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22:48:38

미하이 1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루스 차르국의 차르에 대한 내용은 미하일 1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993462>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장.svg
루마니아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3462, #993462 20%, #993462 80%, #99346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롤 1세 페르디난드 1세 미하이 1세 카롤 2세
<rowcolor=#fff> 제5대
미하이 1세
}}}
왈라키아 · 몰다비아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루마니아 총리
}}}}}} ||

미하이 1세 관련 틀
<col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rden-Pobeda-Marshal_Vasilevsky.jpg승리의 기사단
Кавалеры ордена «Побед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승훈장 수훈자
2회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게오르기 주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이오시프 스탈린
1회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세이 안토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이반 코네프
파일:소련 국기.svg
로디온 말리놉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키릴 메레츠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세묜 티모셴코
파일:소련 국기.svg
표도르 톨부힌
파일:소련 국기.svg
레오니트 고보로프
파일:미국 국기.svg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파일:영국 국기.svg
버나드 로 몽고메리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미하이 1세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요시프 브로즈 티토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슈테판 3세 카롤 1세 미하이 에미네스쿠 미하이 2세 리하르트 부름브란트
6위7위8위9위10위
이온 안토네스쿠 미르체아 엘리아데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콘스탄틴 브랑쿠시 나디아 코마네치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블라드 3세 조지 비칼리 헨리 코안더 게오르게 하지
16위17위18위19위20위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니콜라에 이오르가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 제오르제 에네스쿠 그레고리안 비볼라루
21위22위23위24위25위
미렐 러도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니콜라에 티툴레스쿠 페르디난드 1세 미하이 1세
26위27위28위29위30위
데케발루스 트라이안 버세스쿠 게오르그 뮤레산 이온 I. C. 브라티아누 러즈반 루체스쿠
31위32위33위34위35위
니콜라에 파울레스쿠 이울리우 마니우 이울리우 호수 에밀 시오랑 아브람 이안쿠
36위37위38위39위40위
부레비스타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페트레 투테아 코르넬리우 코포수 아우렐 블라이쿠
41위42위43위44위45위
이오시프 트리파 니키타 스터네스쿠 이온 크레안거 마델리나 마놀 코르넬리우 바딤 투도르
46위47위48위49위50위
트라이안 부이아 루치안 블라가 조지 에밀 퍼레이드 아나 아슬란 아드리안 무투
51위52위53위54위55위
플로린 피에르시크 미하일 코갈리차누 야노스 코뢰시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일리에 너스타세
56위57위58위59위60위
게오르그 잠피르 기카 페트레스쿠 엘리사베타 리제아 불라 암자 펠라
61위62위63위64위65위
마차시 1세 미르체아 1세 티투 마이오레스쿠 토마 카라지우 미하이 트라이스타리우
66위67위68위69위70위
안드레아 마린 에밀 라코비차 빅터 바베슈 니콜라에 발체스쿠 호리아로만 파타피에비치
71위72위73위74위75위
이온 일리에스쿠 마린 프레다 외젠 이오네스코 두미트루 스타닐로아 알렉산드루 토데아
76위77위78위79위80위
투도르 게오르게 이온 티리아크 일리에 클레오파 아르세니 보카 바넬 니콜리타
81위82위83위84위85위
두미트루 코르닐레스쿠 그리고레 모이실 클라우디우 니쿨레스 플로렌틴 페트레 마리우스 모가
86위87위88위89위90위
니콜라에 스타인하트 로라 스토이카 커털린 흘단 안겔 살리그니 이반 피차이진
91위92위93위94위95위
마리아 터나세 세르지우 니콜라에스쿠 옥타비안 팔러 무명용사 치프리안 포룸베스쿠
96위97위98위99위100위
니쿠 코바시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후녀디 야노시 콘스탄틴 노이카 바데아 카르탕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993462><colcolor=#ffffff> 루마니아 제3·5대 국왕
미하이 1세
Mihai I
파일:Michael I.jpg
출생 1921년 10월 25일
루마니아 왕국 시나이아 펠레슈 성
사망 2017년 12월 5일 (향년 96세)
스위스 보주 모르주구 오본
재위기간 루마니아 국왕
1927년 7월 20일 ~ 1930년 6월 8일
루마니아 국왕 (복위)
1940년 9월 6일 ~ 1947년 12월 30일
서명 파일:미하이 1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93462><colcolor=#fff> 가문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가문
아버지 카롤 2세
어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엘레니 공주
배우자 부르봉파르마의 안 공녀 (1948년 결혼 / 2016년 사망)
자녀 마르가레타, 엘레나, 이리나, 소피아, 마리아
종교 루마니아 정교회
신체 185cm }}}}}}}}}

