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10:56:49

히어로(메이플스토리)

혀로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메이플스토리에서 수백 년 전 검은 마법사를 봉인한 자들}}}에 대한 내용은 [[영웅(메이플스토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영웅(메이플스토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영웅(메이플스토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메이플스토리에서 수백 년 전 검은 마법사를 봉인한 자들: }}}[[영웅(메이플스토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영웅(메이플스토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영웅(메이플스토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10px 0px; color: #fff; max-width: 99.5%; min-width:40%; min-height:2em"{{{#!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5px 0px; color: #fff; max-width: 97%; min-width:40%; min-height:2em"}}}

히어로 Hero
파일:job_bg.png
파일:메이플_전사.png
[[메이플스토리/직업#전사 계열|{{{#fff 전사}}}]]

파일:히어로 일러.png
종족
인간

홈타운
메이플 아일랜드

주무기
한손검, 두손검, 한손도끼, 두손도끼

보조무기
방패, 메달

주스탯
STR(힘)

부스탯
DEX(민첩)

출시일
2003년 4월 29일(정식 오픈)

전직트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vertical-align: bottom"
성우정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vertical-align: bottom"
표기

[ 펼치기 · 접기 ]
||<-3><bgcolor=#ae1922> 표기 ||
GMS/MSEA <colbgcolor=#fff,#191919> 1차: Swordman -> 2차: Fighter -> 3차: Crusader -> 4차: Hero
JMS 1차: ファイター -> 2차: ソードマン -> 3차: ナイト -> 4차: ヒーロー
CMS 1차: 战士(전사) -> 2차: 剑客(검객) -> 3차: 勇士(용사) -> 4차: 英雄(영웅)
TMS 1차: 劍士(검사) -> 2차: 狂戰士(광전사) -> 3차: 十字軍(십자군) -> 4차: 英雄(영웅)
VMS(Vietnam) 1차: Chiến Binh -> 2차: kiếm sỹ -> 3차: Thập tự quân -> 4차: Người hùng
BMS(Brazil) 1차: Espadachim -> 2차: Soldado -> 3차: Templário -> 4차: Herói


1. 개요2. 스탠딩 일러스트3. 인게임 외형4. 역사5. 성능
5.1. 스킬 목록5.2. 특징5.3. 운용
5.3.1. 사냥5.3.2. 보스
5.3.2.1. 공략
5.4. 스펙
6. 평가
6.1. 장점6.2. 단점6.3. 기타
7. 육성 가이드8. 스킬 보이스9. 여담
9.1. 관련 이미지
10. 유명인 유저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파일:히어로 공홈.png
검술의 극의에 달한 전사[1]
히어로는 공간마저 베어내는 극의에 달한 검술이 특징인 전사입니다.
적을 공격하여 콤보를 쌓아 검격의 위력이 강해지며, 축적된 콤보 카운터의 힘을
분출하여 폭발적인 위력을 낼 수 있습니다.
쉴새 없이 적을 몰아치는 검격으로 단순하지만 시원한 전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파이터는 가장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사라네.
- 주먹펴고 일어서
메이플스토리모험가 전사 중 화력 특화 직업. 메인 컨셉트는 검술의 달인.

2. 스탠딩 일러스트

파일:히어로(남) 스탠딩.png 파일:히어로(여) 스탠딩.png
남성 여성

3. 인게임 외형

기본 외형

||<|2> || 파일:남성 히어로 패키지.png || 파일:여성 히어로 패키지.png ||
<rowcolor=#fff> 남성 여성
외형
<colbgcolor=#fad18d><colcolor=#fff> 헤어 모험가 히어로 헤어
장비
무기 모험가 히어로 소드
한벌옷 모험가 히어로 아머
신발 모험가 히어로 부츠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성능

5.1. 스킬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특징

히어로의 특성화 스킬은 콤보 어택이다. 콤보 카운터 자체는 몇 대 치면 바로 최대치가 되며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상시 유지할 수 있다. 각종 딜 관련 능력치를 올려주며, 특히 최종 데미지를 크게 올려주므로 히어로는 메이플스토리의 직업 중 최고 수준의 스킬 공격력을 만들 수 있다.

