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대학교의 역사 | ||||||||||||||||||||
1900년대~195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캠퍼스 | 1900년대 | 1910년대 | 1920년대 | 1930년대 | 1940년대 | 1950년대 | |||||||||||||
<colbgcolor=#f5f5f5,#191919> 충주 | ||||||||||||||||||||
증평 | 청주자혜의원 조산부 및 간호부양성소 | 도립청주병원 부속 간호부 양성소 | 도립청주병원 부속 고등간호학교 | 청주간호고등기술학교 | ||||||||||||||||
의왕 | 철도이원양성소 | 철도종사원교습소 | 경성철도학교 | 철도종사원양성소 |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 | 운수학교 | 교통학교 | 교통고등학교 |
1960년대~현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캠퍼스 | 1960년대 전수부: 1967~1974 | 1970년대 전문부: 1974~1977 | 1980년대 부속고: 1977~1986 | 1990년대 | 2000년대 | 현재 | |||||||||||
<colbgcolor=#f5f5f5,#191919> 충주 | 충주공업초급대학 | 충주공업고등전문학교 | 충주공업전문학교 | 충주공업전문대학 | 충주산업대학교 | 충주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
증평 | 청주간호학교 | 청주간호전문학교 | 청주간호전문대학 | 청주과학대학 | ||||||||||||||
의왕 | 철도고등학교 부설 전수부 부설 전문부 | 철도전문학교 부속 고등학교 | 철도전문대학 부속 고등학교 | 한국철도대학 |
}}}||
한국철도대학 韓國鐵道大學 KOREA NATIONAL RAILROAD COLLEGE | |
교훈 | 백인 지성 실력 百忍 至誠 實力 |
분류 | 국립대학 전문대학 |
개교 | 1905년 5월 28일 (철도이원양성소) |
폐지 | 2016년 2월 28일 (한국교통대 통합 경과조치 종료) |
후신 |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철도대학) |
주소 |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 (월암동) |
<nopad>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의왕시에 있었던 국립 전문대학.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철도대학의 전신이다. 약칭으로는 철전, 철도대가 있다. 철도전문대학 시절에는 철전, 한국철도대학 시절에는 철도대학이라는 약칭 표현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2. 역사
※ 이 항목의 내용은 2005년 한국철도대학이 발간한 『한국철도대학 100년사:1905-2005』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모표/교표 변천사 | |||||
철도이원양성소 | 철도종사원교습소 | 경성철도학교[1] | 철도종사원양성소[2] | 중앙철도종사원양성소[3] |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 |
1905~1910 | 1910~1919 | 1919~1925 | 1925~1941 | 1941~1943 | 1943~1946 |
- | - | ||||
운수학교[4] | 교통학교[5] | 교통고등학교[6] | 철도고등학교 | 철도전문학교 | 철도전문대학 |
1946~1949 | 1949~1951 | 1951~1964 | 1967~1986 | 1977~1979 | 1979~1999 |
한국철도대학 | - | - | - | - | |
1999~2012 | 2009~2012 | - | - | - | - |
- | - | - | - |
대한민국 철도청 산하 국가기관으로 200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철도를 교육하던 고등교육기관이었으며[7], 국고(철도사업특별회계) 부담으로 운영되어 국비생은 입학금, 수업료, 교재비 등 일부 학비가 면제[8]되었고, 졸업생은 전원 철도청 일반직 8급 또는 기능직 8급 공무원으로 특채되었다.[9]
한편으로 철도청을 제외한 기타 도시철도 인력수급을 위해 1996년 별도로 사비생제도를 신설하고 입학정원(480명)의 약 절반(220명)을 사비생으로 선발했다. 학비 지원과 특채 혜택은 없었지만 국립대였던만큼 학비는 매우 저렴하고, 철도관련 입직경로가 없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10],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11][12], 부산교통공단, 대구지하철공사 등의 도시철도 공기업이나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13] 등 기타 철도 관련 기업 입사는 거의 따놓은 당상이었다. 특히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취업난이 심해지자 2년제 철도대의 인기가 그야말로 수직 상승하였다.
철도의 공사화 및 철도 상하분리 정책에 의해 2005년 철도청이 해체되고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하면서 국비생 및 특채[14] 제도는 폐지되었고, 건설교통부 산하 국립대학으로 상위기관도 변경되었다. 변경 직후 건설교통부는 타 사립대학과 통합을 통한 철도대학 민영화 방안을 발표했으나 추진과정에서 무산되었다. 그러자 국토해양부는 타 국립대학과의 통폐합을 추진했고, 충주대학교와의 통합을 통해 한국교통대학교를 출범시키며 4년제로 승격되었다.
