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야구의 기록
야구에서 한 타자가 한 시즌에 20홈런&20도루를 하는 것. 20홈런(호타), 20도루(준족)을 모두 이루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호타준족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기록이다. 유사품으로는 30-30 클럽, 40-40 클럽, 50-50 클럽이 있다.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와 일본프로야구에서는 20-20 클럽은 따로 취급하지 않는데, 30홈런-30도루를 달성한 30-30 클럽부터 챙겨주고, 20에 관련된 기록은 2루타, 3루타, 홈런을 20개씩 치는 20-20-20 클럽이나,[1] 거기에 더해 도루 20개까지 달성한 20-20-20-20 클럽을 특별하게 쳐주고 있다. 다만 그 수가 너무나 방대한 나머지 20-20 클럽을 따로 만들어 관리하지만 않을 뿐, 20홈런-20도루 달성도 충분히 그 나름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준다. 다만 우리나라처럼 대기록 비슷한 그런 인식은 아니다.
원래 한국야구에서도 미국과 일본을 따라 20-20을 대단치 않게 생각하고 있었지만, 팀당 120경기로 늘어난 1989년부터 김성한을 시작으로 1990년대 장종훈, 이호성, 이순철, 송구홍, 이정훈 등 야구계에서 20-20 달성자들이 많아지고 일부 선수의 경우 아쉽게 30-30을 코 앞에서 놓치게 되자 당시 야구계와 언론에서 '미국, 일본과 달리 경기수가 적은 한국야구에서 20-20은 30-30과 마찬가지로 세우기 힘든 기록' 이라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이 주장이 나름대로 당위성과 설득력을 가졌기 때문에 많은 지지를 받았고 결국 1990년대 이후 한국야구계에서는 20-20을 특별한 기록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이후 10개 구단으로 리그가 확장되며 144경기로 경기 수가 늘어나 일본보다 1경기 더 하게 되었지만 20-20을 특별하게 여기는 풍조는 아직 남아 있다. 과거와 달리 타자들의 분업화로 인해 도루를 하는 타자와 홈런을 치는 타자가 나뉘게 되며 경기수가 늘어났어도 20-20기록이 가치가 없어질 만큼 기록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지는 않게 된 이유도 있어 아직 KBO에서 20-20은 특별한 기록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144경기 체제에서도 매년 2~3명 정도의 가입자가 나오고 있어, 이전과 거의 비슷한 가입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포수가 기록한 20-20은 야구 역사상 얼마 되지 않는 대기록이다. 발이 느린 선수가 주로 맡고, 체력 부담이 가장 큰 포지션의 특성상 다른 포지션보다 타격 성적의 부담이 많기 때문에 포수 출신의 20-20은 상당히 가치가 높다. 그 예로 메이저리그의 이반 로드리게스[2]가 포수 최초 20-20을 달성하여 페드로 마르티네즈의 몬스터 시즌을 누르고 MVP를 수상한 바 있다. 또한, 2022년 J.T. 리얼무토가 포수 20-20을 다시 달성하였다. 국내에서는 2001년 박경완이 20-20 클럽에 가입했다.[3] 한미일 프로야구 역사상 포수 20-20 달성자는 이 세 명 뿐이다.
1.1. KBO 리그 20-20 달성자 목록
- '기록' 란의 굵은 글씨는 그 선수가 당해 해당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음을 뜻한다.
