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2:49:19

디트릭 엔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0 김유영 · 3 켈리 · 12 김대현 · 16 정우영
· 18 백승현 · 26 이상영 · 29 손주영 · 34 엔스
· 35 김영준 · 42 김진성 · 45 김진수 · 49 정지헌
· 50 이지강 · 54 유영찬
2군
1 임찬규 · 11 함덕주 · 13 최동환 · 20 최원태
· 21 이우찬 · 25 배재준 · 28 윤호솔 · 37 이믿음
· 39 박명근 · 40 이종준 · 46 강효종 · 47 김윤식
· 48 진우영 · 58 성동현 · 61 우강훈 · 65 이지훈
· 100 강민 · 101 조건희 · 102 김형욱 · 103 김종우
· 104 강석현 · 105 오승윤 · 109 김단우 · 111 허용주
· 114 백선기 · 115 김의준 · 119 하영진 · # 최용하
· # 김주온
최종 편집: 2024년 6월 20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디트릭 엔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로하스
벤자민
쿠에바스
kt wiz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1] 엘리아스 내복사근 부상 임시 대체 선수[2] 크로우 팔꿈치 부상 임시 대체 선수[3] 산체스 옆구리 부상 임시 대체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3)(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3)(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3)(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00> 1982 1983~1984 1985 1986 1987
이길환 하기룡 정삼흠 오영일 김건우
<rowcolor=#ffff00> 1988 1989 1990 1991 1992
김용수 김기범 최일언 김용수 김기덕
<rowcolor=#fff> 1993~1994 1995~1996 1997~1998 1999 2000~2001
김태원 이상훈 김용수 손혁 해리거
<rowcolor=#fff> 2002 2003~2004 2005 2006 2007
만자니오 이승호 장문석 최상덕 박명환
<rowcolor=#fff> 2008 2009 2010 2011 2012
브라운 봉중근 곤잘레스 리즈 주키치
<rowcolor=#fff> 2013 2014 2015~2017 2018~2019 2020
리즈 김선우 소사 윌슨 차우찬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켈리 플럿코 켈리 엔스
}}}}}}}}}}}} ||

디트릭 엔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47번
크레이그 브레슬로우
(2017)
<colcolor=#fff> 디트릭 엔스
(2017)
웨스 존슨
(2019~2022)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75번
결번 디트릭 엔스
(2021)
크리스토페르 오간도
(202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75번
오니자키 유지
(2021)
디트릭 엔스
(2022~2023)
오쿠무라 코이치
(2024~)
LG 트윈스 등번호 34번
김대현
(2023)
엔스
(2024~)
현역
}}} ||
}}} ||
파일:엔스 20240209-001[20240221014259179].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34
디트릭 엔스
Dietrich Enns
본명 디트릭 아서 엔스[1]
Dietrich Arthur Enns
출생 1991년 5월 16일 ([age(1991-05-16)]세)
미국 일리노이 주 프랭크포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링컨웨이 이스트 고등학교 -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
신체 185cm / 95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2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583번, NYY)
소속팀 미네소타 트윈스 (2017)
탬파베이 레이스 (2021)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22~2023)
LG 트윈스 (2024~)
등장곡 Dirty Heads - 《Oxygen》[2]
계약 1yr / $1,000,000[3]
연봉 2024 / $600,000
가족 아내, 슬하 1녀
종교 개신교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트릭 엔스/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평균 147~149km, 최고 150km대 중반까지 찍히는 포심 패스트볼이 인상적인 좌완 파이어볼러로, 제2구종인 커터 역시 꽤 위력적이다. 포심과 커터 두 구종의 구사율이 80%에 가깝고, 제3구종으로 쓰는 체인지업과 투심과 커브, 슬라이더를 간간이 던진다. 다만 체인지업의 완성도가 높지 않고 제구도 다소 기복이 있는 편. 이로 인해 마이너 리그나 일본프로야구에서는 이닝 소화력에서 문제를 드러내기도 했으며, 주무기인 포심과 커터마저 2023년에는 구종가치에서 음수를 기록하는 등 매우 좋지 못했고, 땅볼 유도율이 50가 넘어가는 것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체 뜬공 타구 중 피홈런 비율이 2022년에는 8.9%, 2023년에도 7.6%를 기록하였다. 9이닝당 피홈런은 2022년에 1.03, 2023년에는 1.00. 그래도 외야가 무지막지하게 넓어 홈런 파크팩터가 낮은 잠실을 홈으로 사용하며, 구위와 구속 자체로 압도가 가능한 한 단계 아래인 한국에서[4][5] 어떤 모습을 보일지도 관건이다.

염경엽 감독 언급대로 확실히 열린 귀를 가지고 있고, 지도자들을 존중하며 자신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수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고 152㎞의 빠른 직구와 커터 위주의 피칭을 하며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 등을 섞어 타자들을 요리한다.

