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9:22:23

C. 20x 시리즈

MC. 200 사에타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파일:Italy-Royal-Airforce.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전투기 <colcolor=#373a3c><colbgcolor=#b0e000> 복엽기 CR.30, CR.32, CR. 42 팔코, Ro.44
단엽기 C. 20x 시리즈, Re. 200x 시리즈, G.50 프레치아, G.55 첸타우로, D.520F, Bf 109G, 카프로니 캄피니 N.1z
중전투기 Ca.331, SM.91, SM.92, G.58, Bf 110G, Do 217NG, 보파이터 Mk.IFC, P-38C
폭격기 경폭격기 블렌헤임 Mk.IVC
中폭격기 Ca.311, Ca.135, BR.20 치코냐, SM.79 스파르비에로, SM.84, SM. 81 피피스트렐로, Z.1007 알치오네, Z.1018 레오네, Z.515, Ca.331
重폭격기 SM.82, P.108B, P.133, Z.506, Z.511, Z.516, Z.1011, B-24C
급강하 폭격기 Z.501, SM.85, SM.93, FC.12, Ca.355, Ba.201, Ju 87 피치아텔로G
공격기 Ba.65, Ba. 88, Ca.335, P.108A
수송기 SM. 79, SM. 75, SM. 82, SM. 95, P.108T, AL-12P, Ju 52G
정찰기 Fi 156G
※ 윗첨자 F: 프랑스 기체, G: 독일 기체, Z: 제트기, 취소선: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플랜, C: 노획기체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1. 개요2. 마키 C. 200 사에타
2.1. 산적한 문제점들2.2. 전장에서의 활약
3. 마키 C. 202 폴고레
3.1. 호평3.2. 문제점3.3. 후일담
4. 마키 C. 205 벨트로5. 마키 C. 206 / C. 207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굴지의 항공기 제작사였던 마키(Macchi)[1]사에서 개발한 전투기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왕립 공군의 주력전투기로 선정됐던 기종들이다.

영국슈퍼마린 스핏파이어처럼 슈나이더 수상기 대회에 참여했던 항공기를 바탕으로 개발이 되었으며, 바탕이 되는 항공기는 1934년 대회에서 최고속도 신기록을 세운 기체였다. 게다가 이 기록이 무려 50년간 안 깨졌다. 그런 점을 볼 때 항공기 설계 자체는 영국이나 독일에 비해서 뒤쳐지지 않는 수준이었다. 문제가 있었다면 이탈리아가 이걸 대량생산할 공업력이 안된다는 것.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사망한 이탈로 발보의 공백이 강력한 이유로 볼 수 있는데, 무솔리니와 그래도 말이 통하던 사람이 죽어버린 이후에 만들어진 항공기들이 꽤 쓸만했지만 이를 강력하게 밀어보려던 인물이 없었던 것이다.

C. 200, C. 202, C. 205 순으로 개발되었다. 보통 다른 기체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실제 전투기 개발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C. 200의 설계를 약간 고쳐서 C. 202가 개발되었고, C. 202의 설계를 약간 고쳐서 C. 205를 개발하는 식으로 진행이 되었다. 따라서 나무위키에서는 하나의 항목으로 합쳐서 서술한다. 참고로 MC. 20x는 마키(Macchi)사의 이니셜을 딴 것이고, C. 20x는 설계자는 마리오 카스톨디(Mario Castoldi)의 이름을 딴 것이다.