1. 개요2. 생애
2.1. 즉위 이전2.2. 1차 재위와 아버지 카롤 2세의 재위2.3. 2차 재위와 친위 쿠데타2.4. 왕정폐지 이후
3. 가족
3.1. 조상
4. 기타5. 매체에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루마니아 왕국의 마지막 국왕이자 루마니아 역사의 마지막 군주. 2번이나 재위하였으며, 2차 재위 기간이 제2차 세계 대전 후반과 겹쳐서 루마니아의 굴곡진 20세기를 모두 경험한 인물이기도 하다.

2. 생애

2.1. 즉위 이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ing_Mihai_I_of_Romania_postcard.jpg
▲ 어린 시절의 사진. 1차 재위 기간 중으로 추정된다.

1921년 루마니아 왕국왕세자 카롤 2세그리스와 덴마크의 엘레니 공주(Regina Elena) 사이에서 태어났다. 집안이 좀 후덜덜한데 왕자라는 타이틀 이외에도 조상들의 핏줄을 따라 올라가 보면, 외가 쪽으로 어머니 엘레니는 덴마크 왕실의 혈통도 함께 물려받은 그리스 왕국의 공주였다. 친가 쪽으로 가면 친할머니인 루마니아의 마리 왕비는 무려 대영제국빅토리아 여왕손녀이자[1], 러시아 제국의 황제 알렉산드르 2세의 외손녀였다.[2] 따라서 미하이 1세는 영국 왕실과도 인연이 깊었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는 8촌이 된다.[3]

그리고 미하이 1세는 엘리자베스 2세의 부군인 필립 공과 동갑이나(생일은 필립 공이 4달 정도 빠름.), 촌수로는 필립 공의 5촌 조카이다. 필립 공과 어머니 엘레니 공주가 사촌 관계이기 때문. 조금 풀어서 설명하자면, 엘레니의 아버지(즉, 미하이 1세의 외할아버지)인 그리스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의 셋째 남동생이 필립 공의 아버지인 안드레아스 왕자이다. 빅토리아 여왕을 기준으로는 8촌이기도 하다. 또한 에스파냐소피아 왕대비,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왕 콘스탄티노스 2세와는 외사촌간이며,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왕 페타르 2세와는 고종사촌간이다.[4]

본래 그는 왕세손이었기 때문에 당시 국왕이었던 할아버지 페르디난드 1세 다음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인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왕세자였던 미하이의 아버지 카롤 2세는 자신의 부인 엘레니에 대한 애정이 별로 없었고, 1925년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장례식에 참석하던 중 내연 관계에 있던 유대인 여성인 마그다 루페스쿠와 함께 이탈리아로 도망가 버렸다. 아들의 망나니 같은 짓에 화가 난 페르디난드 1세는 카롤 2세의 왕위 계승권을 박탈하고 그 자리에 어린 손자 미하이를 올렸다.[5]

2.2. 1차 재위와 아버지 카롤 2세의 재위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13c592ff422f6563d8d926e0ed514ad5.jpg
▲ 1928년 1월에 찍은 사진. 쫓겨나기 2년 전의 해맑은 눈빛