공격 일변도의 단순하고 효율적인 스킬 구성을 가진 딜러다. 기동력도 모험가 전사 직업군 중에서는 가장 낫다.[2] 그리고 별다른 시너지는 없지만 무적기와 슈퍼 스탠스도 갖추고 있어 안정성 또한 준수하다.

5.3. 운용

5.3.1. 사냥

주력기인 레이징 블로우 또는 (사냥터 지형에 따라) 인사이징을 사용하는 것 외에 특별히 나은 부분은 없다. 리마스터와 야누스, 5차 스킬 코어의 지속적인 추가로 다양한 사냥 보조 스킬[3]들을 활용할 수 있어서 마릿수는 많이 개선된 편. 물론 피로도 측면에서는 날먹류 직업들과 비교할 정도가 아니고, 귀찮아서 점레만 쓰고 사냥터를 맴돌면 효율이 떨어진다.

5.3.2. 보스

옛날부터 보스전 하면 알아줬던 직업이고 조작이 쉬워서[4] 인기가 많았던 직업이다. 어지간한 스킬들이 죄다 최종 데미지에 관여하기도 하고, 조작 난이도도 쉬워서 단순히 공격에만 집중할 수 있어 피로도도 적으며, 무엇보다도 5차 이후 강력한 극딜기와 무적을 포함한 유틸기들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성 과정을 제외한 자본 투자 대비 효율이 좋다.

평딜은 인레이지를 켠 상태에서 레이징 블로우를 사용하는 것이 전부이며, 그 외에는 60초마다 적에게 인사이징 디버프를 묻히거나 30초마다 소드 일루전 → 레이지 업라이징+오라 블레이드 2스택 콤보로 약간의 누킹을 가하는 것이 끝이다. 극딜도 시퀀스로 버프를 다 켠 다음 오로지 레이징 블로우만 사용한다.[5]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의 경우 공속이 빠른 설치 모드가 권장되나, 보스 특성에 따라 일반형이 더 효율적인 경우도 있기에 설치 모드에 집착하지 않아도 괜찮다.

단, 6차 이후에는 구조적인 손해가 발생한다. 스피릿 칼리버에 소드 일루전의 최종 데미지 증가 효과를 적용시켜야 하는데, 오리진 시전 시간동안 일루전 버프의 지속시간이 그대로 흘러가기 때문에 인스팅트는 일루전 버프 없이 써야 한다. 그리고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을 일반형으로 들고 오리진을 쓰면 오리진 시전 동안 공격을 하므로 설치형으로 써야 한다.
5.3.2.1. 공략