2.1. 1900년대 ~ 1960년대
철도고등학교 개교 이전에 대한 내용은 교통고등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반도 최초의 철도종사원 양성기관인 철도이원양성소[15]가 효시이다. 당시 군용철도로서의 경의선을 건설중이던 일본군의 임시군용철도감부가 향후 철도인력이 많이 필요해질 것을 대비하여 구 인천 전환국 자리에 1905년 3월 철도이원양성소를 설립했고 5월 28일에 개소했다. 일본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운수과와 기차과에 과 별로 40명씩을 선발했다.
그 후 통감부에 의해 한반도 내 철도운영권이 하나로 묶이면서 용산으로 이전됐고, 여러 차례 학제 개편 및 교명 변경을 거쳤는데, 그 경과사항은 다음과 같다.
- 1907년 - 을사늑약 이후 군용철도가 통감부 철도관리국에 이관되며 전신수기생양성소로 변경[16].
- 1910년 - 경술국치 이후 통감부 철도관리국이 조선총독부 철도국으로 개편되며 철도종사원교습소로 변경.
- 1919년 -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조선의 철도를 위탁운영하면서 경성철도학교로 변경.
- 1925년 - 다시 조선총독부가 직영하면서 철도종사원양성소로 변경.
- 1941년 - 지방 철도국이 소재한 부산과 함흥에 철도종사원양성소를 추가설치하면서 중앙철도종사원양성소로 변경.
- 1943년 - 조선총독부 직제개정으로 철도국이 교통국으로 개편되면서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로 변경.
- 1946년 - 미군정의 운수부가 주무기관이 되면서 운수학교로 변경.
- 1949년 -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으로 운수부가 교통부로 개편되면서 교통학교로 변경.
- 1951년 - 교통고등학교로 변경
그리고 1962년 2월 12일부로 각령 454호에 의거하여 교통고등학교가 서울특별시로 무상으로 이관되었고, 1년 뒤인 1963년 공립 용산공업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기존 교통고등학교 건물은 이후 철도전문대학 설립 전까지 철도청 별관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철도고등학교가 개교하기 전까지 국립철도학교의 철도교육이 중단되었었다.
2.2. 철도고등학교의 개교와 유명세
교통고등학교가 폐교되고 5년간 철도교육이 중단됨에 따라 철도분야 전문요원 보충의 길이 끊긴 상태에서, 제3대 철도청장으로 취임한 양택식 청장은 전문교육기관의 필요성을 대통령에게 보고하였다. 그 결과 1967년 2월 13일 입학시험을 실시하고 1967년 3월 30일 철도고등학교가 개교하게 되었다. 다만 개교 당시 구 교통고등학교 교사는 이미 철도청 청사로 쓰이고 있었기 때문에 임시로 용산공업고등학교에서 더부살이를 하다가 1년 뒤 철도청 청사 뒤편에 새 교사를 지어 이전했다.
1970년대 당시 철도고등학교의 특혜는 다음과 같았다.[18]
- 학비 전액 무료
- 철도청 입사 보장[19]
- 입사 후 일반 공채 출신자보다 빠른 승진
- 기관사, 차장 시험 응시 자격 요건 완화[20]
- 성적이 우수하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 진학. 이 때도 공무원으로서의 급여와 대학 학비가 전액 지급됨
- 용산역~문산역간 실습 전용 열차 운행
- 교직원은 전선 무임, 학생은 통학 구간 무임 혹은 귀성 열차 무임[21]
따라서 1970년대에 경쟁률도 엄청나게 높았고 입학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학업성적을 가져야 했다. 철도청 특채제도를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철도고등학교의 유명세는 세무관련 국가기관 특채제도를 운영했던 국립세무대학과 더불어 치솟아 오르게 되었다.
철도고등학교에는 한때 야구부도 있었다. 1971년 3월 창단되어 1976년 10월에 해체되었다.
