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8:36:34

매니 마르티네스

매니 마르티네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2) 파일:미국 국기.svg
(3)(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3)(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3)(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3)(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3)(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매니 마르티네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0번
조 클링크
(1996)
매니 마르티네스
(1996)
그렉 맥커티
(1996~1997)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34번}}}
앤디 반 슬라이크
(1995)
<colbgcolor=#294898> 매니 마르티네스
(1996)
하워드 배틀
(1996)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30번
에디 윌리엄스
(1997)
매니 마르티네스
(1998)
워렌 모리스
(1999~2001)
몬트리올 엑스포스 등번호 31번
숀 보스키
(1998)
매니 마르티네스
(1999)
브레드 리그비
(2000)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9번
감병훈
(1994~2000)
마르티네스
(2001)
김문수
(2003~2004)
LG 트윈스 등번호 25번
린튼
(2001.7.23.~2001)
마르티네스
(2002~2003)
마틴
(2004)
}}} ||
}}} ||
파일:마르티네스.png
매니 마르티네스
Manny Martínez
본명 마누엘 마르티네스 데 헤수스
Manuel Martínez De Jesús
출생 1970년 10월 3일 ([age(1970-10-03)]세)
도미니카 공화국 산페드로데마코리스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페드로데마코리스 고등학교
신체 193cm, 107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OAK)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1996)
필라델피아 필리스 (1996)
피츠버그 파이리츠 (1998)
몬트리올 엑스포스 (1999)
삼성 라이온즈 (2001)
LG 트윈스 (2002~2003)

1. 개요2. 선수 경력3. 여담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LG 트윈스에서 활약했던 외국인 선수.

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

1988년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에 입단한 후 1995년 시카고 컵스로 팀을 옮겼고 1996년 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해 메이저리그에 데뷔했으나 그 해 웨이버 공시를 통해 필라델피아 필리스로 이적했고, 시즌 후 방출된다. 이후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입단해 1997년 AAA에서 .331 16홈런 66타점 17도루라는 빼어난 성적을 기록했고, 이듬해인 1998년에 다시 빅리그로 복귀해 피츠버그의 백업 외야수로 뛰며 .250 6홈런 24타점을 기록한다.[1] 시즌 후 다시 웨이버로 몬트리올 엑스포스로 이적해 1999년에는 팀의 주전 중견수로 뛰었으나 0.245 2홈런 26타점 19도루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고 이듬해인 2000년 초 팀에서 방출된다. 이후 플로리다 말린스에 입단해 마이너리그 트리플A에서 뛰었으나 빅 리그로 올라가지는 못했다.

2.2. KBO 리그

2.2.1. 삼성 라이온즈

2.2.1.1. 2001 시즌
2001 시즌 기록
경기 타석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wRC+
128 550 482 134 27 2 25 93 96 50 79 12 28 0.278 0.349 0.498 0.847 2.08 109.6
결론부터 말하자면 WAR 2.08에 wRC+ 기준으로 109.6[2], 즉 리그에서 평균보단 위인 성적을 기록했다. 홈런도 25개에, 28개 도루를 찍을 만큼 빠른 발 그리고 득타점 모두 세자릿수 가깝게 기록하는 등 꽤 무게감 있는 타자로서 활약했으나 결국 연봉 협상에서 합의를 보지 못하며 삼성을 떠나게 된다.

2001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 중견수리드오프로 뛰면서[3] .278 25홈런 96타점 28도루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는데 타점 자체가 팀 내 타점 1위였다. 이승엽마해영이 나란이 95타점이라[4] 호타준족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했다.
파일:2001년 KBO 역대 9호이자 외국인선수 최초로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한 매니 마르티네스.png
외국인 선수 최초로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한 매니 마르티네스
특히 2001년 5월 26일 대구 해태 타이거즈전에서는 외국인 선수 최초의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기도.

2.2.2. LG 트윈스

파일:LG 마르티네스.png
LG 트윈스 시절
하지만 연봉 협상 결렬로 삼성과의 재계약은 실패했고, 대신 공격력 보강을 노리던 LG 트윈스가 그를 영입하게 된다.

2002년에는 개막전에서 어이없는 부상을 당했는데.. 그게 하필 그 전에 홈팀이었던 대구구장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라벨로 만자니오톰 퀸란의 출전으로 선발 라인업에서 빠진 가운데[5] 어린이 팬에게 팬서비스를 해주다가 대구구장 철망에 손바닥이 찢어졌다고 한다.[6] 그 이유로 5월 중순에 가서야 출장을 하게 되었다. 4번타자로 주로 나서면서 .279 15홈런 69타점 22도루의 무난한 성적을 기록했다. 전년에 비하면 홈런숫자가 아쉽겠지만 1달넘게 결장했으며, 잠실과 대구의 구장차이도 있었다 무엇보다 포스트시즌에서의 활약이 빛났는데, 현대 유니콘스와의 준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김수경에게 만루홈런을 때려내며 .팀을 승리로 이끈 것을 시작으로 이후 KIA 타이거즈와의 플레이오프 4차전까지 포스트시즌 12경기 연속안타을 기록했다. 비록 팀은 2002년 한국시리즈에서 친정 팀 삼성 라이온즈에 패하면서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마르티네스는 그 활약을 인정받아 재계약에 성공한다.[7]