참고로 C. 20x 시리즈는 주익이 좌우 대칭이 아니다.[2] 왼쪽 날개가 오른쪽보다 21cm 더 길기 때문. 이런 설계를 하게 된 이유는 토크를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물론 양쪽 날개의 형태는 다르기 때문에 좌우 주익의 길이차이로 오는 성능 차이는 미미했다.[3]

2. 마키 C. 200 사에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cchi_MC-200_920901-F-1234P-073.jpg

사에타(Saetta)는 '천둥' 이라는 뜻이다.
Macchi C. 200 사에타
전장 8.25m
전폭 10.58m
전고 3.05m
익면적 16.82㎡
엔진 피아트 A.74 RC38 복열 14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이륙시 870마력
자체중량 1,964kg (전비중량 2,200kg)
최대속도 504km/h (고도 4,500m)
상승력 15.3 m/s
상승한도 8,900 m
항속거리 570km
무장 기수 상면에 브레다-SAFAT 12.7mm 기관총 2정, 정당 370발
생산량 양산기 1,151대+프로토타입 2대

이탈리아 공군에서 차기 전투기 사업을 추진할 때 Macchi 사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개발버전이다. 1937년에 개발되었으며 슈나이더 대회 우승팀에서 나온 기체답게 경쟁기체 따위 바르는 성능을 보여주며 1938년 이탈리아의 주력전투기로 채택됐다. 하지만 설계가 좋아도 제반 사정이 좋지 않았고 과정에 문제도 많았다.

2.1. 산적한 문제점들

당시 전투기 개발의 트렌드는 폐쇄식 조종석이었던 데 비해 C. 200은 개방식 조종석을 채택하고 있었다. 원래 최초 설계안에서는 폐쇄식 조종석을 상정하고 있었지만 결국 기술적 문제가 터져 온전히 설치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고, 당시 이탈리아 공군 조종사들의 폐쇄식 조종석에 대한 반발이 심했던 까닭에 폐쇄식 조종석의 도입을 아예 포기해버렸다. 그 결과 공군 조종사들의 불만은 잠재울 수 있었지만 고공에서는 산소부족과 추위에 시달렸고 조종석 보호를 위해 천으로 덮어둬야 되는 등 여러 불편한 사항에 직면했다. 일설에는 이 조종사들의 불만이 '바람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어처구니 없는 이유라는 소문도 있지만, 정확히는 폐쇄식 조종석의 캐노피가 상당히 뻑뻑하게 설계되어 비상탈출시에 지장이 있다는 점, 그리고 조종석을 덮는 곡면 유리기술이 부족한 탓에 외부전경이 굴절되거나 아예 안보이는 문제 때문이었다.

게다가 항공기 설계에 비해 장착된 엔진이 심하게 후달렸다. 당초 설계는 1,000마력급 수랭식 엔진을 장착할 예정이었으나 1932년 항공성의 결정으로 공랭식 엔진만 강제로 사용하게 되었다.[4] 당시 이탈리아는 수랭식 엔진 위주의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고작 840마력의 공랭식 엔진으로 버텨야 하는 상황이 터졌던 것.[5] 이로 인해 엔진출력이 후달리는 상황으로 이어졌고 이는 Breda-SAFAT 12.7mm 기관총을 2정밖에 설치할 수 없어 심각한 화력부족 상황을 야기하고 말았다. 그나마 일본의 Ki-43 하야부사 초기형처럼 7.7mm 2정보다 나은 것이 다행이라 할 수 있으나 12.7×99mm를 사용하는 미군의 M2계열 기관총과 달리 Breda-SAFAT는 12.7×81 SR탄환을 사용하며, 위력을 늘리고자 그 구경에 작열탄까지 도입했음에도 그리 신통한 무기가 되지는 못했다. 결국 화력 부족으로 인해 호커 허리케인보다 더 허접한 기체란 평을 듣게 만들었다.