2.2.1. 학과
- 업무과(1967~1986)
- 운전과(1967~1986)
- 기계과(1967~1986)
- 토목과(1967~1986)
- 전기과(1971~1986)
2.3. 전문대학 체제
철도고등학교는 개교 당시부터 고졸자들을 대상으로 단기교육을 실시하는 1년 과정의 전수부를 운영했다. 1969년 2월 모집공고를 보면, 군 미필자는 1950년 3월 1일생부터 1952년 2월 28일생(1969년 당시 만 17세~18세)으로 제한했으며, 군필자의 경우 1941년 3월 1일 이후 출생자(1969년 당시 만 28세 이하)로 제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69년 당시 모집학과를 보면 역무과(100명 모집), 기관사과(100명 모집), 전기과(30명 모집), 동력차과(50명 모집), 객화차과(50명 모집), 전기기관차과(30명 모집), 신호과(30명 모집), 통신과(20명 모집)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수부 역시 수업료가 무료였으며, 교재와 피복 등 학습에 필요한 물품도 지급되었고, 수료 후 철도청에 임용되는 것도 철도고등학교 재학생과 동일했다.그러다가 1975년에 1년 과정의 전수부를 2년 과정으로 변경하면서 전문부로 개편하였다.* 그러나 철도 현직자를 입학생으로 모집하는 일이 현장 인력 착출의 어려움이 있어 1976학년도 입학생부터는 일반인도 모집을 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학생들이 전문학교 학력을 인정해달라는 요구를 했다. 모든 교육과정이 전문학교에 준하여 편성됐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철도청은 1977년 전문부를 철도고등학교에서 분리하여 2년제 '철도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 철도전문학교의 개교와 함께 철도고등학교는 철도전문학교 부속철도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즉, 전수부 시절에는 철도고등학교 부설이었는데 서로의 입장이 뒤바뀐 것이다.
박정희 정부의 정책으로 전국의 모든 전문학교가 전문대학으로 일원화되면서 1979년 철도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2.4. 의왕으로 이전
철도청은 기존 용산캠퍼스의 부지가 너무 협소하다고 판단했고[22], 경기도 시흥군 의왕읍 월암리[23]에 부곡교육단지를 조성하여 철도전문대학과 교통공무원교육원[24]을 이전할 계획을 세웠다. 그리하여 1985년 9월 3일부터 용산을 떠나 의왕에서 교육을 이어가게 되었다.한편 철도고등학교는 1984년 3월 철도청의 철도사업운영개선방안의 일환으로 철도간호전문대학과 함께 폐교가 결정되었고, 철도대학 이전 이듬해인 1986년 2월에 제 17회 졸업생 배출을 끝으로 폐교되었다.*
용산캠퍼스 부지는 교통공무원교육원이 교육시설로 활용하다가 1988년 6월 통일교 측에 매각되었다. 구 교사에는 세계일보사가 들어섰고, 2000년대 초반 철거되어 현재 용산 시티파크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25]
1999년 전문대학의 교명 규제가 완화되면서 철도청의 '한국철도' 브랜드에 맞춰 한국철도대학으로 개칭하였다.
2.5. 철도청 특채제도 폐지
2005년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하면서 특채 제도가 없어졌고 학생도 전원 사비생으로 선발하였다. 그와 동시에 철도청이 해체되며 기존 철도청 소속기관이었던 철도대학은 철도경찰과 함께 건설교통부로 이관되었다.[26]2.6. 통폐합 논의
철도청 공사화 직후인 2006년, 건설교통부는 직속기관이 된 철도대학을 사립대학과 통합, 이전시키기 위해 인수할 대학을 모집했다. 그 결과 고려대학교 서창캠퍼스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고려대 서창캠에서는 철도대학을 가칭 '철도물류대학'으로 단과대학화 한 후 세종시에 설치할 신캠퍼스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철도대 측의 극심한 반대로 통합협상이 결렬되었다. 사립대학이 되면 교직원들이 공무원 신분을 잃는데다가, 고려대 측에서 교원 자격검증을 요구하면서 철도대 교수들의 반발이 극심했기 때문이다.사립대학과의 통합이 무산되자, 정부는 국립대학과의 통합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2008년 8월 국토해양부는 여러 국립대학에 철도대 인수의사를 타진하였고, 서울산업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부산대학교, 공주대학교, 충남대학교가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이들 대학은 한국철도대학과 입장을 교환하고 의견을 조율했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과학기술원이 인수의사를 철회하였다.[27]
2009년 5월, 충주대학교가 교통 특성화를 추진하면서 뒤늦게 철도대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충주대학교 측은 의왕캠퍼스 존치와 교명 변경까지 공약하면서 강력한 인수의지를 보였다.
