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2:43:14

톰 퀸란

톰 퀸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7f55><tablebg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현대 유니콘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ab93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조스트롱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트쿨바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 파일:미국 국기.svg
카날리(1) 파일:미국 국기.svg
바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퀸란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1) 파일:미국 국기.svg
브링클리(2)(1)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2) 파일:미국 국기.svg
테일러 파일:미국 국기.svg
퀸란 파일:미국 국기.svg
필립스(1) 파일:미국 국기.svg
엔리케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토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베라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프랭클린(2)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바워스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클린(1) 파일:미국 국기.svg
브룸바(2) 파일:미국 국기.svg
브룸바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리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캘러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캘러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브룸바 파일:미국 국기.svg
캘러웨이(1)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중 이적/방출
(2)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3)(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3)(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3)(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치리노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톰 퀸란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2.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4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svgKBO 한국시리즈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유동
OB 베어스 / 외야수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유두열
롯데 자이언츠 / 외야수
-[a] 김정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준환
해태 타이거즈 / 외야수
문희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장채근
해태 타이거즈 / 포수
1992 1993 1994 1995 1996
박동희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김민호
OB 베어스 / 내야수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구대성
한화 이글스 / 투수
퀸란
현대 유니콘스 / 내야수
우즈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지명타자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2007 2008 2009 2010 2011
김재현
SK 와이번스 / 지명타자
최정
SK 와이번스 / 내야수
나지완
KIA 타이거즈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정수빈
두산 베어스 / 외야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한동민
SK 와이번스 / 외야수
오재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양의지
NC 다이노스 / 포수
박경수
kt wiz / 내야수
2022 2023 2024
김강민
SSG 랜더스 / 외야수
오지환
LG 트윈스 / 내야수
김선빈
KIA 타이거즈 / 내야수
[a]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인한 한국시리즈 미개최.
}}}}}}}}} ||

파일:스포츠서울.png 2000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매직글러브

보유 기록
한 시즌 최다 삼진 173삼진[1]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6번
그렉 마이어스
(1989)
톰 퀸란
(1990)
결번
결번 톰 퀸란
(1992)
터너 워드
(1993)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30번}}}
제프 만토
(1993)
톰 퀸란
(1994)
케빈 플로라
(199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23번}}}
그렉 해리스
(1995)
톰 퀸란
(1996)
토드 리치
(1997~1998)
{{{#fab93d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7번}}}
정현희
(1999)
퀸란
(2000~2001)
신동민
(2003)
LG 트윈스 등번호 24번
해리거
(2001)
퀸란
(2002~2002. 5. 2.)
케펜
(2002. 5. 3.~2002)
}}} ||
}}} ||
파일:attachment/tom3b2.jpg
미네소타 트윈스 시절
파일:attachment/tom3b.jpg
2000년 한국시리즈 MVP 수상 당시의 모습
톰 퀸란
Tom Quinlan
본명 토머스 레이몬드 퀸란
Thomas Raymond Quinlan
출생 1968년 3월 27일 ([age(1968-03-27)]세)
미국 미네소타 주 세인트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힐머레이 고등학교
신체 190cm, 90kg
포지션 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6년 드래프트 27라운드 (전체 686번, TOR)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1990, 1992)
필라델피아 필리스 (1994)
미네소타 트윈스 (1996)
현대 유니콘스 (2000~2001)
LG 트윈스 (2002)

1. 개요2. 선수 경력3. 그 후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현대 유니콘스, LG 트윈스에서 활약한 외국인 타자.

2. 선수 경력

1986년 드래프트에서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는데, 당시 NHL과 대학리그에서도 관심을 많이 가졌다고 한다. 아이스하키 선수로서의 포지션은 골키퍼. 엄청난 속도에다가 크기까지 작은 을 막아내야 했을 퀸란의 수비가 뛰어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메이저리그에서 자주 뛰지는 못했고, 가끔씩 백업 멤버로 로스터에 등록되는 정도였다. 1992년 당시 소속팀이던 토론토 블루제이스1992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해 우승반지를 낀 적이 있다.

메이저리그 커리어는 4시즌 42경기 58타수 9안타(2루타 3개, 홈런 1개) 5타점 8득점 6사사구 26삼진 타/출/장 .155/.234/.259이다.