여기에 이탈리아 공군의 높으신 분들삽질까지 겹쳐져 C. 200을 두 번 죽이는 사태가 벌어졌다. 일반적으로 차기 전투기 경쟁이 있으면 탈락한 기종들은 묻어버리고 채택된 기종에 올인했던 타국과는 달리, 탈락한 기종인 G.50 프레치아를 '보조 전투기'란 이름 하에 일정량 양산허가를 해줬고, 피아트사의 로비에 넘어가 CR. 42 복엽기마저 과도기적 전투기란 이름으로 채택하는 사고를 일으키면서 C. 200을 두 번 죽이는 것도 모자라 부관참시해버렸다. 결국 개전을 앞둔 시기 이탈리아 공군의 수적 주력은 이미 퇴출되었어야 할 CR. 42였고, 경쟁에서 승리한 전투기가 다른 탈락한 전투기와 비슷한 생산량을 기록하는 기현상을 빚고 말았다.

그 외에도 무전기가 개판이어서 수신호로 편대 전술을 펼쳤다거나 하는 한심한 기록들이 남아있다. 다만 무전기는 다른 나라에서도 트러블을 경험했던 문제였기에 큰 단점이라 보기는 어렵다.

2.2. 전장에서의 활약

그나마 몰타 항공전에서 좀 활약했지만 이런 악조건이 겹쳐져 C. 200은 연합군 전투기들에게 이리저리 치이다가 생산량 대부분이 손실되었다. 그리고 살아남은 기체는 연합군에 노획되어서 대부분 박물관으로 직행했다. 전투기 자체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기보다는 이탈리아의 현지 상황으로 인해 가장 피 본 전투기이다.

3. 마키 C. 202 폴고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c_202_folgore.sized.jpg

폴고레(Folgore)는 '벼락' 라는 뜻이다.
Macchi C. 202 폴고레
전장 8.85m
전폭 10.58m
전고 3.49m
익면적 16.82㎡
엔진 알파 로메오 R.A.1000 R.C.41I/44I 역V자형 12기통 수랭식 엔진,[6] 1,175마력
자체중량 2,491kg (전비중량 2,930kg)
최대속도 600km/h (고도 5,600m)
상승력 18.1 m/s
상승한도 11,500 m
항속거리 765km
무장 기수 상면에 브레다-SAFAT 12.7mm 기관총 2정, 정당 360/400발
주익에 브레다-SAFAT 7.7mm 기관총 2정 장착가능, 정당 500발
50,100,160kg 폭탄 2발 장착 가능, 100L 드롭탱크 2기 장착가능

북아프리카 전역이 시작되고 영국의 왕립 공군(RAF)과 맞붙어본 이탈리아 공군은 고성능 전투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절실히 깨닫고 있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이탈리아 내부적으로 해결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었는데, 그것은 그때까지도 계속 삽질만 반복하면서 베이퍼웨어가 되어버린 1000마력 급 신형 엔진 개발이었다.

결국 1940년 1월 이탈리아 공군 사령관이 베니토 무솔리니와 면담하는 자리에서 신형엔진 개발을 포기하고 독일제 엔진 도입을 추진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무솔리니의 답변은 "그건 아니다." 라는 말만 돌아왔다. 하지만 독일 공군은 승승장구하는데 반해 이탈리아 공군은 계속 죽을 쑤자[7] 마음이 급해진 무솔리니가 자존심을 접고 아돌프 히틀러에게 직접 전화로 간곡히 요청하면서 Bf 109E에 탑재되던 DB601 엔진을 도입하게 되었다. 물론 이 다임러-벤츠의 독일제 엔진은 수랭식이었기에 이탈리아는 처음부터 기체설계를 다시 해야 했다.

이에 따라 Macchi사도 이 신형 엔진을 장착하기 위해 새로운 기체 개발에 착수한다. 하지만 당시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 시점에서 느긋하게 처음부터 다시 설계하고 개발할 시간은 없었다. 이에 따라 이미 검증된 C. 200의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DB 엔진을 장착할 수 있게 변형하는 방식으로 1940년 8월에 신형기가 개발되었다.

이탈리아의 만능에이스 페르난도 말베치가 Ju-87 B-2다음으로 탑승한 기체로 페르난도의 애마였다.