2009년 11월, 국토해양부가 국립대학들을 대상으로 최종적인 통합제안을 모집했고, 충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공주대학교, 한경대학교가 통합제안서를 보내왔다. 2009년 12월, 구성원[28] 투표를 거쳐 충주대학교를 통합대학으로 선정했다. 새로운 교명은 한국교통대학교로 정해졌다.[29]
2.7. 충주대학교와 통합, 한국교통대학교 개교
2011년 충주대학교와 통합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통합안을 완성하여 2011년 9월 교육과학기술부 승인을 받아 '한국교통대학교'의 이름으로 2012학년도 수시입학전형을 실시하였다.
2012년 2월 국무회의에서 국립학교 설치령이 개정되어 통합 근거가 확보되었다.
2012년 3월 1일, 충주대학교와 통합이 완료되어 한국교통대학교가 개교했다. 통합 방식은 충주대가 한국철도대를 인수한 후 교명을 한국교통대로 바꾸는 방식인데, 이로 인해 폐지되는 구 한국철도대학에 대해서는 경과조치 기간이 설정되어 기존 한국철도대 학생들은 2016년 2월 28일까지 원래 소속된 한국철도대학의 과로 졸업이 가능했다.
2016년 2월 23일, 한국철도대학의 마지막 학위수여식이 거행되었다.[30] 그리고 같은 해 2월 28일, 한국철도대학 경과조치기간이 종료되면서 아직 졸업하지 않은 한국철도대 재학생과 휴학생은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의 후신 학과로 자동 편입되었다. 이로써 2012년 이후 4년간 교통대와 공존하던 한국철도대학은 완전히 폐지, 한국교통대학교로의 통합이 완료되었으며, 한국교통대학교의 이름으로 역사를 이어가게 되었다.
2.8. 연표
한국철도대학의 연혁 | |
1905 | 5월 인천에서 철도이원양성소(3개월제)로 개교. |
-운수과, 기차과 설치 | |
9월 제1기 졸업식. | |
1907 | 4월 전신수기생양성소(5개월제)로 개편. |
11월 용산으로 이전. | |
1910 | 11월 철도종사원교습소(8개월제)로 개편. |
1919 | 4월 경성철도학교(5년제)로 개편[31]. |
1925 | 4월 철도종사원양성소로 교명 변경. |
1941 | 4월 중앙철도종사원양성소로 교명 변경. |
1943 | 12월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로 교명 변경. (해방 전까지 1만 2,195명 졸업생 배출) |
1945 | 8월 광복으로 8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휴교. |
1946 | 5월 운수학교(6년제)[32]로 개편. |
1949 | 6월 교통학교로 교명 변경. |
1950 | 6월 한국 전쟁 발발로 6월 28일부터 1951년 5월 31일까지 휴교. |
1951 | 9월 부산에서 교통고등학교(3년제)로 개편. |
1952 | 6월 항공과(2년제) 신설. |
1953 | 2월 항공과, 국립항공학교로 분리. |
8월 부산 피난교 폐지, 교통고등학교 환도. | |
1962 | 1월 서울시교육위원회로 이관[33] |
1963 | 5월 용산공업고등학교로 개편. |
1964 | 2월 교통고등학교 폐교. |
1967 | 3월 철도고등학교(3년제) 개교.[34] |
전수부(1년제) 설치.[35] | |
1974 | 철도고등학교 전수부가 전문부(2년제)로 개편.[36] |
1977 | 3월 철도고등학교 전문부가 철도전문학교(2년제)로 개편.[37] |
철도고등학교는 철도전문학교 부속철도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1979 | 1월 철도전문대학(2년제)으로 개편.[38] |
철도전문학교 부속철도고등학교는 철도전문대학 부속철도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1985 | 8월 의왕의 현재 위치로 캠퍼스 이전. |
1986 | 2월 철도전문대학 부속철도고등학교 폐교.[39] |
1993 | 철도경영정보과 신설. |
1999 | 한국철도대학으로 교명 변경. |
2001 | 여성입학 할당제 폐지. |