1927년 7월 20일, 루마니아의 국왕 페르디난드 1세가 사망하고 미하이가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당시 미하이 1세의 나이는 겨우 6세였고 당연히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국왕이 비정상적으로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임시 방편이 고안되는데 3인 섭정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섭정을 담당할 3인으로는 니콜라에 왕자(페르디난드 1세의 차남, 미하이의 삼촌), 게오르게 부즈두간(대법원장), 미론 크리스테아(루마니아 정교회 주교)가 선정되었다. 미하이는 섭정에 동의하고 루마니아 헌법을 준수할 것을 서약한 후 정식으로 루마니아 국왕으로 등극하였다.

그런데 3년 후인 1930년에 아버지 카롤 2세가 루마니아로 돌아왔다. 이미 1928년 엘레니와 이혼한 상태였던 카롤 2세는 왕위를 욕심내고 당시 루마니아 총리와 비밀리에 모의하여[6] 왕위 계승을 약속받았다. 이 상황에서 아직 10살도 안 된 어린 왕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고 결국 졸지에 미하이는 왕세자로 격하되고[7] 1930년 6월 8일부터 카롤 2세가 루마니아 국왕이 되었다.[8] 그러나 카롤 2세는 왕 자리를 차지하고도 약속했던 아내와의 관계를 회복하는데 전혀 신경 쓰지 않고 다시 내연녀를 만나기 시작했다. 또한 실책도 상당해서 삼권분립 제도를 없애고 전제 군주정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형 제도를 부활시켜 민심을 잃어버렸다.
1939년 아버지 카롤 2세와 함께 폴란드를 방문한 당시의 미하이 1세[9]

설상가상으로 1939년 나치 독일소련 간에 독소 불가침조약이 체결되었고 동년 9월부터 폴란드 침공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말았다. 루마니아는 독소 불가침조약의 비밀 합의 조항에 의해 영토 일부[10]호구처럼 뜯기면서 카롤 2세는 전국적인 비난 여론과 퇴위 압력에 직면했고, 당시 총리였던 이온 안토네스쿠가 퇴위를 강권해 1940년에 결국 퇴위했다. 이후 왕세자인 미하이 1세가 다시 즉위해 2차 재위 기간을 열게 되었는데 당시 그는 18세였다. 2번 왕이 되었는데도 20살이 안 되었다니 안토네스쿠와 호리아 시마는 그가 재위하자 국민군단국가를 선포한다.

2.3. 2차 재위와 친위 쿠데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ignal_16-1941..jpg
이온 안토네스쿠(망원경 바로 앞의 인물)와 미하이 1세(안토네스쿠 바로 왼쪽)

하지만 이미 국가의 실권은 안토네스쿠에게 넘어가 버린 상황이었고 미하이 1세는 2차 재위 때가 되어서도 아무런 힘을 지니지 못했다. 때문에 2차로 즉위한 이후 이온 안토네스쿠에게 순종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온 안토네스쿠는 이미 나치 독일의 충실한 종이 되어 있었고 루마니아를 추축국에 가입시켰으며 1941년 6월 22일 펼쳐진 바르바로사 작전루마니아군을 남부집단군(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 휘하로 대거 파병했다. 하지만 천왕성 작전에서 무너져 독일군의 발목을 붙잡게 되는데...

그러나 1944년 추축국의 패전이 확실해지면서 미하이 1세는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11] 안토네스쿠를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 후 연합국에 가담하고 추축국에 선전포고를 했지만 루마니아가 패전국으로 분류되는 것과 소련군이 루마니아를 점령하는 것은 막을 수 없었고, 결국 13만 명에 이르는 루마니아군이 굴라크에 끌려가는 굴욕을 맛보게 되었다. 미하이 1세의 정치 인생은 여기서 끝났다.

