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3:45:44

한강로동

한강로3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도로에 대한 내용은 한강대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용산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4ea2> 후암동 후암동
용산2가동 용산동2가 용산동4가
남영동 갈월동 남영동 동자동 용산동1가
청파동 서계동 청파동1가 청파동2가 청파동3가
효창동 효창동
용문동 도원동 용문동
이촌1, 2동 이촌동
이태원1, 2동
구청
이태원동
한남동 한남동
서빙고동 동빙고동 서빙고동 용산동6가 주성동
보광동 보광동
원효로1동 문배동 신계동 원효로1가 원효로2가
원효로2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한강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용산구행정동
한강로동
漢江路洞 | Hangangno-dong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3020107
관할 법정동
[ 펼치기 · 접기 ]
한강로1~2가, 용산동3가,
용산동5가, 한강로3가
하위 행정구역 40통 258반
면적 2.90㎢
인구 20,901명[1]
인구밀도 7,207.24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용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권영세 (5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호 (초선)
용산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철 (초선)

파일:zsdkl3gasdg.svg
백준석 (초선) }}}}}}}}}
행정복지센터 한강대로38길 28
한강로동 주민센터
1. 개요2. 역사3. 관할 법정동
3.1. 한강로1가3.2. 한강로2가3.3. 용산동3가3.4. 용산동5가3.5. 한강로3가
4. 주요 시설
4.1. 공공기관4.2. 문화재4.3. 기업4.4. 주거
4.4.1. 아파트/주상복합
4.5. 교통
5. 출신 인물
파일:한강로동 법정동 지도.png
법정동 경계
파일:한강로동 행정동 지도.png
행정동 경계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행정동으로, 용산구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법정동 한강로1가, 한강로2가, 한강로3가, 용산동3가, 용산동5가를 관할하고 있다. 동쪽은 용산동4가(행정동 용산2가동)와 용산동6가(행정동 서빙고동)에, 서쪽은 옛 만초천 물길을 따라 문배동, 신계동(이상 행정동 원효로1동), 원효로3가, 원효로4가(이상 행정동 원효로2동)에, 남쪽은 경원선이촌로를 경계로 이촌동에, 북쪽은 갈월동, 남영동, 용산동1가(이상 행정동 남영동)에 접한다.