2002 | 철도차량전기과 신설, 철도운전기전과, 철도차량기계과, 철도전기제어과, 철도시설토목과 3년제로 전환. |
2005 | 2005학년도 신입생부터 학비지원 및 철도청 특채 등 국비생 제도 폐지, 철도청 폐지로 인해 건설교통부로 이관.[40] |
2012 | 3월 한국철도대학(7개 학과, 정원 224명)이 충주대학교와 통합, 한국교통대학교 개교. 교육부로 이관.[41] |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 신설. -6개 학과, 정원 221명 -철도경영·물류학과, 철도운전시스템공학과,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철도시설공학과, 철도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정보공학과 설치 | |
2016 | 2월 한국철도대학 폐교 및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12학번 최초 졸업. |
3. 역대 학장
철도대학의 경우 과학기술처 출신 최영환 학장, 본교 교수 신분으로서 선출된 홍효식 총장을 제외하면 모두 철도청 출신이거나 고위직을 역임했던 이력이 있다.- 철도이원양성소 감독관
- 니시하라 시게타로(西原茂太郎) (1905.3.~1907.4.)[42]
- 전신수기생양성소장
- 무라까미 유기치(村上唯吉) (1907.4.~1910.11.)[43]
- 철도종사원교습소장
- 미모도 다케시게(三本武重) (1910.12.~1915.3.)[44]
- 경성철도학교장
- 구보 요조(久保要藏) (1919.4.~1923.3.)[45]
- 아카이 나오키치(赤井直吉) (1923.4.~1925.3.)
- 철도종사원양성소장
- 오카무라 겐스케(岡村鉉太郎) (1925.4.~1927.4.)
- 요코야마 코우(横山 康) (1927.4.~1936.7.)
- 하기와라 사부로(萩原三郎) (1936.7.~1939.5.)[46]
- 오오지마 토라키치(大島寅吉) (1939.5.~1941.9.)
- 중앙철도종사원양성소장,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장
- 이노시시다 나오미찌(猪田直道) (1941.10.~1945.8.)
- 공석 (1945.8.~1946.5.)
- 운수학교, 교통학교, 교통고등학교장
- 철도고등학교장
- 초대 배봉수(1967.8.~1978.8.)
- 제2대 장대운 (1978.8.~1982.12.)
- 제3대 장영학 (1982.12.~1985.2.)
- 제4대 신흥균 (1985.3.~1986.2.)
- 철도전문학교장
- 초대 배봉수 (1977.3.~1978.8.)
- 제2대 정봉휘 (1978.4.~1979.2.)
- 철도전문대학장
- 한국철도대학장→총장[52]
4. 교가
1절
늦을라 어서뫼자 철도학교로
동적이[58] 모래톱에 달이 지샌다
삼천리 새 혈관을 돌리는 바퀴
강산도 쉴 새 없이 우릴 따른다
2절
두루미 날개펄펄 봄하늘 넓다
슬기야 열리니와 얼이 높거라
물에나 공중에나 산에나 바다
편한건 겨레에게 수고 맡거라
3절
뜨거운 젊은 마음 화통을 달고
내닫는 한참기운 먼데 없고나
들을 제 별이거든 나가 해거라
단군이 물리신 땅 다시 빛내자
정인보 작사 하대응 작곡
운수학교 시절 만들어졌으며, 위당 정인보 선생이 가사를 썼다. 이 교가는 철도대학과 철도고등학교가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철도전문대학이 의왕으로 이전하면서 잠시 아래 교가로 변경되었지만, 1999년 교통고등학교 출신인 김시원 학장이 부임하면서 다시 부활시켰다.늦을라 어서뫼자 철도학교로
동적이[58] 모래톱에 달이 지샌다
삼천리 새 혈관을 돌리는 바퀴
강산도 쉴 새 없이 우릴 따른다
2절
두루미 날개펄펄 봄하늘 넓다
슬기야 열리니와 얼이 높거라
물에나 공중에나 산에나 바다
편한건 겨레에게 수고 맡거라
3절
뜨거운 젊은 마음 화통을 달고
내닫는 한참기운 먼데 없고나
들을 제 별이거든 나가 해거라
단군이 물리신 땅 다시 빛내자
정인보 작사 하대응 작곡
교가가 적힌 액자는 한국교통대학교 출범 이후에도 의왕캠퍼스 본관 1층 로비에 걸려있다가 2023년에 철거되었다.