5.4. 스펙

참고하면 좋은 나무위키 문서
무기 관련
능력치 수치 무기 이름 및 상승 요인
무기 상수1.34[12]
1.44[13]
한손검/한손도끼
두손검/두손도끼
공격 속도8단계
7(~8)단계
한손무기 5단계/두손무기 4단계, 웨폰 마스터리 +1, 웨폰 액셀레이션 +2, 쓸만한 윈드 부스터 +1
한손무기 한정으로 자력 최대 공속(8단계) 도달 가능
두손무기 한정으로 조건부 최대 공속(8단계) 도달 가능
숙련도90%기본 20%, 웨폰 마스터리-어드밴스드 콤보 +70%
보조 무기 강화 가능 여부방패 착용 시 가능방패/메달
공격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주 스탯 - STR+15(75)%+50(80)메이플 용사 +15(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75[14])%, 웨폰 액셀레이션 +20, 피지컬 트레이닝 +30, (바디 오브 스틸-패시브 +30)
부 스탯 - DEX+30피지컬 트레이닝 +30
공격력80(~154)어드밴스드 콤보 어택 +20[15], 스피릿 블레이드 +30, 어드밴스드 파이널 어택 +30(50)[16], {발할라 +50, 콤보 인스팅트(콤보 카운터 10개 기준 증가량의 20%) +4}
데미지(+71%)(웨폰 마스터리 - 도끼 착용 시 +5%, 에픽 어드벤쳐 +10%, 바디 오브 스틸 +36%[17],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20%)
보스 데미지+20(~24)%어드밴스드 콤보-보스 킬러 +20%[18], {콤보 인스팅트(콤보 카운터 10개 기준 증가량의 20%) +4%}
최종 데미지202.5(~579.35)%웨폰 마스터리 10%, 인레이지 25%, 어드밴스드 콤보-리인포스 120%[19]{콤보 인스팅트(콤보 카운터 10개 기준 증가량의 20%) +24%[20], 소드 일루전(콤보 카운터 6개) +72%}, {찬스 어택 - 자상, 바인드 상태의 적 공격 시 25%[21], 오라 웨폰 6%}
방어율 무시50(~58)%컴뱃 마스터리 50% × (오라 웨폰 16%)
속성물리
0%만큼 속성 내성 무시
관련 스킬 없음
추가 타격없음관련 스킬 없음
데미지 분산없음관련 스킬 없음
기타없음
방어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방어력+200아이언 바디 +200
상태 이상 내성30(~210)인듀어 +30, (발할라 +100, 바디 오브 스틸 +80)
모든 속성 내성30(100)%인듀어 +30%, (발할라 +100%)
스탠스100%워리어 마스터리 +40%, 스탠스 +60%
슈퍼 스탠스가능플래시 슬래시, 발할라(30초), 바디 오브 스틸(18초)
MP 가드 여부불가능관련 스킬 없음
피격 데미지 감소-40%아이언 바디 -10%, 스피릿 블레이드 -30%
최대 HP 비례 피해 감소없음관련 스킬 없음
가드 가능 여부불가능관련 스킬 없음
크리티컬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크리티컬 확률40(~70)%기본 5%, 웨폰 마스터리 +15%, 찬스 어택 +20%, (발할라 +30%)
추가 크리티컬 확률+50%
조건부 100%
소드 오브 버닝 소울
레이징 블로우의 마지막 공격 및 강화된 레이징 블로우의 마지막 2번의 공격
크리티컬 데미지+20%인레이지 +20%
최종 평균 값135~155%
HP, MP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최대 HP 증가+20%+20n(+1500)아이언 바디 +20%, 위리어 마스터리 - 레벨 당 +20, (바디 오브 스틸-패시브 +1500)
HP 회복초당 +35%
4초마다 +4%
인빈서블 빌리프 - 현재 HP가 최대 HP의 15% 이하 시 3초 동안 자동 발동, 쿨타임 210초
셀프 리커버리 +4%
공격 시 HP 회복없음관련 스킬 없음
스킬 코스트MP
최대 MP 증가+0관련 스킬 없음
MP 회복4초마다 +4%셀프 리커버리 +4%
공격 시 MP 회복없음관련 스킬 없음
최대 콤보 카운트10콤보 어택 5 - 어드밴스드 콤보 10
콤보 충전공격 시 80% 확률로 +1~2
피격 시 30% 확률로 +1
콤보 어택-콤보 시너지 (어드밴스드 콤보-보너스 찬스 습득 시 2개 충전 확률 +20%)
콤보 시너지
회복 포션 효율+0%관련 스킬 없음
이동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이동 속도122%워리어 마스터리 +22
최대 이동 속도160%기본 140%, 워리어 마스터리 +20
점프력110%워리어 마스터리 +10
더블(트리플) 점프워리어 리프 - 더블 점프
상단 점프어퍼 차지 - ↑ + 공격키, 워리어 점프로 연계 가능
일정 거리 이동돌진 - 전방 500만큼 이동
기타 이동기플래시 슬래시 - 주위에 있는 적을 추격
1:1 공격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데미지레이징 블로우 - 1타 당 320%
강화 레이징 블로우 - 1타 당 344%
레이징 블로우 VI - 1타 당 678%[22]
강화 레이징 블로우 VI - 1타 당 738%[23]
사거리레이징 블로우 - 고정 범위, 정면 350 / 상단 220 / 후면 20 / 하단 70
강화 레이징 블로우 - 고정 범위, 정면 360 / 상단 250 / 후면 70 / 하단 100
타겟 수레이징 블로우 - 3명
공격 횟수레이징 블로우 - 1회 당 5[24]
공격 속도레이징 블로우 - 4등급 기준으로 1분 당 86번
재사용 대기시간레이징 블로우 - 없음
밀격/끌격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밀격돌진[25]1회에 12명을 밀어내며 500만큼 이동
넉백없음
끌격없음
보조 공격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추가 공격기어드밴스드 파이널 어택
발할라
75%[26] 확률로 170%의 데미지로 3회
검술 스킬 사용 시 일정 시간마다 370% 데미지로 2번 공격하는 검격 3개, 최대 12회 발생
보조 공격기소드 오브 버닝 소울20초 동안 영혼의 검 생성. 공격 스킬 사용 시 1초마다 6번 공격
검은 자신을 따라다니고 재사용 시 고정됨. 다시 재사용 시 자신에게 복귀
일반 상태: 1490% 데미지
고정 상태: 4005% 데미지
도트 데미지인사이징60초 동안 2초마다 165% 데미지
유틸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능력치 감소스카링 소드
인사이징[27]
20초 동안 명중률 -20%, 공격력 -30%(자상)
60초 동안 크리티컬 공격에 한해 데미지 +25%(파티원이 공격 시 +10%)
버프 불능매직 크래쉬22초 동안 몬스터의 버프 효과 제한
버프 해제매직 크래쉬공격력/마력 증가, 물리/마법 방어력 증가, 하드 스킨[28] 해제
(공격 무효화, 공격 반사, 마법 무효화, 무적은 해제 불가능)
버프 무시스피릿 블레이드공격 반사로 인한 반사 데미지 피해만 무시
행동 불능없음
무적콤보 데스폴트
스피릿 칼리버
시전 중 1.6초
시전 중
부활없음
사망 1회 방지없음
기타없음
기타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버프 지속 시간 증가+0%관련 스킬 없음
회피 후 버프없음
공격 반사피격 데미지의 500%스피릿 블레이드
기타없음
육성 보너스
능력치 수치 평가
링크 스킬인빈서블 빌리프[29]진 힐라나 윌 2페이즈 같은 회복 불가를 무시하지 못하고, 대다수 보스들의 최대 HP 비례 피해 수치는 15% 밑으로 맞춰서 발동시키기 매우 까다롭기에 보스전 상성을 탄다.
공격대원 효과STR 10/20/40/80/100 증가평범하게 전사와 해적(힘)을 위한 효과. 퍼센티지 영향은 받지 않는다.