좁은 의미로 용산이라 부르는 곳이 바로 이 지역으로, 용산구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용산역을 끼고 있는 동네이기 때문에 이 지역을 용산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는 신용산(新龍山)이라고도 부르는데, 본래 조선 시대까지는 원효로 일대가 용산방(龍山坊)에 속하였고, 한강로 일대는 둔지방(屯芝坊)에 속하는 다른 행정구역이었다. 그러다 구한말경부선이 개통되고, 이 일대에 일본군기지(現 용산 미군기지)가 들어서면서 용산역 앞으로 새로운 시가지가 형성됨에 따라 '새로 생긴 용산 시가지'라는 뜻에서 신용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이전까지 용산으로 불리던 지역은 신용산에 대비하여 구용산(舊龍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강로2가에 있는 신용산역은 여기서 따온 것이다. 근래에는 아예 구용산이 어딘지도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구용산과 신용산을 구분하는 명칭은 점차 사라지고 신용산을 그냥 용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2. 역사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삼국시대 ~ 후삼국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tablewidth=100%> 475 고구려 북한산군(北漢山郡)
553 신라 신주(新州)
557 북한산주(北漢山州)
568 남천주(南川州)
604 한산정(漢山停)
660 한산주(漢山州)
757 한주 한양군(漢州 漢陽郡)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고려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940 양주(楊州) 과주(果州) 용산처(龍山處)
983 양주목(楊州牧)
995 관내도(關內道) 양주목 관내도(關內道) 과주 용산처
1018 양광도(楊廣道) 양주목 양광도(楊廣道) 광주목(廣州牧) 과주 용산처
1067 남경(南京)
1069 경기(京畿) 남경
? 양광도 양주목
1104 남경
1285 양광도 광주목 과주 부원현(富原縣)
1308 한양부(漢陽府)
1390 경기좌도(京畿左道)
한양부 과주 부원현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조선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394 경기좌도(京畿左道)
한양부(漢陽府) 한양부 고봉현(高峯縣)
1395 양주부(楊州府) 고봉현(高峯縣)
1413 경기도(京畿道)
양주부 고양현(高楊縣)
1424 한성부(漢城府)
1461 남부(南部) 서부(西部)
1721 남부 둔지방(屯芝坊) 서부 용산방(龍山坊)
둔지미계
(屯芝味契)
이태원계
(梨泰院契)
와서계
(瓦署契)
사촌리계
(沙村里契)
1895. 5. 26. 남서(南署) 둔지방 서서(西署) 용산방
둔지미계 이태원계 와서계 사촌리계
둔지미동
(屯芝味洞)
이태원동
(梨泰院洞)
와서동
(瓦署洞)
사촌리
(沙村里)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일제강점기 ~ 미군정기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10. 10. 1. 경기도(京畿道)
경성부(京城府)
남서 둔지방
(南署 屯芝坊)
서서 용산방
(西署 龍山坊)
전생내계
(典牲內契)
갈어리계
(葛於里契)
이태원계
(梨泰院契)
둔지미계
(屯芝味契)
와서계
(瓦署契)
사촌리계
(沙村里契)
전생동
(典牲洞)
이태원동
(梨泰院洞)
둔지미동
(屯芝味洞)
와서동
(瓦署洞)
사촌리
(沙村里)
1911. 4. 1. 한지면(漢芝面) 용산면(龍山面)
이태원동·원흥동
(梨泰院洞·元興洞)
둔지미동 이태원동·원흥동
(梨泰院洞·元興洞)
사촌리
1914. 4. 1. 경기도