순서 | 연도 | 달성자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 | 1989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26홈런 32도루 | KBO 최초[4] 내야수 최초 홈런왕 |
2 | 1991 | 이호성 | 21홈런 25도루 | 외야수 최초 | |
3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35홈런 21도루 | 홈런왕 | |
4 | 1992 | 이정훈 | 25홈런 21도루 | ||
5 | 송구홍 | LG 트윈스 | 20홈런 20도루 | ||
6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21홈런 44도루 | 도루왕 | |
7 | 1994 | 김재현 | LG 트윈스 | 21홈런 21도루 | 신인 최초 최연소[5] |
8 | 1996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0홈런 36도루 | KBO 최초 30-30[6] 홈런왕 |
9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28홈런 23도루 | ||
10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25홈런 57도루 | 도루왕 | |
11 | 1997 | 30홈런 64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30-30 도루왕 달성자 중 최다 도루 | ||
12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30홈런 25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13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27홈런 22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달성[7] | |
14 | 최익성 | 삼성 라이온즈 | 22홈런 33도루 | ||
15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22홈런 20도루 | ||
16 | 1998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0홈런 43도루 | 유일한 3년 연속 개인 세 번째 개인 두 번째 30-30 |
17 | 1999[8] | 이병규 | LG 트윈스 | 30홈런 31도루 | 최소 경기[9] 30-30 달성 |
18 | 신동주 | 삼성 라이온즈 | 22홈런 26도루 | ||
19 | 양준혁 | 해태 타이거즈 | 32홈런 21도루 | 개인 세 번째 | |
20 | 제이 데이비스 | 한화 이글스 | 30홈런 35도루 | 외국인 최초 외국인 최초 30-30 | |
21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34홈런 31도루 | 개인 두 번째 30-30 | |
22 | 송지만 | 한화 이글스 | 22홈런 20도루 | ||
23 | 2000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2홈런 30도루 | 최초 개인 네 번째 유일한 개인 세 번째 30-30 |
24 | 송지만 | 한화 이글스 | 32홈런 20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25 | 제이 데이비스 | 22홈런 21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26 | 2001 | 매니 마르티네스 | 삼성 라이온즈 | 25홈런 28도루 | |
27 | 박경완 | 현대 유니콘스 | 24홈런 21도루 | KBO 최초이자 유일한 포수 출신 | |
28 | 2003 | 이종범 | KIA 타이거즈 | 20홈런 50도루 | 개인 세 번째 |
29 | 2007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22홈런 20도루 | 개인 네 번째 |
30 | 2008 | 덕 클락 | 한화 이글스 | 22홈런 25도루 | |
31 | 2009 | 히어로즈 | 24홈런 23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32 | 신명철 | 삼성 라이온즈 | 20홈런 21도루 | ||
33 | 강봉규 | 20홈런 20도루 | |||
34 | 2012 | 강정호 | 넥센 히어로즈 | 25홈런 21도루 | |
35 | 박병호 | 31홈런 20도루 | 홈런왕 | ||
36 | 최정 | SK 와이번스 | 26홈런 20도루 | ||
37 | 2013 | 28홈런 24도루 | 개인 두 번째 | ||
38 | 2014 | 야마이코 나바로 | 삼성 라이온즈 | 31홈런 25도루 | |
39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47홈런 40도루 | 30-30 KBO 최초이자 유일한 40-40 |
40 | 짐 아두치 | 롯데 자이언츠 | 28홈런 24도루 | ||
41 | 나성범 | NC 다이노스 | 28홈런 23도루 | ||
42 | 야마이코 나바로 | 삼성 라이온즈 | 48홈런 22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달성자 중 최다 홈런 | |
43 | 2016 | 황재균 | 롯데 자이언츠 | 27홈런 25도루 | |
44 | 김하성 | 넥센 히어로즈 | 20홈런 28도루 | ||
45 | 2017 | 로저 버나디나 | KIA 타이거즈 | 27홈런 32도루 | |
46 | 손아섭 | 롯데 자이언츠 | 20홈런 25도루 | ||