그는 공산 정권이 루마니아를 지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법령의 최종 서명을 거부하는 등 노력했으나 모두 수포로 돌아갔다. 1947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루마니아의 왕정은 폐지되었고, 소련공산주의자들의 압력으로 인해 동년 12월 30일 퇴위했다. 이때 그의 나이는 26세였다. 서른도 안 되어 두 번 왕위에 올랐지만 재위 기간 내내 자신의 의지대로 해 본 것이 별로 없었다.

2.4. 왕정폐지 이후

파일:external/img1.liveinternet.ru/4520021_king_michael_of_romania_and_princess_anne_of_bourbon-parma.png
▲ 결혼식 당시의 모습.

미하이 1세는 퇴위 직전인 1947년 11월 엘리자베스 2세의 결혼식에 참석했을 때 안 드 부르봉파르마(Anne de Bourbon-Parma)라는 여성을 만났고, 1948년 6월 결혼했다.[12] 이후 이탈리아, 영국을 돌며 생활하다가 스위스에 정착했다.[13] 하지만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가 지배하던 루마니아 공산당 정부는 미하이 1세의 시민권박탈해 버렸기에 루마니아로 귀국하지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하지만 저 당시 루마니아 꼴을 보면 안 들어가는 게 나았을 것 같다.

이후에도 미하이 1세는 자신이 루마니아의 정통성을 지닌 왕임을 계속 주장했으나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었다.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이후에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라는 희대의 독재자가 등장하여 루마니아에 폭정을 일삼는다. 차우셰스쿠에게 시달린 루마니아 국민들은 왕가의 복귀를 원하게 되었고 미하이 1세의 국내 평가도 올라갔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ing_Michael_I_of_Romania_by_Emanuel_Stoica.jpg
2007년의 모습

공산정권이 붕괴되고, 차우셰스쿠가 사망한 1989년이 되어서야 미하이 1세를 비롯한 루마니아 왕가는 루마니아로 돌아갈 수 있었다. 부쿠레슈티에 도착할 당시 미하이 일가를 반기는 사람들의 수가 무려 10만 명이 넘었으며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온 일리에스쿠는 정권이 위협받을 수도 있다고 느껴 다시 입국을 금지했다(...). 이후 1997년 에밀 콘스탄티네스쿠가 대통령이 되면서 미하이 1세는 시민권을 회복하고 루마니아로 다시 돌아올 수 있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ichael_I_2014_Romanian_stamp_2.jpg
2014년 미하이 부부의 모습.

귀국 후 부쿠레슈티에 위치한 엘리사베타 궁전에 기거하다가 2016년백혈병 진단을 받았으며, 2017년 12월 5일 스위스 오본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

2017년 12월 16일, 부쿠레슈티에서 장례식이 거행되었는데, 영국찰스 3세 (당시 왕세자), 룩셈부르크앙리 대공, 스웨덴칼 16세 구스타프 국왕과 실비아 왕비 부부, 스페인소피아 왕대비후안 카를로스 1세 전 국왕 부부, 옛 그리스 왕국아네-마리에 전 왕비 (마지막 국왕인 콘스탄티노스 2세의 부인으로 본가인 덴마크 출신이기도 하다.) 등의 왕족들도 참석하였다. 그 외에는 소피아 왕대비와 콘스탄티노스 2세의 형제(자매)인 이리니 공주, 알바니아의 왕위 요구자 레카 2세,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왕위 요구자(논란 있음)인 마리야 여대공 등도 있었다.