경성부 고양군(高陽郡) 한지면(漢芝面) 경성부 고양군(高陽郡) 한지면(漢芝面)
한강통
(漢江通)
둔지리
(屯芝里)
한강통
(漢江通)
신초리
(新草里)
1936. 4. 1. 한강통
(漢江通)
이촌정
(二村町)
1941. 10. 1. 연병정
(鍊兵町)
한강통
1943. 6. 10.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龍山區)
연병정 한강통1정목
(漢江通一丁目)
한강통2정목
(漢江通二丁目)
용산정3정목
(龍山町三丁目)
한강통3정목
(漢江通三丁目)
용산정5정목
(龍山町五丁目)
1946. 8. 11. 경기도 서울시(서울市) 용산구
1946. 9. 28. 서울특별자유시(서울特別自由市) 용산구
1946. 10. 1. 남영동
(南營洞)
한강로1가
(漢江路一街)
한강로2가
(漢江路二街)
용산동3가
(龍山洞三街)
한강로3가
(漢江路三街)
용산동5가
(龍山洞五街)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현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법정동은 파란색, 행정동은 분홍색
1946. 8. 11. 경기도 서울시 용산구
(京畿道 서울市 龍山區)
1946. 9. 28. 서울특별자유시(서울特別自由市) 용산구
1946. 10. 1. 문배동
(文培洞)
신계동
(新契洞)
한강로1가
(漢江路一街)
용산동3가
(龍山洞三街)
한강로2가
(漢江路二街)
용산동5가
(龍山洞五街)
이촌동
(二村洞)
한강로3가
(漢江路三街)
1947. 6. 문배동 신계동 한강로1가동 용산동
(龍山洞)
한강로2가북부동 한강로2가남부동 신용산동
1949. 6. 해방동
1949. 8. 15.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特別市 龍山區)
1955. 4. 18. 문계동 한강로1가동 해방동 한강로2가2동 한강로2가1동 한강로3가동
1970. 5. 5. 한강로1동 한강로2동 이촌1동 이촌2동 한강로3동
2008. 6. 30. 원효로1동
(元曉路1洞)
한강로동
(漢江路洞)
한강로동
(漢江路洞)
}}}}}}}}}
본래는 백제의 영토였고, 475년고구려 장수왕이 남진하여 한강 유역을 차지함에 따라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고, 북한산군(北漢山郡)이 신설되어 이에 속하였다. 553년에는 신라 진흥왕이 북진하여 한강 유역을 차지함에 따라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으며, 현 수도권 일대에 신주(新州)가 설치되어 이에 속하였다. 신주는 이후 북한산주(北漢山州), 남천주(南川州), 한산정(漢山停), 한산주(漢山州) 등으로 이름이 바뀌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이르러 한주(漢州)가 되었고, 한강 이북에는 한양군(漢陽郡)을 설치하였는데, 이 일대는 한양군에 속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년)에는 지금의 한강로동 대부분 지역이 양주(楊州)에 속하였고, 지금의 한강로3가 일부와 용산동5가가 과주 용산처(果州 龍山處)에 속하였다. 과주 용산처에 속한 지역은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이르러 광주목(廣州牧)에 속하게 되었다. 1067년(고려 문종 21년)에는 양주목이 남경(南京)으로 승격됨에 따라 기존에 양주목에 속했던 지역은 그대로 남경의 관할이 되었고, 경기(京畿)에 편입되었다. 남경은 몇 년 후 폐지되었고, 경기(京畿)도 다시 축소됨에 따라 양광도 양주목으로 환원되었다가 1104년(고려 숙종 9년)에 남경이 부활하였고, 1308년(충렬왕 34년)에 한양부(漢陽府)로 개칭되었다. 한편 과주 용산처에 소속된 지역은 1285년(충렬왕 11년)에 과주 부원현(富原縣)으로 승격되었다. 1390년(공양왕 2년)에는 경기를 다시 확장하면서 경기좌도(京畿左道)와 경기우도(京畿右道)가 설치되었는데, 문종 때보다 경기의 관할구역이 더 커져서 한양부와 광주목 과주에 속하였던 부원현이 모두 경기좌도에 속하였다.