2024년 4~5월에는 서드 피칭 문제로 인해 KBO 리그에서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다가 체인지업을 배우고, 투구 판 위치를 조정하고, 피치 디자인을 바꾸는 등 KBO 리그에서 성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성적으로 이어지기 시작했다. 단, 체인지업은 결국 버렸다.

4. 연도별 성적

4.1. MLB

파일:MLB 로고.svg 디트릭 엔스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 연도 경기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17 MIN 2 0 0 0 0 4 6.75 7 2 1 0 2 2.00 71 -0.1 -0.1
<rowcolor=#fff> 연도 경기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21 TB 9 2 0 2 0 22⅓ 2.82 17 1 6 0 25 1.03 142 0.6 0.2
MLB 통산
(2시즌)
11 2 0 2 0 26⅓ 3.40 24 3 7 0 27 1.177 121 0.5 0.1

4.2. NPB

파일:NPB 로고.svg 디트릭 엔스의 역대 NPB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 경기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탈삼진 WHIP WAR
2022 세이부 23 10 7 0 0 122⅓ .588 2.94 103 14 45 92 1.21 1.2
2023 12 1 10 0 0 54 .091 5.17 53 6 23 30 1.41 -0.2
NPB 통산
(2시즌)
35 11 17 0 0 176⅓ .393 3.62 156 20 68 122 1.27 1.0

4.3. KBO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디트릭 엔스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24 LG
KBO 통산

5. 여담

6. 관련 문서


[1] 현지 중계 발음 참조. 독일계 남성 인명인 디트리히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영미권에서는 '디트릭'으로 발음한다. 국내 언론에서는 원어인 독일어식 표기로 '디트리히'라고 자주 표기하나 잘못된 표기이며, LG가 영입을 발표하며 배포한 공식 보도자료에서도 '디트릭'으로 표기했다.[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에도 이 등장곡을 썼다.[3] 계약금 $300,000 / 연봉 $600,000 / 인센티브 $100,000[4] 단 말이 한 단계 아래지 NPB는 전형적인 투고타저 리그로, 타고투저인 KBO 리그와는 아예 리그 유형 자체가 달라서 확실한 구위로 찍어 눌러야만 어느 정도 성공을 장담할 수 있다. 예전이라면 모를까 현재의 KBO 수준이라면 NPB에서 10승 한 번 했다고 절대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5] 더 이상은 NPB에서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해도 마냥 KBO에서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시대가 온 지는 오래다. 대표적으로 아롬 발디리스가 있는데, 이 선수도 2루타 1위에 홈런 3위도 한 번씩 해봤고, 6시즌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때렸음에도 삼성에서의 활약은 잠깐 반짝을 제외하면 기대 이하였다. 즉 물론 선수의 스타일 차이도 크겠지만, NPB에서 확실히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성적을 가져와야 한 단계 아래인 KBO라고 해도 어느 정도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6] 스미스는 고의적으로 꾀병을 부렸던 악질 먹튀여서 엔스, 오그레디 사례와는 다르다.[7] 심지어 좋지 못한 실력을 가졌으나 워크에식이 좋다는 점까지 똑같다.[8] 맥키넌과 중장거리 타자에 컨택이 좋은 점이 같다.[9] 맥키넌 입장에서는 팀 동료들이나 팬들은 좋았다고 하며 실제로 팀원들이랑 친하게 지내고 팬들과도 사인을 통해 소통하던 모습을 보면, 아무래도 연봉협상에서 이견을 보인 구단에 대한 서운함일 것으로 추정된다.[10] 차우찬처럼 좌완투수에다가 구속도 빠른 편인데, 홈런을 많이 맞고, 라이온즈에서 생활에서 소외감을 느꼈다는 언급을 하지 않았고, 라이온즈에서 LG 트윈스로 이적했다는 점이 같다.[11] 심지어 LG 이적 후 부진했던 차우찬과의 커리어와도 비슷하다. 다만 일본 세이부 라이온즈 마지막 해에도 부진하고 한국으로 와 KBO 입성 후 첫 해부터 무너지고 있는 엔스와 달리 차우찬은 삼성 마지막 해에서 에이스로 활약하고 LG와 계약해 첫 해 만큼은 잘 해주었고, 18시즌 마지막 등판에서의 역투를 보여주며 일부 LG팬들에게는 동정심을 얻고 있다. 게다가 차우찬의 부진 원인은 삼성 시절과 LG 시절의 혹사가 주된 원인이었기 때문에 차우찬보다는 감독을 까는 여론이 많다.[12] 그도 그럴것이 애초에 엔스는 팀 내 1선발-100만달러로 큰 기대를 안고 데려온 투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