2003년에도 .273 17홈런 70타점 27도루로 밥값은 했으나 팀은 6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이해 LG 공격이 역대급 최악을 찍으면서 견제에 시달렸다. 이후 LG가 외국인 투수 보강을 위해 마르티네스와의 재계약을 포기하면서 3년간의 한국 생활을 마치게 된다. LG에서의 홈런수가 삼성때에 비해 적었던 것은 당시 대구구장의 펜스거리가 짧았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도 있다.[8]

2014년 삼성에서 뛰었던 야마이코 나바로의 말에 의하면 도미니카 윈터 리그 팀에서 마르티네스로부터 코칭을 받았다고 한다.

3년 내내 wrc+ 113~114로 일정한 활약을 했다.[9] 그만큼 상수가 될만큼 꾸준하고 적절한 장타력에 주루나 수비도 훌륭했지만, 결과적으로 평균보다 약간 잘 치는 타자 그 이상은 아니었다는 것. 포지션도 이병규가 풀타임 중견수였던 관계로 코너 외야를 주로 봤기 때문에[10] 더더욱 가치가 떨어지는 부분이다. 겉보기에 스탯은 그럴듯하나 실속이 떨어지는 비슷한 사례로 2014~16 KIA에서 활약하던 브렛 필이 있다.

3. 여담


0:03부터 김병준과 마르티네스의 발차기 장면이 나온다.

2001년 8월 18일 한화의 김병준이 매니 마르티네스에게 대놓고 위협구를 던진 뒤 이에 마르티네스가 흥분해 마운드로 달려들자 이단옆차기로 맞받아쳤고, 김병준은 결국 8경기 출장+제제금 200만원이라는 징계를 부여받았다.

이경기 이후로 부터 타격 부침이 와서 슬럼프에 시달리게 된다 날씨가 시원해질 때쯤 다시 살아났다.

컴투스의 야구게임 컴투스프로야구V시리즈에선 이름 사용권 제한으로 인해 이름이 마레탕누시라는 끔찍한 혼종으로 변경처리 되었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1996 SEA 9 17 .235 4 2 1 0 3 3 2 .350 .471 .82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1996 PHI 13 36 .222 8 0 2 0 0 2 2 .263 .333 .59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1998 PIT 73 180 .250 45 11 2 6 24 21 0 .290 .433 .723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1999 MON 137 331 .245 81 12 7 2 26 48 19 .279 .341 .62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2001 삼성 128 482 .278 134 27 2 25 96 93 28
(4위)
.349 .498 .847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2002 LG 109 409 .279 114 19 1 15 69 59 22
(5위)
.357 .440 .797
2003 131 483 .273 132 29
(5위)
2 17 70 70 27
(4위)
.350 .447 .798
<colbgcolor=#ffff88> MLB 통산
(4시즌)
232 564 .245 138 25 12 8 53 74 23 .284 .374 .658
KBO 통산
(3시즌)
368 1374 .277 380 75 5 57 235 222 77 .352 .463 .315

5. 관련 문서


[1] 이 해 피츠버그의 주전 좌익수였던 알 마틴유격수 루 클리어도 훗날 LG 트윈스에서 뛰게 된다.[2] 쉽게 말하자면 wRC+는 높을수록 좋고, 100이 정확히 리그 평균으로 평가되니 매니 마르티네스는 평균보다 살짝 위였다고 보면 편하다.[3] 다만 2001시즌 삼성은 라인업을 유동적으로 운영해서 매니 마르티네스가 중심타선에 들어가는 일도 많았다. 그해 8월 17일 삼성이 KBO최초로 4타자 연속홈런을 칠때도 마르티네스가 4번타순에서 두번째 홈런을 쳐냈다.[4] 그 해에는 타이론 우즈, 펠릭스 호세, 제이 데이비스, 틸슨 브리또, 루이스 산토스 등이 활약하여 조금은 부족해 보이긴 했다. 하지만 도루로 그들이 부족한 주루능력을 과시하기도 했다.[5] 2001년~2002년 2시즌 동안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외국인 선수 3명 보유에 2명 출전 제도였다. 이후 2003년부터 다시 2명 보유로 줄어들면서 10년간 유지되어 오다가 2014년부터 다시 3명 보유 2명 출전으로 환원된다.[6] 상상이 안 된다면 2019년 사직 원정에서 사직야구장의 철망 때문에 손바닥 부상을 당한 kt 강백호를 떠올리면 된다.[7] 당시 우승영상을 보면 마르티네스가 삼성 선수들을 끌어안으며 축하해주는 장면이 잡히기도 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불과 1년 전까지 삼성에서 뛰었던 것도 있었고...[8] 1997~2006년의 대구구장은 95-117-95[9] 대구와 잠실의 구장차이 보정에다가, 02,03 시즌은 리그 평균자책점이 0.5나 낮아질 정도로 01시즌보다는 투고였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수치가 나온 것.[10] 단 이병규가 부상으로 이탈한 2003년에는 알칸트라에게 우익수 자리를 넘겨주고 대신 중견수를 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