1394년(조선 태조 3년)에는 부원현을 고봉현(高峯縣)으로 편입하였고, 1395년(조선 태조 4년)에는 한양천도를 단행하면서 한양부를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고, 기존의 한양부에서 성외 지역은 양주부로 분리되면서 양주부에 속하게 되었다. 1424년(조선 세종 6년)에는 한양도성 바깥의 지역을 성저십리(城底十里)로 편입하면서 모두 한성부에 속하게 되었고, 1461년(조선 세조 7년)에는 기존에 양주목 소속이었던 지역이 한성부 남부(南部)에, 고봉현 소속이었던 지역이 한성부 서부(西部)에 각각 소속되었다.

1721년(영조 21년)에는 남부에 둔지방(屯芝坊)이 신설되었고, 지금의 한강로1가, 한강로2가가 둔지방 산하의 이태원계(梨泰院契) 소속이 되었으며, 한강로3가 대부분 지역은 둔지방의 와서계(瓦署契)에 속하였는데, 와서(瓦署)는 현재의 용산철도고등학교 자리에 있던 관청으로서, 기와를 굽던 관청이었다. 당시 한강로3가 일대는 한강변에 진흙이 널려 있어, 이 일대에서 진흙을 퍼 와서 기와를 구웠다고 전해진다. 용산동3가는 둔지방의 둔지미계(屯芝味契)에 속하였으며, 한강로3가의 일부와 용산동5가 지역은 서부 산하에 신설된 용산방(龍山坊)에 속하여 사촌리계(沙村里契)에 속하였다. 1895년 5월 26일에는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행정구역 개편이 단행되면서 각 계 산하에 각각 이태원동(梨泰院洞), 둔지미동(屯芝味洞), 와서동(瓦西洞), 사촌리(沙村里)가 신설되었으며, 이태원동에는 지금의 한강로1가, 한강로2가가, 둔지미동에는 용산동3가가, 와서동에는 한강로3가의 대부분 지역이, 사촌리에는 한강로3가 일부와 용산동5가가 속하였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이곳은 주요 교통로에서 벗어나 있었고, 드넓은 모래밭만 펼쳐져 있는 지역이었다. 당시에는 숭례문에서 나와 한강을 건너려면 지금의 원효로를 지나서 원효대교 자리에 있던 용산진(龍山津)으로 가거나, 지금의 용산기지를 통과하여 동작대교 자리에 있던 동작진(銅雀津)을 이용했었고, 그 사이에 있던 한강로 일대는 빈 땅으로 남아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1900년경부선이 개통되면서 용산진으로 도강하던 사람들이 기차를 타고 용산역을 거쳐 한강철교를 건너게 되었고, 기존의 용산진은 쇠퇴하고 용산역 앞에 새로운 시가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 즈음부터 원효로 일대를 구용산(舊龍山), 한강로 일대를 신용산(新龍山)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군1906년에 둔지미동 일대에 기지를 세웠고, 이 즈음에 지금의 한강대로가 처음 개통되었으며, 일본인들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경술국치 직후인 1910년 10월 1일에는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에 따라 한성부가 경성부(京城府)로 개칭되며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고, 그 이듬해인 1911년 4월 1일에는 방(坊)과 계(契)가 폐지되고 둔지방과 한강방(漢江坊)[2]이 한지면(漢芝面)으로 통합되었으며, 용산방은 그대로 용산면(龍山面)이 되었다. 한강로1가, 한강로2가 지역은 이태원동과 신설된 원흥동(元興洞)에 속하였고, 그 이외의 지역은 그대로 둔지미동, 와서동, 사촌리에 속하였다. 1914년 4월 1일에는 지금의 한강로1가, 한강로2가, 한강로3가와 남영동 지역을 신설된 한강통(漢江通)에 속하게 하였는데, 이때 한강통은 지금의 숙대입구역에서 한강대교 북단까지의 방대한 구역이었다. 나머지 지역은 고양군에 이관하였는데, 용산동5가는 기존의 한지면 사촌리 일부와 신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된 신초리(新草里)에 속하였고, 용산동3가는 그대로 고양군 한지면 둔지리가 되었다.

1936년 4월 1일에는 고양군에 이관되었던 기존의 한성부 성저십리 대부분 지역을 다시 경성부로 편입함에 따라 모두 경성부에 속하였고, 용산동3가는 한강통에, 용산동5가는 이촌정(二村町)에 속하였다. 1941년 10월 1일에는 한강통의 일부가 연병정(鍊兵町)으로 분리되었고, 연병정은 1946년 10월 1일남영동으로 개칭되었다. 1943년 6월 10일에는 구제(區制)를 실시함에 따라 모두 신설된 용산구(龍山區)에 속하였으며, 한강통은 인구가 증가하고 관할구역이 방대하다 하여 한강통1정목(漢江通一丁目), 한강통2정목(漢江通二丁目), 한강통3정목(漢江通三丁目)으로 분할되었고, 지금의 용산동3가 지역은 한강통에서 분리되어 용산정3정목(龍山町三丁目)이 되었으며, 용산동5가 지역은 이촌정에서 분리되어 용산정5정목(龍山町五丁目)이 되었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8월 11일에는 경기도 경성부가 경기도 서울시로, 9월 28일에는 경기도에서 독립하여 서울특별자유시(서울特別自由市)로 개편되었다. 10월 1일에는 일제식 지명을 청산한다며 정(町)을 동(洞)으로, 정목(丁目)을 가(街)로 바꾸게 됨에 따라, 한강로1가(漢江路一街), 한강로2가(漢江路二街), 한강로3가(漢江路三街), 용산동3가(龍山洞三街), 용산동5가(龍山洞五街)로 모두 개칭되었다. 이듬해인 1947년 6월에는 지금의 행정동 제도의 전신인 동회제도(洞會制度)가 시행되면서 이 일대는 한강로1가동회, 한강로2가남부동회, 한강로2가북부동회, 용산동회, 신용산동회가 설치되었는데, 한강로1가동회는 한강로1가를, 한강로2가남부동은 한강로2가 대부분 지역과 용산동5가, 이촌동을 관할하였고, 한강로2가북부동회는 한강로2가의 일부 지역과 용산동3가 일부 지역을, 용산동회는 용산동3가의 대부분 지역을 관할하였으며, 신용산동회는 한강로3가를 관할하였다. 1949년 6월 이전에 용산동회는 해방동회(解放洞會)로 개칭되었는데, 45년 해방 이후에 귀국한 동포들과 이북에서 온 월남민, 이촌향도로 서울로 유입된 지방민들이 많이 거주하던 해방촌에서 유래한 것이다.