47 | 박건우 | 두산 베어스 | 20홈런 20도루 | ||
48 | 2018 | 제라드 호잉 | 한화 이글스 | 30홈런 23도루 | |
49 | 로저 버나디나 | KIA 타이거즈 | 20홈런 32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50 | 손아섭 | 롯데 자이언츠 | 26홈런 20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51 | 2020 | 김하성 | 키움 히어로즈 | 30홈런 23도루[10] | 개인 두 번째 |
52 | 애런 알테어 | NC 다이노스 | 31홈런 22도루 | ||
53 | 2021 | 구자욱 | 삼성 라이온즈 | 22홈런 27도루 | |
54 | 추신수 | SSG 랜더스 | 21홈런 25도루 | 유일한 KBO, MLB 20-20 최고령[11] | |
55 | 애런 알테어 | NC 다이노스 | 32홈런 20도루 | 2년 연속 개인 두 번째 | |
56 | 2022 | 오지환 | LG 트윈스 | 25홈런 20도루 | |
57 | 2024 | 김도영 | KIA 타이거즈 | 38홈런 40도루 | 30-30 |
1.2. 이야깃거리
박재홍은 보면 알겠지만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년 연속 20-20을 달성했다. 그 중 두 번은 30-30이었다. 게다가 1996년의 30-30은 세계 최초로 신인이 데뷔 시즌에 이룩한 30-30이다.[12] 이 기록을 2번째로 달성한 선수는 2012년의 마이크 트라웃. 무려 30홈런-49도루. 그리고 박경완의 2001년 20-20은 1999년 메이저리그의 이반 로드리게스 이후 포수로서 세계 두 번째로 이룩한 20-20 클럽이다. 그리고 20년이 지난 지금도 박경완 이후로 20-20을 달성한 포수는 국내 리그엔 없다.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OB 포함)의 경우 원년(1982년) 창단한 팀들인데도 불구하고 20-20 달성 선수가 나온건 상당히 늦었다. 2015년 짐 아두치가 롯데 자이언츠 선수로는 처음으로 20-20을 달성했고, 2017년 박건우가 OB-두산 베어스 구단 최초로 20-20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13]
2009년엔 추신수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한국인 선수는 물론 동양인 선수로는 최초로 20-20을 달성했고, 이듬해엔 2010년에도 20-20을 달성했다. 이는 동양인 선수 최초. 다만 전술했듯 20-20을 특별한 기록으로 보는 나라가 한국밖에 없으므로 한국 언론에서 추신수의 20-20 달성을 대서특필하는 것에 대해 의아하게 여기는 반응이 있었다.[14] 물론 메이저 역사상 동양인으로서 2년 연속 20-20을 달성한 건 전례가 없었으니 한국 언론에서 대서특필한 게 이상한 건 아니다.
20-20에 대한 우스개소리로 과거 어떤 코치가 20-20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던 적이 있다. 최태원이 현역 초반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약하던 시절 빠른 발로 20도루는 맘만 먹으면 언제든 노릴 수 있던 기량이라 본인이 홈런만 좀 어떻게 하면 20-20은 매년 달성했을텐데 라는 푸념을 하자, 옆에서 듣고 있던 코치가 "20-20이 별거냐. 1년에 홈런 1개씩 20년을 치면 그게 20-20이지"라는 드립을 쳐서 선수단과 기자단 모두 폭소를 터뜨렸다고. 실제로 최태원은 그 시즌까지 매해 홈런 1개를 기록하고 있었다. 참고로 최태원의 통산 홈런 수는 24개로 통산 20-20을 하는데 성공(?)하였다.
2019년에는 2011시즌 이후 8년 만에 달성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김하성은 홈런 1개가 부족해서 실패하였고, 제라드 호잉은 홈런 2개를 남겨두고 부상으로 시즌아웃이 되는 바람에 안타깝게 실패하고 말았다.
2021년 추신수는 KBO 최고령 20-20과 함께 KBO와 MLB에서 모두 20-20을 기록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테임즈도 MLB에서는 30홈런을 기록한 적은 있지만 20-20은 기록하지 못했다.
2022년 J.T. 리얼무토가 한미일 프로야구 역사상 세 번째 포수 20-20을 달성했다.
2023년 홍창기는 도루-도루실패로 20-20을 달성했다.
최정의 경우 원체 사구(死球)를 많이 기록한 탓에 홈런-도루 20-20 시즌보다 홈런-사구 20-20 시즌이 더 많다.[15][16] 그 결과는 바로 MLB 최다 기록까지 뛰어넘은 통산 사구 숫자, 그리고 세계 최초 300사구 돌파다. 오죽하면 별명조차도 마그넷 정이다.
해태 타이거즈에서는 농담으로 20-20 클럽이 소주폭탄주 20잔-양주 20잔이었다고 한다.#
2024년 전반기에 김도영이 20-20을 달성하자 전반기에 20-20을 달성한 4명(박재홍 1996, 2000, 이병규 1999, 테임즈 2015, 김도영 2024)이 이슈가 되었다.[17]
2. 축구의 기록
현역 기간을 통틀어서 1개의 리그에서 20골과 20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것. FA컵, 리그컵 등의 컵 대회나 챔피언스 리그같은 국제 클럽 대항전의 기록은 제외한 정규시즌 리그의 기록만을 기준으로 한다.이 정도만 해도 한국 프로축구에서는 상당히 대우받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1983년 프로2팀과 실업 3팀 밖에 되지 않은 작은 리그로 출범해서 경기수도 적고, 풀 리그제도 아니었다.
