} ||
이라크 왕국 제3대 국왕
파이살 2세
الملك فيصل الثاني
파일:Faisal_II_of_Iraq,_1950s.jpg
<colbgcolor=#CE1126><colcolor=#fff,#fff> 이름 파이살 빈 가지 빈 파이살 빈 후세인 빈 알리
الملك فيصل الثاني
출생 1935년 5월 2일
이라크 왕국 바그다드
사망 1958년 7월 14일 (향년 23세)
아랍 연방 바그다드
재위 기간 이라크 국왕
1939년 4월 4일 ~ 1958년 7월 14일 (20년)
전임자 가지 1세
부모 아버지 : 가지 1세
어머니 : 헤자즈의 알리야
무덤 바그다드 왕실 묘지
종교 이슬람 수니파
가문 하심 가문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라크 왕국의 제3대 국왕.

2. 생애

파이살 1세의 손자로 1939년 부왕 가지 1세(Ghazi)를 이어 4살 나이에 즉위했다. 미성년자라 당숙 압둘 알-일라가 1953년까지 섭정했다.

파이살 2세는 친영, 친서방 노선을 추구했다. 하지만 1948년 영국-이라크 조약과 1955년 중앙조약기구 창설로 외교와 군사가 영국에 농단된다고 생각한 민족주의자들이 큰 불만을 가졌고, 게다가 1952년 이집트에 출범한 나세르 정권의 영향을 받은 장교단 또한 동요했다.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아랍 연합 공화국을 창설하자 이에 대응, 같은 하심 왕가인 요르단과 아랍 연방을 출범시킨다.

그런데 1958년 여름, 요르단의 후세인 1세[1]레바논 위기에 이라크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파이살 2세는 파병을 결정했는데, 파병되는 이라크군을 이끌던 육군 장교 압둘 카림 카심이 7월 14일 바그다드로 방향을 돌려 이른바 7·14혁명을 일으킨다. 이때 파이살 2세는 제대로 저항도 못하고 근위대에게 항복을 지시한 후 카심의 쿠데타군에게 왕족들과 함께 붙잡힌다.[2] 이 과정에서 외국에 나가 있어 화를 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혁명 당일 파이살 2세를 비롯한 이라크 왕실 구성원 전원이 왕궁 정원으로 끌려나와 폭행과 강간을 당하고 기관총으로 무차별 총살된다. 이때 그의 나이 23살이었다. 결혼하기도 전에 총살당해서 자녀도 없었다.[3] 총살형이 집행된 이후에도 파이살 2세는 숨이 붙어 있는 상태였으나 병원으로 이송되는 중 사망했다. 이때 왕세자비인 히얌 공주도 총을 맞았지만 무사히 도주하는데 성공했다.[4] 그 다음날 총리대신 누리 알 사이드도 카심 지지자들에게 붙잡해서 살해당했다.

그나마 이라크 군부는 파이살 2세의 시신을 매장하는 것은 허락했지만 섭정인 압둘 알-일라누리 알 사이드의 시신은 발가벗겨진 채로 바그다드 시민들에게 던져 조리돌림당하게 했고 심하게 훼손된다.
그러나 카심 정권 역시 5년만에 바트당 쿠데타로 무너지고 카심도 총살당한다. 그 이후로도 이라크엔 혼란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왕정 복고를 지지하는 세력들이 생겨나고 있다.

3. 둘러보기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colcolor=#fff>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1] 동갑으로 6촌 간이다.[2] 당시 이라크 근위대는 전통방식으로 경무장만 하고 있었던 상태라 요르단에 전투파병될 계획이었던 쿠데타군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이같은 상황을 잘 알고 있던 파이살 2세가 근위대에게 항복을 명령한 것으로 보인다.[3] 그래서 이라크 왕위 요구자는 작은할아버지 자이드 빈 후세인(1898~1970)으로 옮겨갔다가 그 아들이자 5촌당숙인 라드 빈 자이드(1936 ~ )로 옮겨갔다.[4] 그녀는 그녀의 부족 군인들에게 보호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애초에 반군 지휘부도 총리랑 왕세자만 죽이기로 했고 나머지 왕실 구성원은 어떻게 할지 결정하지 못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