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5 23:43:44

𡕺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御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禦]]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禦#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禦#|]]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御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 }}}[[禦]]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禦#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禦#|]]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거느릴 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ギョ, ゴ
일본어 훈독
おん, お, おさ-める, み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御는 '거느릴 어'라는 한자로, '거느리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5FA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人人一中(HOOML)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조금 걸을 척)과 소리를 나타내는 (풀 사)[1]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본래 뜻은 '(말이나 마차 등을) 거느리다', '운송하다' 이며 뜻이 파생되어 '(사람이나 조직 등을) 거느리다', '통솔하다'의 뜻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어명(御命), 어가(御駕), 어의(御醫) 등과 접두사로 '임금'과 관련된 것을 나타낸다.

이체자로는 (말 부릴 어), 가 있다.

일본에서는 止의 ㄴ을 두 획에 나누어 쓰므로 총 획수가 12획이다. 중국에서는 (막을 어)의 간체자로 쓰이며, 일본어에서도 대체 한자로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역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경어 접두사'라고 하여 명사 앞에 붙여서 존경, 공손의 의미를 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경우 お로 읽는 경우도 있고 ご로 읽는 경우도 있어서 헷갈리기 쉽다.[2] 게다가 신불, 천황, 귀인 등 신분이 높은 대상 앞에 붙었을 때는 み로도 읽는다. 훈독이 お이고 음독이 ご이기 때문에 중국에서 유래한 한자어(음독으로 읽는 단어)에는 ご를 붙이고, 순일본어(훈독으로 읽는 단어)에는 お를 붙인다는 게 기본 규칙이라고 보면 된다.[3] 그러나 분명 음독으로 읽는 한자어인데도 훈독이 따로 없이 일상적으로 쓰이는 단어(예: 전화(電話), 욕탕(風呂), 의사(医者) 등)에 붙었을 때도 お로 읽는 경우가 있고, 이것도 [ruby(御,ruby=おん)][ruby(中,ruby=ちゅう)], [ruby(御,ruby=おん)][ruby(社,ruby=しゃ)], [ruby(御,ruby=おん)][ruby(身,ruby=み)]처럼 おん으로 읽는 경우도 있어서 그냥 외우는 게 답이다. 반대로 훈독의 순일본어여도 ご로 읽는 건 ごゆっくり, ごもっとも 정도로 매우 드물다. 이 한자를 3번이나 연달아 쓴 御御御付(け)라는 단어가 있는데 [ruby(御,ruby=お)][ruby(御,ruby=み)][ruby(御,ruby=お)][ruby(付,ruby=つ)]け라고 읽으며 뜻은 미소시루를 의미한다.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卸 또한 뜻을 나타내는 卩(병부 절), 止(그칠 지)와 소리를 나타내는 午(낮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2] 그 밖의 경우엔 대체로 ぎょ로 읽는다. [ruby(防,ruby=ぼう)][ruby(御,ruby=ぎょ)](방어, 단 이 때의 '어'는 禦의 대용이라 보는 편이 맞다.), [ruby(制,ruby=せい)][ruby(御,ruby=ぎょ)](제어), [ruby(御,ruby=ぎょ)][ruby(物,ruby=ぶつ)](어물) 등. [ruby(父,ruby=ちち)][ruby(御,ruby=ご)](엄친), [ruby(母,ruby=はは)][ruby(御,ruby=ご)](자당), [ruby(御,ruby=ご)][ruby(用,ruby=よう)](어용)처럼 ご로 읽는 경우도 있는데 매우 한정적이며 특히 御用(어용)의 경우 用(용무)에 경어 접두사가 붙은 단어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3] 이를테면 '초대'는 한자어 [ruby(招,ruby=しょう)][ruby(待,ruby=たい)]와 순일본어 [ruby(招,ruby=まね)]き로 둘 다 쓸 수 있는데 御招待에서는 ご로 읽고 御招き에서는 お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