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9 08:25:04

햐쿠타케 하루키치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0313f> 대장
大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시라카와 요시노리 | 우가키 가즈시게 | 미나미 지로 | 아베 노부유키 | 야마나시 한조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도이하라 겐지 | 마쓰이 이와네 | 야마시타 도모유키 | 이타가키 세이시로 | 이마무라 히토시 | 기무라 헤이타로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오카무라 야스지 |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 다치바나 요시오 | 아나미 고레치카 | 가와베 마사카즈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 | 안도 리키치 | 하타 슌로쿠 | 스즈키 소사쿠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야마모토 곤노효에 | 스즈키 간타로 | 사이토 마코토 | 나구모 주이치 | 요나이 미쓰마사 | 이노우에 시게요시 | 오카다 게이스케 | 시마다 시게타로 | 이토 세이이치 | 햐쿠타케 사부로 | 햐쿠타케 겐고
중장
中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창덕궁 이왕 은 | 홍사익 | 난부 키지로 | 무토 아키라 | 이시이 시로 | 스즈키 데이이치 | 도미나가 교지 | 무타구치 렌야 | 이시와라 간지 | 사토 겐료 | 사토 고토쿠 | 미야자키 시게사부로 | 히구치 기이치로 | 이병무 | 조동윤 | 혼마 마사하루 | 오시마 히로시 | 요코야마 이사무 | 요코야마 시즈오 | 햐쿠타케 하루키치 | 마루야마 마사오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야마구치 다몬 | 오자와 지사부로 | 우가키 마토메 | 모리 쿠니조 | 기무라 마사토미 | 이치마루 리노스케 | 미카와 군이치
소장
少將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육군
陸軍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 이희두 | 조성근 | 왕유식 | 김응선 | 어담 | 이치키 기요나오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해군
海軍
타카기 소키치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사후 추서
※ 둘러보기 |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 원수
}}}}}}}}}
<colbgcolor=#b0313f><colcolor=#ffffff> 햐쿠타케 하루키치
百武 晴吉|Harukichi Hyakutake
파일:1000114335.jpg
출생 1888년 5월 25일
일본 제국 사가현
사망 1947년 3월 10일 (향년 58세)
일본 도쿄도
소속 일본 제국 육군 (1909년 ~ 1945년)
최종 계급 중장
학력 일본육군사관학교 (21기)
참전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

일본 제국의 군인이다.

2. 생애

사가현 출신이며 1904년 육군사관학교 21기에 입교했다. 1909년 9등으로 졸업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1921년 육군대학교도 수료했다. 1922년 참모본부의 참모로 복무했으며 폴란드군 얀 코발레프스키에게 암호학을 배웠다. 1925년부터 2년간 폴란드로 유학갔으며 귀국 후 암호반장으로 임명되었다.

1928년 중좌로 진급해 관동군 특무기관으로 배치되었다. 1932년 대좌로 진급해 육군통신학교 참모를 지냈다. 1933년 과장으로 영전했으며 1935년 한반도에 배치된 제20사단 제78연대장으로 부임했다. 1년 뒤 제5사단 참모로 배치되었다가 히로시마육군유년학교장에 취임했다.

1937년 소장으로 진급해 통신학교장으로 취임했으며 1939년 제4독립혼성여단장으로 임명되어 중국전선에 투입되었다. 1940년 제18사단장, 1941년 신설된 통신감에 취임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남태평양 전선 제17군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뉴기니 공략을 담당했다. 당시 참모장은 츠지 마사노부였다. 과달카날 전역, 부건빌 전역, 솔로몬 전역에 참가했으나 패배하여 정글 속으로 숨어있었다.

1945년 2월 뇌출혈로 쓰러져 임무수행이 불가능하자 귀국했고 의식이 깨어난 후 얼마 안 가 종전을 맞이했고 저서를 집필했으나 뇌출혈이 재발해 1947년 사망했다.

3. 여담



[1] 이시하라 간지, 리무라 조가 임관동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