1955년 4월 18일에는 동회제도가 폐지되고 행정동 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한강로1가동회는 한강로1가동으로, 한강로2가남부동회는 한강로2가1동으로, 한강로2가북부동회는 한강로2가2동으로, 해방동회는 해방동으로, 신용산동회는 한강로3가동으로 개편되었다. 1970년 5월 5일에는 한강로1가동이 한강로1동으로 개칭되었으며, 법정동 문배동신계동을 관할하던 문계동이 한강로1동으로 통폐합되어 한강로1가, 문배동, 신계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한강로2가1동과 한강로2가2동은 한강로2동으로 개편되면서 기존에 한강로2가2동이 관할하던 법정동 이촌동이 행정동 이촌1동과 이촌2동으로 분리되었고, 해방동이 한강로2동으로 통폐합되어 한강로2동은 한강로2가와 용산동3가, 용산동5가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한강로3가동은 그대로 한강로3동으로 개편되었다.

그 후로는 쭉 현상유지를 하다가, 도심 공동화가 진행되며 이 지역의 인구가 많이 줄게 되자, 2008년 6월 30일에는 한강로1동, 한강로2동, 한강로3동을 한강로동으로 통폐합하였다. 동시에 한강로1동에서 관할하던 법정동 문배동과 신계동은 원효로1동의 관할구역으로 편입되었다.

3. 관할 법정동

3.1. 한강로1가

용산구법정동
한강로1가
漢江路一街 | Hangangno 1(il)-ga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1117012400
관할 행정동 한강로동
면적 0.24㎢

서울특별시 용산구법정동으로, 행정동 한강로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한강로동의 관할구역 중 가장 북쪽에 있는 지역이며, 삼각지역을 중심으로 업무지구, 상업지구, 오피스텔, 아파트가 모두 혼재한 양상을 보이는 지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남영역 인근의 한강대로71길 이남에서 수도권 전철 4호선 삼각지역 인근의 한강대로54길 이북, 경부선 이동, 용산기지 이서 지역에 해당하며, 동쪽은 용산동1가와 용산동3가에, 서쪽은 문배동에, 남쪽은 한강로2가에, 북쪽은 갈월동에 접한다. 한강대로67길 이북은 또한 용산기지의 일부로서 민간인 출입금지구역이므로, 동역의 67.5%인 0.162㎢ 정도가 실질적인 면적이며, 실질적인 인구밀도는 30,388.89명/㎢ 정도가 된다.

예로부터 이 일대는 삼각지로 불려왔던 곳으로, 1906년 이후에 한강, 서울역, 공덕오거리 방면으로 향하는 세 갈래 길이 있다 하여 삼각지로 불리게 되었고, 1939년에는 삼각지에서 이태원을 거쳐 신당동으로 향하는 이태원로가 개통되면서 로터리가 생겼다. 1961년에는 삼각지로터리에 우리나라 최초로 입체교차로가 설치되었는데, 고가도로가 원형으로 생겨서 뱅글뱅글 돌아가는 모양이었고, 당대에는 서울의 명물이었다고 한다. 1967년배호돌아가는 삼각지라는 노래를 불러서 삼각지라는 지명이 널리 알려졌다. 1994년에는 삼각지고가차도가 철거되었고, 지금처럼 사거리 형태가 되었다.
[clearfix]

