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23:37:51

남영동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용산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행정동 <colcolor=#000> 법정동
<colbgcolor=#004ea2> 후암동 후암동
용산2가동 용산동2가 · 용산동4가
남영동 갈월동 · 남영동 · 동자동 · 용산동1가
청파동 서계동 · 청파동1가 · 청파동2가 · 청파동3가
효창동 효창동
용문동 도원동 · 용문동
이촌1, 2동 이촌동
이태원1, 2동
구청
이태원동
한남동 한남동
서빙고동 동빙고동 · 서빙고동 · 용산동6가 · 주성동
보광동 보광동
원효로1동 문배동 · 신계동 · 원효로1가 · 원효로2가
원효로2동 산천동 · 신창동 · 원효로3가 · 원효로4가 · 청암동
한강로동 용산동3가 · 용산동5가 · 한강로1가 · 한강로2가 · 한강로3가 }}}}}}}}}
용산구행정동
남영동
南營洞 | Namyeong-dong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3020041
관할 법정동
[ 펼치기 · 접기 ]
갈월동, 남영동,
용산동1가, 동자동
하위 행정구역 13통 94반
면적 1.19㎢
인구 6,816명[1]
인구밀도 5,727.73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용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권영세 (5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호 (초선)
용산구의원 | 가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송환 (초선)

파일:zsdkl3gasdg.svg
황금선 (3선) }}}}}}}}}
행정복지센터 두텁바위로 25 (갈월동 51-19)
남영동 주민센터

1. 개요2. 역사3. 관할 행정동
3.1. 갈월동3.2. 남영동3.3. 용산동1가3.4. 동자동
4. 주요 시설
4.1. 기관
5. 교통
5.1. 버스5.2. 철도
6. 출신 인물7. 여담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행정동으로, 갈월동·남영동·용산동1가·동자동의 4개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용산구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1.19㎢이다. 남쪽은 한강로동, 동쪽은 용산2가동, 후암동, 서쪽은 원효로1동·청파동에 접하고, 북쪽은 중구 회현동에 접한다.

2. 역사

서울의 남쪽에 군영(軍營)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초에는 한성부 성저십리 지역이었고, 1751년 (영조 27) 에 한성부 남부 둔지방 이태원계의 일부가 되었다.

1914년에는 경성부 한강통이라 불렸고, 1941년에 연병정이 되었다.

1943년 용산구에 편입되었고, 1946년 남영동으로 바뀌었다.

3. 관할 행정동

3.1. 갈월동

3.2. 남영동

용산구법정동
남영동
南營洞 | Namyeong-dong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1117010500
관할 행정동 남영동
면적 0.07㎢
[clearfix]

3.3. 용산동1가

3.4. 동자동

용산구법정동
동자동
東子洞 | Dongja-dong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1117010700
관할 행정동 남영동
면적 0.29㎢

1975년까지는 중구 소속이었다. 서울역 신역사가 위치한다. 또한 서울 5대 쪽방촌 중 하나인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이 있다. 쪽방촌 주변에는 저렴한 여인숙, 게스트하우스들이 몇 곳 들어서 있으며 동자동 쪽방촌을 중심으로 인접 갈월동, 후암동에도 쪽방이 몇 곳 분포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clearfix]

4. 주요 시설

4.1. 기관

5. 교통

5.1. 버스

5.2. 철도

6. 출신 인물

7. 여담

남영동과 갈월동 일대에 2019~2020년 까지만 해도, 남영역 앞 사거리 근처에서 50~60대로 보이는 여자가 기괴한 화장을 한 채로 거리를 돌아다니곤 했다. [4] 현재도 활보하는지, 그의 정체가 무엇인지는 불명.

5공화국 시절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유명한 남영동 대공분실(현 민주화운동기념관)은 사실 갈월동에 있다.


[1] 2024년 5월 주민등록인구[2] 행정동 남영동 관할 법정동인 동자동에 일반철도(KTX 및 새마을, 무궁화호) 승강장, 4호선 구역과 공항철도 역사가 있다. 나머지 구역은 중구 회현동 관할.[3] 3번 ~ 6번 출구가 남영동 소속이다.[4] 거의 공포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비주얼로, 웬만큼 빡센 갸루화장 저리가라 일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