3. 가족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ginaAnaARomaniei.jp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8251fac0dbae979f5c087a8659f7169c.jpg
마르가레타 왕세녀
조카 니콜라에 데 메드포드밀스[16]
파일:external/2.bp.blogspot.com/Princess+Helen+cutting+red+tape.jpg 파일:external/media.oregonlive.com/walkersjpg-fb9cbe9c2764a43f.jpg
장녀 마르가레타 왕세녀(1949~)[17]
현재 루마니아 왕위요구자. 루마니아 적십자사의 회장을 맡고 있다.
차녀 엘레나(1950~)
마르가레타 부부에게 자녀가 없는 관계로 언니 다음으로 왕위 계승권을 지녔다.[18]
3녀 이리나 (워커)(1953~)
2013년에 투계 도박 혐의로 구속되어 루마니아 왕가에서 제명되었다.[19][20][21]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45494908805efffd0c3f3636cd92468d.jpg 파일:external/www.romaniajournal.ro/principesa-maria-620x330.jpg
4녀 소피아(1957~)[22] 5녀 마리아(1964~)[23]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미하이 1세
(Mihai I)
<colbgcolor=#fff3e4,#331c00> 카롤 2세
(Carol II)
<colbgcolor=#ffffe4,#323300> 페르디난드 1세
(Ferdinand I)
호엔촐레른 공 레오폴트
(Leopold, Prince of Hohenzollern)
포르투갈의 안토니아 공주
(Infanta Antónia of Portugal)[27]
에든버러의 마리
(Princess Marie of Edinburgh)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
(Alfred, Duke of Edinburgh)[28]
러시아의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Grand Duchess Maria Alexandrovna of Russia)[29]
그리스와 덴마크의 엘레니 공주
(Princess Helen of Greece and Denmark)
콘스탄티노스 1세
(Constantine I)
요르요스 1세
(George I)
러시아의 여대공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Grand Duchess Olga Constantinovna of Russia)[30]
프로이센의 조피
(Princess Sophia of Prussia)
프리드리히 3세
(Frederick III)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Victoria, Princess Royal)[31]

4. 기타

5. 매체에서

파일:미하이 1세(Hearts of Iron IV).jpg
Hearts of Iron IV에서 국왕 미하이의 쿠데타 국가중점 노선을 따라가면 카롤 2세를 몰아내고 집권시킬 수 있다. 끊임없이 사치를 부리고 애인과 놀아나느라 사고를 쳐서 소비재 공장 20%와 정치력을 깎아먹는 카롤 2세가 워낙에 X맨이라서 카롤 2세는 빨리 제거해야 한다. No Step Back DLC 이후에는 폴란드-루마니아왕국을 탄생시킬 수도 있다.

위 게임 의 모드인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도 등장한다. 루마니아로 플레이해서 트란실바니아와 부코비나를 획득하고 나면 루마니아 왕국 국왕 카롤 2세와 대천사 미카엘 군단의 코드레아누가 생사를 건 권력투쟁을 벌인다, 여기서 카롤 2세가 암살당하면 즉위한다. 군부의 쿠데타가 일어나면 본인의 희망대로 민주정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재수없으면 대천사 미카엘 군단의 허수아비가 될수도 있다.