- 한국 축구인기의 핵심은 국가대표 경기고 리그는 그 인기에 붙어가는 형국이므로, 스타 선수들은 늘 국가대표 경기로 인해 리그경기 결장이 많았다. 또 어떤 형식이든 국방의 의무를 져야 하니 2년 정도는 활약이 힘들었다.
- 외국인 선수 제도가 정착되면서 대부분의 축구리그에서는 외국인선수가 공격포인트를 담당하는 전술 트렌드.[18]
보통 이 3가지 이유 때문에 20-20 클럽에 가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가장 빠르게 이 20-20 클럽을 가입했던 선수중 하나인 이성남조차도 플레이오프[19]를 포함하여 70여 경기만에 이 기록을 달성하였을 정도.
일단 이 기록을 달성한 선수는 팀의 핵심 자원임은 당연하고, 이를 넘어 팀의 공격을 본인이 책임진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프리미어 리그나 라리가같은 세계적인 최상위 리그에서 단일 시즌 20-20을 기록하여 그 가치를 인정받은 경우가 있다. 단일 시즌 20-20 클럽 참고.
2.1. 예시
K리그는 너무 많아서 기입하지 않는다. 30-30 클럽부터는 기입되어 있다. 그리고 K리그에서는 아직 단일 시즌 20-20 클럽 가입자는 없다.[20]2.2. 단일 시즌 20-20 클럽
보통은 몇 시즌에 걸쳐 달성하는 20-20을 한 시즌만에 달성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선수와 해당 리그의 수준차가 지나치게 클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이러한 사례는 보통 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은 변방 리그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변방 리그의 기록은 대부분의 경우 인정받기가 어렵다.보통 최상위 리그에서의 선수가 한 시즌에 20골과 20도움을 달성했다면, 이것은 리그에서 도움왕은 거의 확실시 되는 정도이고 득점왕도 노려볼 수 있는 정도의 기록이다. 한 선수가 한 시즌에 20골과 20도움을 기록했다는 것은 그 선수가 득점 상황에서의 영향력이 리그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최고 수준의 선수임을 보여주는 것이며, 긴 리그의 역사에서도 몇 번 나오지 않는 대기록으로 굉장히 기록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단일 시즌 20-20 클럽을 가입한 선수는 굉장히 수준이 높은 선수임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으며, 보통 최상위 리그에서의 20-20을 한 시즌만에 달성한 선수는 명실상부한 월드클래스로 칭해진다.
최상위 리그에서 단일 시즌 20-20을 달성한 대표적인 예는 티에리 앙리와 리오넬 메시. 앙리는 아스날 소속으로 2002-03 시즌 프리미어 리그에서 24골 20어시스트를 기록했고, 메시는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라리가에서 2019-20 시즌 25골 2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그리고 메시는 해당 시즌의 득점왕과 도움왕을 모두 차지했다. 당시 앙리는 도움왕만 차지했다.[21]
3. 농구의 기록
한 경기에서 득점, 어시스트, 리바운드, 스틸, 블록 슛 중 두 가지를 20개 이상 하는 것이다. 영어로는 '더블-더블'(10-10)의 두 배라고 '더블 더블-더블'이라 한다. 프로 경기 기준으로 주로 득점과 리바운드에서 20-20이 나오는데 흔한 기록은 아니며 득점과 어시스트 조합으로는 아주 가끔 나온다.4. 관련 문서
- 30-30 클럽
- 40-40 클럽
- 50-50 클럽
- 60-60 클럽
- 70-70 클럽