철도대학 교가
1절
청계산 높은기상 고여서린 월암골에
큰 뜻품고 함께모인 기백찬 철도건아
인내와 지성으로 갈고다져 정예된다
조국위해 철도위해 영광 큰 영광 바치리
2절
오봉산 밝은정기 넘쳐고인 부곡벌에
열정으로 굳게뭉친 신념찬 철도건아
실력과 기량으로 쌓고다져 역군된다
조국위해 철도위해 헌신 큰 헌신 다하리
후렴
철도대학 철도대학 우리의 터전
미래와 세계 향해 새 역사로 나가자
최영환 작사 김청묵 작곡
1절
청계산 높은기상 고여서린 월암골에
큰 뜻품고 함께모인 기백찬 철도건아
인내와 지성으로 갈고다져 정예된다
조국위해 철도위해 영광 큰 영광 바치리
2절
오봉산 밝은정기 넘쳐고인 부곡벌에
열정으로 굳게뭉친 신념찬 철도건아
실력과 기량으로 쌓고다져 역군된다
조국위해 철도위해 헌신 큰 헌신 다하리
후렴
철도대학 철도대학 우리의 터전
미래와 세계 향해 새 역사로 나가자
최영환 작사 김청묵 작곡
철도전문대학이 의왕으로 이전한 직후 만들어진 교가이다. 가사를 당시 최영환 교수가 썼다.
5. 학과
한국교통대학교 개교 직전인 2011년 기준이다.- 철도운수경영과
- 철도경영정보과
- 철도운전기전과
- 철도시설토목과
- 철도차량기계과
- 철도차량전기과
- 철도전기제어과
6. 캠퍼스
자세한 내용은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문서 참고하십시오.7. 기타
- 한국철도대학이 사라진 현재에도 이를 계승한 교통대 철도대학과 의왕캠퍼스에 많은 흔적이 남아있다. 교통대 의왕캠퍼스의 연례행사인 철마체전, 철마축제는 한국철도대학에서 그대로 이어진 것이다.
- 경성철도학교는 당시 사립학교로 분류되었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산하기관이었기 때문이다.
- 한국철도대학은 전문대학 최초로 교명에 '한국' 사용을 허가받은 대학이다.
[1] 모표의 가운데 工자는 철로의 표시이고, 좌우의 사선(斜線)부분은 Mandetsu(만철) 첫 자의 M이다.[2] 가운데 工자는 철로의 단면이고, 工의 좌측은 Choseon(조선)의 첫 자 C자이고 工의 우측의 G는 Government의 첫 자이다. 펜을 세 방향에 균형있게 배열하여 면학(勉學)을 상징한 것이다. 굵은 원 테두리와 세 방향의 펜을 제거하면 1925~1935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로고이다.[3] C와 G 부분이 모두 工로 바뀐 형태다. 굵은 원 테두리와 세 방향의 펜을 제거하면 1935~1945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로고이다. C,G가 工로 바뀐 이유는 당시 각종 표기 등에서 외국어 표기를 폐지하자는 국수주의적 분위기가 조성되었기 때문이었다.[4] 철로의 단면은 철도를, X자의 닻은 배로 해운을, 가운데의 동그라미는 자동차 핸들로 공로(公路)를, 좌우의 날개는 비행기로 항공로(航空路)를 상징하며, 가운데의 '學'은 배운다는 뜻을 의미하는 것이다.[5] 가운데의 '學'을 태극으로 바꾸면 1947~1952년 교통부의 로고이다.[6] 윗 쪽의 '高'를 제거하면 1952년 7월 1일 이후 교통부의 로고이다.[7] 2000년 서울산업대학교가 철도기술대학원을 개원하였고, 4년제 학부 과정에서는 2004년 동양대학교가 최초로 철도 관련학과를 개설했다.[8] 단 학기 등록금과 기숙사비 등은 자비 부담. 2003학년도 기준 한학기 등록금은 72만 4천원, 기숙사비는 학기당 8만원이었다. 당시 사립대 등록금이 4백만원 수준이던 시절이었다.[9] 단, 졸업 후에는 4년 간 철도에서 의무 복무기간이 부여되었다.[10] 과거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한 기관.[11] 과거 서울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한 기관.[12] 현재는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 합병되었다.[13] 現 국가철도공단. 2004년 철도청 건설부문과 통합되어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출범했다.[14] 단 공사화 결정 직전 국비생으로 입학한 인원들은 공사화 이후에도 철도공사 5급 직원으로 특별채용되었다.[15] 이원(吏員)은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던 용어로, 공직에 있는 직원(관리, 공무원)을 뜻한다.