6. 평가

단순하고 직관적인 스킬 구성을 바탕으로 꾸준히 공격을 이어나가는 순수 평딜러. 최종 데미지 수치가 높고 보총뎀 합이 낮아서 자본 투자 효율은 높으나, 콤보 데스폴트의 무적에 지나치게 의존하는지라 조작 난이도에 비해 운용 난이도는 어렵다.

6.1. 장점

6.2. 단점

6.3. 기타

7. 육성 가이드

7.1. V 매트릭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스킬 코어|스킬 코어]][[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어빌리티


레전드리 어빌리티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15~20% 증가

상태 이상에 걸린 대상 공격 시 데미지 7~8% 증가

공격력 15~21 증가 / 버프 지속시간 32~38% 증가 / 크리티컬 확률 15~20% 증가

반드시 갖춰야 할 옵션은 없지만, 효율만 따지면 사실상 보공+상추뎀 고정. 3번째 줄은 취향 따라 갈린다.

7.3. 메이플 유니온

7.4. 하이퍼 스탯

7.5. 잠재능력

주무기와 보조무기는 보공%와 공% 위주[35]로, 엠블렘은 방무%와 공% 위주로 방어구와 장신구는 STR%로 채택한다.[36] 기본 방무를 50%나 가지고 있는 직업군이므로 육성 초반에는 2줄까지 채택하되, 링크, 유니온, 하이퍼 스탯, 칠요의 몬스터파커 세트, 노블레스 스킬, 장비 기본 방어 무시율과 세트 옵션 등을 얻어가며 1~0줄까지 줄여나간다. [37]

그외의 정보는 항목 참조.

7.6. 추천 사냥터

8. 스킬 보이스

스킬 대사
2차 스킬
<colbgcolor=#fad18d> 플래시 슬래시
간다!
막을 수는 없다!
3차 스킬
브레이브 슬래시
베어주지!
오라 블레이드
검기 발사!
스카링 소드
이름은 기억해주마.
4차 스킬
레이징 블로우
검과 하나되어!
내가 곧 검이다!
인사이징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이것이 나의 검이다!
하이퍼 스킬
발할라
고대의 전사들이여!
전설로 기억되리!
레이지 업라이징
받아보아라!/받아내보아라![남]
쏟아내주마!
5차 스킬
소드 오브 버닝 소울
나의 오랜 친구여!
검이여, 나와 함께!
콤보 데스폴트
모든 것을 담아서!
콤보 인스팅트
숨을 곳은 없다!
검이 이끄는 대로!
소드 일루전
흔적조차 남기지 않겠다!
막아보아라!
6차 스킬
스피릿 칼리버
위대한 영웅의 혼이여, 나의 검에 깃들어라!
영혼의 힘이 깃든 검술의 극의를 목도하라!
내 모든 것을 걸어, 너희들의 영혼까지 모조리 베어주마!