20-50 클럽- 야구 용어[1] 단, 한국의 경우 20-20-20의 한 요소인 시즌 3루타 20개를 충족시킨 선수가 아직 없다. 1위가 2014년 서건창이 기록한 17개, 2위가 1992년 이종운이 기록한 14개로, 30-30은 그나마 소수 있지만 20-20-20은 사실상 불가능의 영역으로 여겨지는 실정.[2] 35홈런 25도루로 30-30도 노려볼 법 한 기록이었다. 다만 도루의 경우 25개를 성공하는 동안 12개를 실패하는 등 성공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3] 그러나 박경완은 2001년 포수 부문 KBO 골든글러브를 홍성흔에게 밀려 수상하지 못했는데 당연히 큰 논란이 있었다.[4] 첫 달성이지만, 당시에는 야구 전문지인 <주간야구> 외에는 이 기록에 주목하는 이들이 드물었다.[5] 18세 11개월 5일[6] 놀랍게도 프로 1년차에 달성한 기록이다. 더구나 20-20 클럽 가입은 데뷔 후 71경기 만에 기록하며 역대 최초로 전반기에 이 기록을 세웠다.[7] 부상 때문에 96경기만 출장하고도 달성했다.[8] 6명으로 최다. 대표적 타고투저 시즌이다.[9] 68경기[10] KBO 최초 시즌 20도루 연속 성공 기록도 달성했다.[11] 39세 2개월 22일[12] 여담으로 박재홍은 이 기록에서 독보적이다 보니 누적 200홈런 200도루를 동시에 기록했다. 홈런은 300개, 도루는 267개라서 300-300까지는 아쉽게도 기록하지 못했다. 200홈런-200도루를 기록한 또다른 이는 박용택이며 이쪽은 200홈런-300도루를 기록하였다. 양준혁도 351-193, 이종범도 194-510으로 부족하며 이 둘이 그나마 어느 쪽이든 몇 개 부족하여 근사치인 수준. 다만 이종범은 NPB기록을 포함하면 221-563으로 달성했다. 양준혁은 거포치고는 달리는 선수였고, 이종범이 도루왕치고 파워가 있는 선수였음을 놓고 보면 박재홍과 박용택의 누적 200-200이 얼마나 어려운 기록인지 알 수 있다.[13] 박건우는 2016년에도 20-20에 도전했었는데 홈런은 20개로 충족했으나 도루는 3개가 부족했다. 그나마 1년 뒤에 20-20을 달성하며 아쉬움은 달랠 수 있었다.[14] 그러나 후에 오타니 쇼헤이가 아메리칸 리그 최초로 45-25(+100R)을 달성했을 때는 미국 모든 스포츠 언론에서 대서특필을 하였다. 뭐 이쪽은 투타겸업이니 기록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할만도 하다.
애초에 40-20인건데 당연하지...[15] 홈런-도루 20-20도 달성한 적은 있다. 2012~2013 2년 연속. 물론 해당 시즌 모두 사구 역시 20개를 넘겨서 20-20-20이라는 초유의 기록도 나왔다.[16] 참고로, 홈런-사구 20-20은 2010~2013, 2016, 2018~2021시즌에 기록했으며, 2009년에는 홈런 1개가 모자라서, 2017시즌과 2022시즌엔 사구 1개가 모자라서 홈런-사구 20-20을 달성하지 못했다. 4년 연속만 2회라는 점도 가공할 만하다(...).[17] 이전에 달성한 3명의 선수들은 모두 해당 시즌에 30-30 이상을 달성하였고 김도영 역시 30-30을 달성했다.[18] 2011년 기준, 최고의 공격포인트 제조기라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나 리오넬 메시같은 경우만 봐도 이들은 해당 리그에서는 엄연히 외국인 선수다. 물론 메시는 이후에 스페인 국적을 취득하였지만. 이전의 앙리나 베르캄프와 같은, 아스날 무패우승의 주역이었던 선수들도 역시 엄밀히는 외국인 선수로 분류할 수 있다. 한국프로축구만의 트렌드는 아닌 것이다.[19] 한국프로축구의 기록은 6강 및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K리그 챔피언결정전 모두 정규리그의 연장선으로 본다. 강팀만 만난다는 점을 생각하면 기록 단축에 큰 도움이 되진 않는다.[20] 2012년 몰리나가 18골 19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단일 시즌 20-20에 근접했던 유일한 사례이다.[21] 뤼트 판니스텔로이가 1골 차이로 득점왕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