[16] 수기생은 재직자 중 선발된 사람을 뜻한다.[17] 교통고 폐지 반대 연좌시위 신문기사로 보아 교통고의 폐지 결정은 1961년 상반기 정도로 추정된다.[18] 54년도에 입학한 동문의 증언을 봤을때, 이런 혜택은 철도고등학교 개교 전에도 있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19] 다만 학업 성적이 나쁘면 기능직 공무원으로 빠져버렸다고 한다. 지금은 기능직이 9급 공무원이지만, 당시 기능직은 '10급''으로 분류되어 매우 열악한 대우를 받았다. 임용 또한 서류만 넣으면 합격할 정도로 쉬웠으며, 문맹도 어렵지 않게 합격할 정도였다.[20] 격차가 줄어들어서 이정도다. 원래는 시험도 안 보고 바로 기관사, 차장, 부역장으로 임용했다.[21] 두 경우 모두 지정된 구간만 무임이기는 한데 철도청에서 암암리에 무임승차를 묵인해줬다.[22] 용산캠퍼스는 1920년 경성철도학교가 들어섰던 부지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1980년대 당시 철도전문대학과 철도전문대학 부속철도고등학교, 교통공무원교육원이 다닥다닥 붙어있었고, 용산구 한복판이었기에 확장도 어려웠다.[23] 지금의 의왕시 월암동[24] 현재의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25] 철거 이후 세계일보는 본사를 이곳저곳으로 옮기다가 2020년 용산역 인근으로 돌아왔다.[26] 그래도 일본국유철도가 JR그룹으로 민영화될 때 국철 직할의 중앙철도학원이 아예 폐지된 것을 보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27] KAIST는 철도대 교수들만 영입하여 철도 아카데미를 만들 생각이었기 때문에 철도대 측의 학부 존치 및 교직원 전원 고용 승계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려웠다.[28] 교원, 조교, 교직원[29] 당시 충주대는 교통분야 특성화를 추진하고 있었고, 전국구 대학으로의 인식 변화를 위해 한국교통대학교를 새 교명으로 제안했으며, 한국철도대에서도 전신인 교통고등학교가 연상된다는 이유로 교통대 교명에 호의적이었다. '교통대학'이라는 명칭은 상하이교통대학 등 중국의 명문대학들이 많이 쓰는 명칭이기 때문에 국제교류 측면에서도 후한 점수를 받았다. 다만 실제 상하이교통대학 교명에 있는 '교통'은 커뮤니케이션을 일컫는 단어로, 상하이교통대학은 상하이교통대학 의학원('학원'은 단과대학의 중국어식 표현.)도 있는 종합대학이다.[30] 한국교통대학교 첫 세대인 12학번의 첫 졸업식과 통합 실시되었다.[31] 5년제 정규 실업학교 인가를 받았지만, 본과는 3년제로 운영됨[32] '운륜학교'라는 잘못된 표기가 꽤 보이는데 輸를 輪으로 혼동해서 생긴 것.[33] 각령 203호, 각령 454호[34] 대통령령 제2937호[35] 교통부령 제244호[36] 대통령령 제7047호[37] 대통령령 제8457호[38] 대통령령 제9288호[39] 대통령령 제11375호[40] 대통령령 제18614호[41] 대통령령 제23646호[42] 일본 육군 공병소좌[43] 일본 육군 통역관, 철도이원양성소 간사[44] 조선총독부 철도국 참사[45] 남만주철도주식회사 경성철도관리국장 겸임[46] 조선총독부 철도국 서무과장 겸임[47] 운수부 행정실장 역임[48] 교통부 공전국장 겸임. 현재로 치면 한국철도공사 기술본부장이다.[49] 대전지방철도청장 역임[50] 대전지방철도청장, 교통공무원교육원(현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장 역임[51] 과학기술처 차관, KIST 과학기술정책연구소장 역임[52] 학교 명칭은 1999년에, 학장의 직함은 2009년에 개칭되었다.[53] 서울지방철도청장 역임[54] 철도경영연수원(현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장, 철도청 차장 역임[55] 한국철도대학 철도운수경영과 교수, 철도청 차장,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역임[56] 한국철도대학 철도전기제어과 교수 역임[57] 퇴임 이후 교수 시절의 비리로 유죄를 선고받기도 했다.[58] 한강의 양안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