3.2. 한강로2가

용산구법정동
한강로2가
漢江路二街 | Hangangno 2(i)-ga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1117012500
관할 행정동 한강로동
면적 0.45㎢

서울특별시 용산구법정동으로, 행정동 한강로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삼각지역 이남에서 용산역앞 교차로 이북까지, 용산기지 이서에서 용산전자상가 일부까지 한강로2가에 포함된다. 동쪽은 용산동3가와 용산동5가에, 서쪽은 문배동, 신계동, 한강로3가에, 남쪽은 한강로3가에, 북쪽은 한강로1가에 접한다.

용산역은 한강로3가에 속하지만, 용산역 앞 지역은 용산동2가에 속하며, 신용산역은 한강로2가에 속한다. 대부분 업무지구와 상업지구, 혹은 오피스텔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clearfix]

3.3. 용산동3가

서울특별시 용산구법정동으로, 행정동 한강로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동쪽은 용산동4가에, 서쪽은 한강로1가와 한강로2가에, 남쪽은 용산동5가에, 북쪽은 용산동1가에 접한다. 면적은 0.34㎢이나, 동역의 97.35%는 민간인 출입금지구역인 용산기지에 포함되어 있고, 동역의 2.65% 남짓한 0.01㎢ 지역에 238명이 거주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인구밀도는 23,800명/㎢ 정도가 되며, 실질적으로는 한강로1가의 일부분에 가깝다.

이곳에 바로 대한민국 대통령실이 위치하고 있으며, 용산기지 내부에 있다. 대통령실 청사 부지를 제외한 용산동3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용산기지 부지는 추후 공원화되어 용산공원이 될 예정이다.
[clearfix]

3.4. 용산동5가

서울특별시 용산구법정동으로, 행정동 한강로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인 이촌역이 이곳에 있다. 동쪽은 용산동4가용산동6가에, 서쪽은 한강로2가와 한강로3가에, 남쪽은 이촌동에, 북쪽은 용산동3가에 접한다. 면적은 0.69㎢이나, 동역의 91.35%는 민간인 출입금지구역인 용산기지에 포함되어 있고, 동역의 9.65% 남짓한 0.07㎢ 지역에 2,338명이 거주하고 있을 뿐이다. 이 지역에는 파크타워아파트가 위치하며, 용산동5가 주민 전부가 파크타워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실질적인 인구밀도는 33,400명/㎢ 정도가 된다. 사실상 한강로3가와 동부이촌동의 일부 지역으로, 이곳에 사는 학생들의 경우는 이촌동 소재의 서울신용산초등학교, 용강중학교, 중경고등학교에 배정된다.

용산어린이정원이 위치해있다. 용산공원 중 일부를 개방한 것이다.

[clearfix]

3.5. 한강로3가

용산구법정동
한강로3가
漢江路三街 | Hangangno 3(sam)-ga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1117012800
관할 행정동 한강로동
면적 1.19㎢

서울특별시 용산구법정동으로, 행정동 한강로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한강로동의 관할구역 중 남서쪽에 있는 지역으로, 용산역과 용산역 남쪽에 있는 지역, 경원선 이서의 용산전자상가 일부가 한강로3가에 포함된다. 동쪽은 용산동5가에, 서쪽과 남쪽은 이촌동에, 북쪽은 원효로2가, 원효로3가, 원효로4가에 접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추진 중에 있다.
[clearfix]

4. 주요 시설

4.1. 공공기관

4.2. 문화재

4.3. 기업

4.4. 주거

4.4.1. 아파트/주상복합

4.5. 교통

5. 출신 인물


[1] 2024년 5월 주민등록인구[2] 지금의 한남동, 이태원동, 보광동, 주성동 일대[3] 서울시 청년주택 제1 사업[4] 1단지(101, 102, 103동)[5] 2단지(201, 202동)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