DESTINY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모험가 직업군에게 보이스가 생겼다.

모험가 직업군의 공통점은 1차 스킬에 보이스가 없다는 것으로, 2차 전직을 통해 루트를 정한 이후 2차 스킬부터 보이스가 탑재되기 시작한다.

9. 여담

파일:external/file.gamedonga.co.kr/Maple070424_02.jpg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_서비스 초기.png 파일:attachment/untitled_24.png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 뉴 일러스트(2020.08.20)2.png
구 일러스트
파일:용사 히어로_1.gif

9.1. 관련 이미지

파일:2등신혀로.jpg
파일:히어로_레드2.jpg
파일:히어로_레드3.jpg
레드 패치 영상
파일:한가위모험가.jpg
2017년 설날 일러스트
파일:히어로_검은 마법사.jpg
검은 마법사 영웅집결
파일:Screenshot_20190131-105048_YouTube.jpg
패스파인더 업데이트 영상
파일:히어로 신규일러 초기안.png
메이플 2021 썸머 업데이트
파일:키잉키잉 배리어 브레이커 히어로.jpg
파일:메이플 모험의서 썸네일.jpg
메이플스토리 DESTINY | 모험의 서(書)
파일:칼로스 히어로2.jpg
파일:칼로스 히어로.jpg
감시자 칼로스 트레일러

10. 유명인 유저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메이플스토리 최초의 10직업
최초의 10직업 바이퍼
캡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히어로 아크메이지(불,독) 보우마스터 나이트로드
팔라딘 아크메이지(썬,콜) 신궁 섀도어
다크나이트 비숍
}}}}}}}}} ||