3.1. 호평

단지 엔진만 바꾸고, 그에 따른 미세한 수정만 했을 뿐인데 C. 200에 비해 최고속도 시속 100km 향상, 최대고도 2,600m 향상이라는 엄청난 스펙 향상을 보여주었다. 당연히 이탈리아 공군은 굉장히 호평했고 C. 202는 그 즉시 주력 전투기로 채택되었다.

당시 북아프리카 전선의 영국군허리케인P-40을 주력 전투기로 운용하고 있었는데, 기존 전투기로는 아무래도 전선 유지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Macchi C. 202는 영국군 전투기들 보다 우월한 스펙을 선보였으며, 많은 허리케인과 P-40을 격추하였다.[8] C. 202의 비행성능은 슈퍼마린 스핏파이어Bf109 F형과 동급일 정도로 우수했다.

3.2. 문제점

성능 자체는 많이 향상됐지만 C. 200의 프레임에 DB 엔진을 장착하는 것에 집중하다 보니 화력 부족 문제가 해결 안 됐다. 그 때문에 C. 202도 브레다-SAFAT 12.7mm 기관총 2정 달아야 했다. 나중에 화력 강화랍시고 주익에 7.7mm 기관총 2정을 달아 줬지만, 이미 적기들은 7.7mm 따위가 먹힐 만큼 허약하지 않았다.

게다가 성능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이탈리아의 떨어지는 공업생산력이 태클을 걸고 있었다. 당시 독일의 DB 엔진은 알파-로메오사에서 라이선스 생산을 하고 있었는데, 생산량이 한 달에 50개 남짓일 정도였다. 그러니깐 비행기 많이 찍어봤자 엔진 때문에 한 달에 50개 출고하면 용하다는 소리이다. 여기에 높으신 분들은 피아트사와 레지아네사의 전투기도 생산량을 할당하는 만행을 또 저지르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50개 밖에 안되는 엔진을 서로 나눠써야 되므로 1/n을 했을 경우 한 달에 20대도 출고 못하는 상황이 빚어졌다. 그 결과 마키사에는 엔진이 없어서 출고되지 못한 전투기가 쌓여 있는 지경이었다.

사실 여기엔 비약이 좀 있다. 이 당시 피아트 쪽은 기존의 870마력 공랭식 엔진을 쓰는 G.50 프레치아를 계속 생산하고 있었고[9], 레지아네 쪽은 DB601 엔진을 쓰는 Re. 2001 파르코 2를 일부 생산하기도 했지만 폴고레와는 달리 성능에 별 진전이 없어서 1175마력 급 공랭식 엔진을 사용하는 Re.2002 아리에테로 생산라인을 선회했다. 결과적으로 폴고레는 사에타와 맞먹는 1100대 정도가 무사히 생산되었고, 이탈리아 공군의 주력을 유지하는데 별 문제가 없었다. 물론 연합군은 차치하더라도 같은 추축군의 독일의 Bf 109의 3만대나 일본의 제로기의 1만대에 비교하면 매우 비참하다. 오히려 진짜 사건은 DB605 엔진을 도입할 시기에 터졌다. 마키 사의 C.205 벨트로와 피아트 사의 G.55 첸타우로, 레지아네 사의 Re. 2005 사지타리오 셋 다 같은 DB605 엔진을 쓰고 있었고, 이탈리아 공군은 무슨 생각인지 이 셋을 모두 채용하는 패기를 부렸다. 여기서 굳이 이탈리아의 편을 들어주자면, 이 무렵쯤 되면 아프리카가 털리고 거의 항복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고성능 전투기가 조금이라도 더 필요했기 때문에 셋 다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세 기체의 생산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탈리아가 항복하면서 앞의 사건보단 좀 덜 주목받긴 한다.