2.1. 현대 유니콘스

2000년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였다. 이후 주전 3루수로 뛰었는데, 그 스탯이 심히 괴상하다. 타율은 .236으로 멘도사 라인보다 살짝 높은 수준이고, 출루율도 겨우 3할 턱걸이(.302)에 그쳤다. 거기다가 삼진은 173개[2]로 아직까지도 깨지지 않은 한 시즌 최다 삼진 기록의 보유자이다. 하지만 37개의 홈런을 기록한 장타력[3]이 있었고, 수비능력 역시 상당히 뛰어났다.

사실 기록으로 보면 누가 봐도 공갈포 그 자체. 비슷하게 공갈포 외인 소리를 들었던 트레이시 샌더스는 사실 볼넷도 잘 고르는 전형적인 OPS 히터였으나 시대의 한계로 평가절하된 감이 있었는데, 퀸란은 통산 출루율도 .315에 불과해 그냥 공갈포 맞았다. 그나마 장타율은 5할에 근접해(.490) 사실상 장타툴로 먹고 사는 선수였다. wRC+도 2년 동안 한 번도 100을 못 넘겼다. 성적을 보면 왜 2년씩이나 썼는지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있으나, 퀸란은 철벽과 같은 3루 수비로 약점을 채워주었다. 1루로 빨려들어가는 것 같은 빨랫줄 같은 송구에, 종종 앉아서 송구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해설자들이 감탄을 내뱉었을 정도였다. '모든 타구가 3루로 갔으면'이라고 생각될 정도의 철벽같은 수비력을 지녔기 때문에 2000년 주전 3루수로 활약했으며 이 과정에서 전년도 주전 3루수였던 박종호가 2루수로 옮겼다. 참고로 정성훈은 그때까지만 해도 해태 소속이었다. 그리고 퀸란이 3루 붙박이로 가면서 박진만-박종호라는 길이 남을 미들 인필더 콤비가 탄생했다.

아무튼 수비와 달리 타격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고 당시 현대엔 박재홍[4], 박경완[5], 박종호[6] 등 탑급 타자들이 즐비했던 상황이라 결국 하위타순으로 밀렸다. 사실 시즌 초반에는 팀 동료 박경완과 그리고 두산의 타이론 우즈와 홈런 1,2위를 다툴 정도로 클린업 타선이였지만, 약점이 노출되어 한동안은 하위타선에서 뛰었다. 그래도 전체 3위에 해당되는 37홈런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퀸란이 활약한 때는 바로 그 해 한국시리즈였다. 드림리그 우승[7]팀이었던 현대가 PO에서 삼성을 격파하고 결승에서 만난 상대는 드림리그 2위팀 두산 베어스. 1~3차전을 따내며 쉽게 우승컵을 가져가 싶었지만, 4~6차전을 두산이 내리 따내며 리버스 스윕에 단 한경기 남아있던 상황이었다. 그리고 운명의 7차전에서 맹활약한 선수가 바로 퀸란. 퀸란은 2회말 0:0에서 먼저 달아나는 2타점 2루타를 쳐냈고, 이후 2:2로 두산이 따라붙자 4회말 다시 앞서가는 쓰리런을 작렬하고, 8회말 쐐기 솔로홈런까지 때려내며 최초의 외국인 한국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8] 퀸란은 2000년 플레이오프에서 타/출/장 .308/.438/.692 13타수 4안타(1홈런) 2타점을 기록하였으며, 이 기세를 한국시리즈까지 이어나가 타/출/장 .346/.370/.731 26타수 9안타(3홈런) 10타점을 기록하여, 포스트시즌 11경기 동안 타/출/장 .333/.395/.713 39타수 13안타(4홈런) 12타점을 기록하였다. 타율과 출루율의 경우 페넌트레이스 때보다 약 1할이 높았고, 장타율은 무려 약 2할이나 높았다. 비율로만 보면 페넌트레이스에서 경기당 0.28개(133경기 37홈런)씩 때려내던 홈런포를 포스트시즌에 진입하자 경기당 0.36개(11경기 4홈런)씩 쏘아올렸다.