[1] 공식 홈페이지 직업 소개[2] 돌진 거리가 팔라딘과 다크나이트에 비해 약간 더 길고, 플래시 슬래시라는 이동기를 가지고 있다.[3] 오라 블레이드, 레이지 업라이징, 에르다 파운틴, 블리츠 실드, 소드 오브 버닝 소울, 콤보 데스폴트, 소드 일루전, 솔 야누스 등.[4] 모험가 전사 특유의 둔탁함은 감수해야 한다.[5] 콤보 인스팅트로 발동되는 '공간의 상처'는 레이징 블로우로만 발동한다. 그래서 극딜 타임에는 레이지 업라이징도 안 쓰고 평타만 때리는게 더 세다.[6] 섬멸 모드일 때, 약 3번에 걸쳐 플레이어와 같은 위치에 있는 레이저가 폭발하는 패턴[7] 물론 밀격을 맞아버리면 경직으로 말짱 헛고생이 된다. 반드시 앉아서 피해주자.[8] 1페는 너무 높아서 소오버가 안닿는다.[9] 보스돌이의 경우 스펙이 좀 된다면 패턴을 보기 전에 인스팅트 극딜을 2번 써서 삭제해버릴 수도 있고, 다른 보스에서 극딜 쿨을 돌리고 가엔슬에 입장해도 그로기 때 극딜이 돌아오게 시간을 맞출 수 있어서 시간상 유리함을 가져갈 수 있다.[10] 리프 어택은 아랫 방향키를 누른채로 연타해야한다[11] 엘보는 듄켈이 직접 공격을 할 때만 나오기 때문에 패턴을 보고 예상할 수 있다.[12] 원래 1.24지만, 히어로만의 무기 상수 보정을 받는다.[13] 원래 1.34이지만, 히어로만의 무기 상수 보정을 받는다. 따라서 히어로를 본캐로 육성할 경우 반드시 두손무기를 사용해야 한다.[14] 메이플 용사류 스킬로 증가하는 모든 능력치의 400% 추가 증가(5배)[15] 콤보 카운터당 +2(최대 10개)[16] -보너스 데미지 +20[17] 피격 시 +6%(최대 6중첩)[18] 콤보 카운터당 +2%(최대 10개)[19] 콤보 카운터당 12%(최대 10개)[20] 콤보 카운터당 증가량이 20%만큼 증가[21] 디버프라서 스탯창에는 표시되지 않는다.[22] 기본 530% + 레이지 업라이징 VI 패시브 148%p[23] 기본 590% + 레이지 업라이징 VI 패시브 148%p[24] 4 + -보너스 어택 1[25] 모험가 3전사들 중에서 돌진 거리가 가장 길다.[26] 60% + -보너스 찬스 15%[27] 정확히 말하면 몬스터의 능력치를 감소시키는 스킬은 아니지만 크리티컬에 한해 받는 데미지가 증가되니 능력치 감소라고 보는 편이 맞다.[28] 크리티컬을 제외한 공격 무시.[29] 현재 HP가 최대 HP의 15% 이하가 되었을 때 자동 발동되어 3초 동안 1초마다 최대 HP의 35% 회복. 재발동 대기시간 240초[30] 어드밴스드 콤보 + 인레이지 상태에서 소드 일루전을 사용하면 8초 동안 301.5%가 되며, 5차 스킬인 콤보 인스팅트를 사용하면 354.3%, 오라 웨폰까지 사용하면 최대로 올릴 수 있는 능력치 표기 수치로는 381.55%다. 여기서 능력치 외적으로 찬스 어택의 최종 데미지 25% 증가도 받을 수 있기에 실질적인 최종 수치는 501.94%이다.[31] 보총 데미지는 합적용되는 스펙이기 때문에 같은 수치가 추가되더라도 기존 수치가 낮을수록 효율이 좋다. 예를 들어 보공 40%가 추가됐을 때 기존 보총이 20%였다면 약 1.33배의 피해량 상승을 누릴 수 있으나, 기존 보총이 100%였다면 1.2배 상승에 그친다. 크리티컬 데미지, 공격력% 등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32] 에르다 샤워, 에르다 파운틴, 스파이더 인 미러, 크레스트 오브 더 솔라, 솔 야누스 등[33] 사소해 보이지만 같은 키를 2번 누르는 것과 2개의 키를 쓰는 것은 매우 큰 차이가 난다. 특히 점프 후 스킬 연계나 점프 높이, 반응성에서 보고 피하느냐, 눈뜨고 맞느냐 수준이기 때문에 키셋이 미어터져도 점프 스킬을 키셋에 넣을 수 있다면 배정을 한다.[34] 다른 모험가 전사인 팔라딘은 두손둔기, 다크나이트는 창에 보너스를 주고 일러스트와 이펙트도 각각 해당 무기에 초점을 두었다.[35] 히어로는 보총뎀 효율이 높아 무기와 보조에서 모두 보보공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총뎀이 500%를 넘어간다면 보공공도 고려된다.[36] 장갑은 레전드리면 무조건 크리티컬 데미지, 그 외에는 마찬가지로 STR %[37] 방어율 무시 380% 보스가 출시된 이후로는 모든 내실이 완벽한 경우, 또는 마약 시즌인 경우를 제외하면 한 줄 정도까지는 유지하는 편이 좋다. 솔플 위주의 유저라면 더더욱 그렇다.[남] [39] 다만, 히어로의 사냥 성능 개편과는 별개로 유저들은 히어로의 스킬 이펙트(대표적으로 콤보 어택 등)가 밋밋할 뿐만 아니라 색상은 빨간색 대신 주황색/노란색(즉, 귤색이나 골든 옐로우) 위주로 나오게되면서 팔라딘의 노란색 이펙트와 겹치게 되어 차라리 히어로의 스킬 이펙트 일부를 원래대로 되돌리고, 히어로의 이펙트 색상을 빨간색이나 파란색으로 바꿔서 통일해달라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40] 외형이 히어로 일러스트 코디 세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스탠딩 일러스트도 그대로 활용되었다. 단, 플레이어가 모험가 직업군일 경우 히어로가 출연하지 않고 본인의 캐릭터가 나오며 닉네임도 그대로 나온다.[41]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을 기점으로 메이플스토리 캐릭터 등신비율이 전통의 2등신에서 3.5등신으로 트렌드가 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