그런데 이게 웃기는 문제인 것이 마키사는 이미 1931년에 수상기 주제에 세계 최고속이던 시속 709km를 찍은 M.C.72를 만든 경력이 있다는 점이다. 이 무렵 세계 최고속은 Hughes H-1 Racer 였으며 불과 566km였다. 당연히 수상기도 아니었다.[10]
파일:external/www.euro-t-guide.com/Italian_Air_Force_Museum_2010_10.jpg

이는 2차대전 말기 극한으로 발전한 시기에나 가능했던 속도를 거대한 항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터를 달고 낸 속도인데 이런 기체를 만들 수 있었던 마키가 엔진을 구하지 못해서 괴작들을 뽑아냈으니 당시의 엔지니어들은 정말 원통했을 것이다.[11][12]

3.3. 후일담

몰타나 북아프리카 전선 등지에 파견되어 활약은 했으나 C. 200처럼 연합군에게 이리저리 치이다가 대부분 손실되었다. 전후에 몇 기가 남았는지 통계도 안 남아있다고 한다.

한편 태평양 전선에도 C. 202가 '나타났다'는 소문이 돌았는데, 이는 일본 육군항공대의 Ki-61 히엔이었다. 같은 엔진을 쓰며, 서로 상당히 비슷한 외형을 가진 탓인지 Ki-61의 연합군 코드명은 'Tony'가 되었다. 다만 그렇다고 히엔이 폴고레를 베껴서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폴고레의 도입이 1941년 7월이고 히엔의 첫 비행일은 1941년 12월이다. 게다가 히엔은 Ki-60의 영향을 받은 물건인데 Ki-60의 첫 비행이 1941년 3월로 폴고레가 도입되기 이전에 개발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였다. 이는 같은 종류의 엔진을 사용하다보니 유사하게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13] 다만 가와사키사가 해외 기술자들과의 교류가 잦았으므로 히엔의 개발에 독일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이탈리아 패망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남아있던 기체들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소유로 넘어갔다.

4. 마키 C. 205 벨트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205_V.jpg

벨트로(Veltro)는 '사냥개' 정도의 뜻이다. 위의 사진은 C.205V로 12.7mm 기총 2정과 7.7mm 기총 2정으로 무장한 기체이다.
Macchi C. 205 벨트로 V형 / N형
전장 8.85m / 9.55m
전폭 10.58m / 11.25m
전고 3.05m
익면적 16.80㎡ / 19.00㎡
엔진 피아트 RA.1050 R.C.58 '티폰' 역V자형 12기통 수랭식 엔진, 1,475마력
자체중량 2,581kg (전비중량 3,408kg)
최대속도 640km/h (고도 7,500m)
상승력 19.0 m/s
상승한도 11,500 m
항속거리 950km
무장 주익에 MG 151 20mm 기관포 1정씩, 정당 250발
기수 상면에 브레다-SAFAT 12.7mm 기관총 2정, 정당 400발
부무장 160kg 폭탄 2발
마키사는 이탈리아 공군의 요청을 받아들여 연합군의 중장갑 전투기와 폭격기를 상대하기 위하여 C. 202의 주익에 기관총이나 기관포를 설치하는 시도했지만 그때마다 성능 저하를 보이면서 번번이 실패를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면허생산 중인 엔진이 너무 구식이라는 점이 지적됐다. 결국 독일에 다시 한번 간청하여 Bf 109G에 탑재되던 1475마력짜리 DB605 엔진을 도입하기에 이른다. 특히 한시가 급한 상황에서 면허생산된 엔진이 나오려면 시간이 걸리므로 아예 완성된 엔진도 떼어 왔다. 슬슬 연합군 중폭격기의 폭격을 맞던 독일의 입장을 생각해 보면 완벽한 민폐다.

마키 사는 새로 도입된 엔진을 바탕으로 1942년 4월에 일단 급한 대로 엔진이 장착되지 않은 C. 202에 장착하여 날려보냈으며, 동시에 새로운 엔진에 맞게 전투기를 재설계했다. 물론 시간을 아끼기 위해 C. 202의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변경하는 형태로 진행됐고 몇 차례 시험비행을 반복한 끝에 비로소 C. 205가 이탈리아 공군의 주력 전투기로 선정되었다.