6. 둘러보기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change_pos.pn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pupet_state.pn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pupet_state.pn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change_pos.pn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change_pos.pn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pupet_state.pn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pupet_state.png | 에밀 하하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파일:pupet_state.pn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pupet_state.png | 필리프 페탱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파일:change_pos.pn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pupet_state.pn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pupet_state.pn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pupet_state.png파일:whattheydo.pn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pupet_state.pn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pupet_state.pn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change_pos.png | 그리스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 알바니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파일:pupet_state.png | 핀도스 공국 파일:ita_kingdom_symbol.png | 류블랴나 주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 덴마크 보호령 파일:pupet_state.png파일:whattheydo.pn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덴노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pupet_state_jap.pn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pupet_state_jap.pn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pupet_state_jap.pn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pupet_state_jap.pn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pupet_state_jap.pn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pupet_state_jap.pn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pupet_state_jap.pn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pupet_state_jap.pn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pupet_state_jap.pn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change_pos.png | 태국파일:change_pos.png
<colbgcolor=#000>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change_pos.pn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whattheydo.pn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pupet_state.pn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pupet_state_jap.pn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파일:ita_kingdom_symbol.pn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1] 여왕의 차남인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의 장녀[2] 에든버러 공작의 아내이자 마리 왕비의 어머니는 러시아 제국의 황제 알렉산드르 2세의 차녀인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이었다.[3] 참고로 미하이 1세를 영어로 부를 때는 Michael I of Romania(루마니아의 마이클 1세)라고 부른다. 외할머니인 프로이센의 조피빅토리아 여왕의 장녀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의 3녀이기 때문에, 미하이 1세는 외가와 친가 양쪽으로 모두 빅토리아 여왕의 혈통을 물려받았다.[4] 소피아 왕대비와 콘스탄티노스 2세의 아버지 파블로스가 미하이 1세의 외삼촌이고(어머니 엘레니의 바로 아래 남동생), 페타르 2세의 모후 마리야가 미하이 1세의 고모다.(부왕 카롤 2세의 둘째 여동생)[5] 참고로 카롤 2세는 엘레니 왕비와 만나기 전에 지지 람브리노(1898~1953)라는 여성과 사귀면서 카롤 람브리노(1920~2006)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카롤 람브리노의 장남인 파울필리페(1948년생)는 자신이 가문의 주인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2010년에 무려 62세(!!)라는 나이로 아들을 낳았다.(인공수정 혹은 대리모를 통한 출산이 정설이다. 참고로 파울필리페의 부인은 1949년생. 공식적인 입장은 현대 의학의 힘을 빌렸다는데...) 