2001년에는 작년에 비해 피삼진은 좀 줄었으나 160개로 현재까지 한 시즌 최다 삼진 4위에 올라있다. 즉, 1위, 4위를 모두 가지고 있는 선수라는 것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기량이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9] 이외에도 팀 케미스트리를 깨트리는 행동도 있었다고 한다. 결국 시즌 종료 후 현대가 재계약을 포기했고 LG 트윈스가 그를 영입했다.

2.2. LG 트윈스

LG 트윈스가 퀸란을 영입했지만 2002년엔 13경기 21타수 무안타의 성적을 기록했고 4월 23일에 2군행 통보를 받은 뒤 5월 3일에 웨이버 공시되어 방출당했다.

사실 2001시즌 종료 후 현대와 재계약 하지 않은 이유는 현대의 판단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본인이 은퇴를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LG는 은퇴를 생각하던 용병을 데려오다니 참 답이 없는 행동을 한 셈이다.

한편, 현대2002년에 퀸란의 공백을 실감한 채 그 해 열린 준플레이오프에서 2패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결국 프랜차이즈 박재홍을 주고 정성훈을 사오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정성훈도 공수에서 활약했으나, 팬들의 기억에 퀸란의 임팩트에는 미치지 못했다.

여담으로 LG에서 한 가지 특별한 기록을 세웠는데, 역대 최다타석 시즌타율 0.000 보유자라는 것. 28타석 21타수 무안타인데 이보다 많은 타석을 가진 선수들은 적어도 안타를 한 개라도 때려냈다. 그 뒤를 잇는 선수는 25타석 20타수 무안타의 96염경엽과 99김승관.

3. 그 후

LG에서 퇴출된 후, 현역에서 은퇴하고 개인 사업을 하고 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2021년 기준 독립리그의 한 팀에서 동생 롭 퀸란과 같이 일하는 것으로 보인다. #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1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2000 현대 133 .236 115 23 2 37
(3위)
91 74 2 36 11 173
(1위)
.302 .520 .822
2001 123 .242 100 13 1 28 66 66 0 49 10 160
(1위)
.335 .481 .81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2002 LG 13 .000 0 0 0 0 0 0 0 3 3 10 .222 .000 .222
KBO 통산
(3시즌)
269 .233 215 36 3 65 157 140 2 88 24 343 .315 .490 .806

5. 여담

6. 관련 문서


[1] 이와 대척점을 이루는 선수는 한 시즌 8삼진을 당한 김일권.[2] 경기당 약 1.3개의 삼진을 당했다. 144경기로 환산하면 187삼진.[3] 그의 기록은 KBO 역대 시즌 30홈런 이상 기록자 중 최저 타율이다. 2위는 2017년의 제이미 로맥.[4] 개인통산 3번째 30-30 클럽 가입, 2000년 타점왕(115타점)[5] 2000년 홈런왕 (40개)[6] 2000년 타격왕(0.340), 한 마디로 2000년 현대는 타격왕, 홈런왕, 타점왕을 모두 서로 다른 선수로 보유했다. 그리고 이 기록은 14년 뒤 이 팀의 후신격인 팀에서 거의 비슷하게 기록해낸다. 홈런왕 타점왕 박병호, 타격왕, 최다안타 서건창, 유격수 최다홈런 강정호.[7] 당시엔 8개 팀이 드림리그와 매직리그 두 리그에 양분되어 있는 양대리그 제도였다.[8] 참고로 이듬해에도 외국인 KS MVP가 나왔는데, 바로 타이론 우즈다.[9] 물론 기대했던 장타력이 조금은 떨어져서 그렇지 출루율의 경우 약간의 상승을 하긴 했었다.너무 들쑥날쑥해서 그렇지.[10]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11] 참고로 랍 퀸란은 2004년2006년엔 3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두 시즌 모두 부상 때문에 풀타임을 소화하지 못했고, 2010년을 끝으로 메이저리그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렇게 말하니 별 볼일 없는 선수 같지만 나름 8년간 458경기를 출장했고 포스트시즌에서 홈런도 쳐본, 성공한 커리어를 지닌 선수이다. 그리고 2005년 이후로는 마이너로 내려간 적도 없는 나름 풀타임 메이저리거였다. 주전이 아니었기에 많이 못 나온 것뿐.[12] 참고로 레어 카드 능력치는 83/63/66/83/83인데 재평가로 추가된 것이고 스페셜 카드는 80/60/62/78/78로 모든 선수들 중 컨택트 꼴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