극 초기형에는 C. 202 후기형처럼 주익에 기관총 2정이 달려 있었지만[14], 이후 독일에서 가져온 MG 151/20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하게 되자 화력이 급상승하여 연합군 폭격기에게도 충분히 이빨을 들이밀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최고 속도도 시속 650km 정도로 올라가 실제 P-47 썬더볼트와도 대등한 전투가 가능했으며 P-51 머스탱이나 후기형 스핏파이어와도 그럭저럭 싸울 수 있는 수준이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적절한 성능에 고무받은 루프트바페도 여러 대의 C. 205를 운용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MC. 200의 기체 구조를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기에 고공에서 활동하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면이 많았다. 또한 당시 이탈리아의 상황에서는 양산이 가장 용이한 기체였지만, 그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큰 문제는 그 놈의 고질적인 생산량 부족이었다. 게다가 이탈리아 공군은 여전히 피아트사와 레지아네사의 전투기도 일정량 양산을 하도록 하고 있었다. 사실 고고도 비행성능을 놓고보면 기체를 일신한 피아트 G.55 첸타우로가 더 우수했다. 그 때문에 이탈리아 공군에서도 C. 205와 G.55 투톱 체계를 고려했던 정황이 있는데 그러기엔 양쪽 다 생산성이 떨어졌다. 특히 연합군 폭격기도 연일 폭격을 가하고 있었으며, 연합군 지상부대가 진군을 해오면서 공장이 파괴되는 일도 빈번하여 각종 애로사항을 많았다.

결국 생산량 부족으로 큰 활약을 못하다가 이탈리아가 항복하면서 연합군으로 넘어간 전투기와 추축군으로 넘어간 전투기가 서로 교전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래도 성능만큼은 인정받아 전후에도 한동안 생산되어 이집트 왕국 같은 국가에 수출까지 한 전력이 있다.

그외 C. 205N 오리오네(Orione)라는 파생형도 있는데, 기축 20mm 기관포를 추가한 버전이다. 거의 땜빵에 가까운 개량이었으며, 기체 성능에 악영향을 주자 시제기 2대만 만들고 기축 기관포안은 C. 206에서 해결보기로 했다.[15] 오리오네는 로마 방공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5. 마키 C. 206 / C. 207

파일:external/www.egamers.it/C206_castoldi.jpg
C.206

파일:external/www.egamers.it/C207_castoldi.jpg
C.207
Macchi C. 206 / C. 207
전장 9.34m / 9.74m
전폭 12.14m
전고 3.66m / 3.64m
익면적 21.00㎡
엔진 다임러-벤츠 DB 605 V형 12기통 수랭식 성형엔진, 1,455마력
다임러-벤츠 DB 603A V형 12기통 수랭식 성형엔진, 1,726마력
자체중량 2,578kg (전비중량 3,650kg) / 3,292kg (전비중량 4,340kg)
최대속도 700km/h 대 (고도 7,500m(?))
상승력 20.0 m/s 대
상승한도 12,000 m 대
항속거리 1,000km 대
무장(C. 206) MG 151 20mm 기관포 3문[16][17], 정당 250발
기수 상면에 브레다-SAFAT 12.7mm 기관총 2정, 정당 400발
무장(C. 207) MG 151 20mm 기관포 5문[18][19], 정당 250발
부무장 160kg 폭탄 2발

다임러-벤츠 DB 605 V형 12기통 수랭식 성형엔진을 장착하여[20] 최고 속도가 700km/h 대 까지 늘어날 예정이었다. 연합군의 폭격으로 Bf 109 K형처럼 시제 단계에서 타격을 입었다. C.206은 C.205를 좀 더 대형화 해서[21] 더 강한 엔진과 무장을 달 수 있게 했으며 피아트 G.55 첸타우로처럼 프로펠러 축에도 기관포를 장착 가능하게 할 계획이었다.