하지만 파울필리페는 사생아 혈통인 건 다 집어치우고 돈세탁, 직권남용 공모 등의 혐의로 2020년에 3년 4개월 형을 선고받고 도피 중인 루마니아 공인 범죄자(2022년 가을 프랑스에서 체포, 2023년 현재 송환 재판 진행중으로 일시 석방 상태)인지라 왕위 계승권을 가지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때는 미하이 1세가 딸만 다섯을 둔 지라 파울필리페의 주장에 힘이 실리는 듯 하였으나, 호엔촐레른 가문살리카법귀천상혼이 둘 다 적용되기 때문에 그도 계승 자격이 없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미하이 1세가 2011년에 아예 호엔촐레른 가문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살리카법을 폐지하며 왕실의 이름도 루마니아 왕가로 바꾸면서 말짱 꽝이 되어버렸다.[6] 당시 루마니아 정부에서는 왕위를 넘겨 받는 조건으로 내연녀와의 관계를 청산하고 엘레니 공주와 재결합할 것을 요구했다.[7] 이때 왕위 확정상속인에게 주어지는 ‘알바 이율리아 대공(大公)’ 작위를 받았다.[8] 고려 충숙왕충혜왕의 관계와 흡사하다. 아버지와 아들이 하는 짓이 반대지만.[9] 폴란드 전몰용사 무덤에 헌화를 하고 폴란드군의 사열을 받는 모습이 담겼다.[10] 소련에게는 바사라비아(베사라비아) 지방과 부코비나 북부 지방, 그리고 헤르차 지방을 빼앗겼고, 나치 독일은 루마니아를 압박해 트란실바니아 북동부 지역과 다뉴브 강 이남의 카드릴라테르 지역을 각각 헝가리(당시 헝가리 왕국)와 불가리아(당시 불가리아 왕국)에 양도하게 강요했다.[11] 이 쿠데타는 2차 대전의 종전을 약 6개월 정도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로 인해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미국 최고공로훈장을, 그리고 이오시프 스탈린으로부터 소비에트 전승훈장(Орден "Победа")을 수여받았다.[12] 결혼식 장소는 아테네였으며 루마니아 공산정부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당시 그리스 왕국의 국왕이자, 미하이 1세의 외삼촌(어머니 엘레니 왕대비의 남동생)인 파블로스가 주선하였다. 다만 미하이 1세의 종교는 정교회였고 안 왕비는 가톨릭이어서, 두 사람이 결혼하기까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한편 미하이 1세는 원래 영국의 왕위 계승 서열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때 가톨릭 교도와 결혼했다는 이유로 계승 서열에서 제외되었다. 다만 미하이 1세의 자녀들은 정교회 신자라서 계승권이 있다고 한다. 계승 순위는 110위권이라 별 의미는 없지만.[13] 벨기에레오폴드 3세가 임시 망명을 떠난 장소이기도 하다.[14] 보르본 왕조의 방계인 부르봉파르마 가문 출신으로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의 친손녀(7남 르네 공자의 딸)다. 손윗고모(아버지의 누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후 지타다. 이러한 가족 관계로 오토 폰 합스부르크불가리아 왕국보리스 3세와는 고종사촌, 룩셈부르크의 장 대공과는 친사촌이다. 어머니는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의 3남 발데마르 왕자의 딸 마르그레테이기 때문에 필립 마운트배튼, 그리스 국왕 파블로스, 그리스의 왕비 프레데리키,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9세,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5세와는 6촌 관계이며 남편 미하이 1세와는 7촌간이다.[15] 공가의 본래 영지의 언어인 이탈리아어로 표기할 때는 Anna Antonietta Francesca Carlotta Zita Margherita di Borbone-Parma가 된다. 루마니아어로 부를 때는 Regina Ana(레지나 아나)로 지칭한다.[16] 어머니는 미하이 1세의 차녀 엘레나[17] 배우자는 라두 두다. 라두 두다는 헬스 트레이너로, 권력을 탐해 1996년 11살 연상의 마르가레타와 결혼했다. 적지 않은 추문을 일으켰다.[18] 장남 니콜라에(1985년생), 장녀 엘라자베타 카리나(1989년생)를 두고 있는데 이 중 차기 계승권자였던 아들이 2015년에 사생아를 낳아버리면서 왕가에서 제명되어 계승자가 딸로 바뀌었다. 니콜라에는 이후 루마니아인과 결혼해 1남 1녀의 적자녀를 두고 있다.[19] 사진 왼쪽의 사람이 배우자이자 같이 구속된 웨슬리 워커.[20] 슬하 1남 1녀와 손자 1명, 손녀 2명이 있다.[21] 단, 2020년 가을에 이리나 본인의 타이틀만 복구되었다.[22] 1998년에 알라닌 비아닉스(Alain Biarneix, 1957년생)와 결혼하여 2002년 이혼. 1999년생인 딸이 하나 있다.[23] 1995년에 폴란드의 소설가 카지미에시 비에스와프 미스트코브스키(Kazimierz Wiesław Mystkowski)와 결혼했으나, 2003년에 이혼했다. 큰언니와 마찬가지로 자녀는 없다.[24] 특이하게도 공화국임에도 루마니아 국회와 합의를 했는데, 이는 루마니아에서 장기적으로 왕정 복고 계획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루마니아의 경제가 그닥 좋지 못해 경제가 좋아지기 전까지는 명목상의 왕가 겸 국가 원로로 대우해주는 상황이다.[25] 1989년생으로 2024년 기준 이미 35살이다.[26] 애초에 니콜라에의 제명도 사생아라면 치를 떠는 미하이 1세의 개인적인 감정에서 우러나온 만큼 미하이 1세가 죽고 난 지금은 이모인 마르가레타가 복권할 수도 있다. 마르가레타의 다른 여동생들과 조카딸들은 루마니아 왕가에 거의 관심이 없어도, 마르가레타 본인과 니콜라에는 왕실에 진심이기에 왕실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그럴 가능성이 높다.[27] 페르난두 2세마리아 2세의 차녀이다.[28] 빅토리아 여왕의 차남이다.[29] 알렉산드르 2세의 차녀이다.[30] 니콜라이 1세의 손녀이다.[31]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이다.[32] 본인에게는 9촌 아저씨뻘이며, 부인 안에게는 5촌 조카이다.[33] 미하이 1세보다 약 3개월 더 생존하며, 아슬아슬하게 기록을 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