C.207은 C.206을 좀 더 현대적으로 설계해 고고도, 고속에 알맞게 만들면서 무장을 주익에 기관포 2개씩 달려고 했다. 시제기를 만들어본 C.206과 다르게 C.207은 시제기도 완성해보지 못했다. 새롭게 동체를 설계해서 그런지 C.20x 시리즈의 특징인 짝날개가 아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cchi_MC206_sullo_sfondo.jpg
폭격으로 파괴된 C.206 공장

생산성은 별개로 일단 만들고 보면 꽤나 그럴싸한 물건을 만드는 이탈리아답게 생산되었으면 상당한 성능을 보였을 것이다. 이래 보여도 MG 151 기관포를 라이선스 생산 가능한 나라니 일본처럼 '기관포가 부족해 못 만들었습니다.' 같은 난처한 상황은 일단 없을 테지만 그놈의 엔진을 빨리 못 만드는 게 고질적인 병이다 보니 다른 기체처럼 소수 생산되면서 소모되는 일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7.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항공병기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전투기 전투기 <colbgcolor=#fefefe,#191919>Ar 65, Ar 68, Bf 109, Fw 190, He 100, He 112, Ju 388, Ta 152, C.205, CR. 42LW, G.55 첸타우로, Re.2005
중전투기 Ar 240, Bf 110, Do 335, Fw 187, Ju 88, Me 210, Me 410
야간 전투기 Bf 110, Do 217, He 219, Ju 88, Me 410, Ta 154
제트기 / 로켓추진 전투기 He 162, He 280, Me 163, Me 262
특수기 하우네부
폭격기 경폭격기 / 급강하폭격기 Bü 181, Do Y, Do 17, Do 215, He 50, He 51, He 70, He 115, Hs 123, Hs 129, Ju 87
中폭격기 Ar 234, Do 217, He 111, Ju 86, Ju 88, Ju 188
重폭격기 Do 19, Fw 200, He 177, Ju 388, Ju 390, Ju 488, Me 410
노획 및 개조 기체 전투기 스핏파이어 Mk.Ia, 스핏파이어 Mk.Vb "메서스핏", I-16, LaGG-3, P-38, P-51
지상공격기 Il-2, P-47
폭격기 Do 200
비행정 BV 138, BV 222, BV 238, Do 18, Do 24, Do 26
수상기 Ar 95, Ar 231, Do 22, He 59, He 60, He 114, He 115
수송기 융커스 G.38, Ar 232, BV 138, BV 222, DFS 230, Fh 104, Go 242, Go 244, He 70, Ju 52, Ju 86, Ju 90, Ju 252, Ju 290, Ju 352, Ju 390, Ka 430, Me 321, Me 323, Si 204, SM. 79
정찰기 힌덴부르크급 비행선, Ar 95, Ar 196, Bf 108, BV 138, Do 215, Fi 156, Fi 167, Fw 189, Fl 282, He 46, He 59, He 70, He 115, Hs 126, Ju 388, Me 261, Me 410
훈련기 Ar 66, Ar 96, Ar 396, Bü 181, Fw 58, Fh 104, Go 145, He 42, He 72, Ju 86, Kl 35, Si 204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 플랜 레르헤, 루르슈탈 X-4, 질버포겔, 트리프플뤼겔, AS-6, Ar 195, Ar 199, Ar 233, Ar E.340, Bf 109 Z, BV 40, BV 141, BV 143, BV 144, BV 155, BV P.163, BV P.170, BV P.178, BV P.184, BV P.188, Ba 349, DFS 40, DFS 194, DFS 228, DFS 331, DFS 332, DFS 346, Do 214, Do 317, Do 417, Fi 166, FK 166, Fi 168, Fi 333, Fw 볼크스예거 1, Fw 볼크스예거 2, Fw 191, Fa 225, Fw 261, Fa 325, Go 345, Hs 130, Hs 132, Ha 142, Hü 136, Hü 211, He 176, He 178, Ho 229, He 274, He 277, He 343, Ju-88 'Duka-88', Ju 89, Ju 187, Ju 287, Ju 288, Ju 322, Ju 390, Kl 151, Li P.15, Li P.20, Li P.04-106, MeC 164, Me 209(1943), Me 263, Me 264, Me 265, Me 309, Me 310, Me 328, Me 329, Me 334, Me 509, Me 609, Me P.1101, Me P.1107, So 344, Ta 153, Ta 183, Ta 254, Ta 400, WNF 342, ZSO 523
기타 괴핑겐 Gö 9, 미스텔, 호르텐 H.III, 호르텐 H.IV, 호르텐 H.VI, 호르텐 H.VII, Bü 181, BV 246, Fa 223, Fl 265, Fl 282, Fa 330, He 113, Hs 117, Hs 293, Hs 294, Hs 295, Hs 298, Ju 60, Me 209, Me 328, NR 54, V1, V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취소선: 실존 여부 논란 있음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현재 알레니아 아에르마키사.[2] 건담시리즈의 윙 건담 페니체http://naver.me/x8lB0IjK의 모티브가 되었다.[3] 긴쪽이 더 가늘다.[4] 이에 당시 피아트 사가 독점을 위해 높으신 분들에게 뇌물을 왕창 뿌렸다는 의혹이 존재하는데 그당시 이탈리아 내 에는 공랭식 엔진을 만드는 회사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5] C. 200은 유선형의 기체에 비해 엔진만 다른걸 떼어온 모양으로 따로 노는 디자인이고 실제로도 그랬다. 이는 폴고레 등장 이전 이탈리아 기체들의 공통사항이었다.[6] 다임러-벤츠 DB 601의 라이센스 버전.[7] 그것도 그럴 게 복엽기였던 CR. 42를 영국 항공전에 들이밀었다. 당연히 이들은 허리케인에게도 속수무책으로 털렸다.[8] 하지만 영국공군으로부터 제공권을 빼앗아 오지는 못했는데, 영국군도 사막용으로 개조한 스핏파이어를 배치하기 시작한데다가, MC.202가 배치되고 있었어도 여전히 배치된 수는 MC.200, G.50, CR.42등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9] CR. 42의 생산도 지속되고 있었다.[10] 참고로 H-1은 괴짜로 유명한 하워드 휴즈의 비행기였다.[11] 물론 기록 자체는 1939년 독일의 하인켈사와 메사슈미츠사의 마개조 기체들에 의해 깨지긴 했지만, 수상기로서의 최고속도 기록은 여전하다.[12] 다만 이 기체 자체도 항력을 줄이는 설계가 적용되었는데, 돌출된 라디에이터로 인한 항력을 없에기 위해서 유선형의 플로터 표면을 덮듯이 라디에이터를 배치한 것이다. 이는 훗날 최고속도 기록을 깨는 He 100의 냉각방식과 비슷하다.[13] 전부 DB601을 라이선스 생산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14] 7.7mm 브레다-사파트이다. 당연히 이런 무장으로 후기 연합군 기체를 상대로 유효한 타격을 줄 수는 없었다.[15] 1대만 생산되어 한대를 개량했다는 설도 있다. 왜냐하면 분명 1대는 존재하는데, 다른 한 대는 소리 소문 없이 사라졌기 때문.[16] 기수 1정, 주익 2정[17] 파일:external/www.egamers.it/Spaccato_c206.jpg[18] 기수 1정, 주익 4정[19] 파일:external/www.egamers.it/Spaccato_c207.jpg[20] C.207은 DB 603을 달려고 했다.[21] 날개 폭을 10.85m에서 12.14m로 늘리고 동체 또한 길게 만들 계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