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3:54:33

MDMA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임시마약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문서가 있는 마약류 및 임시마약류 목록
<colbgcolor=#bdbdbd,#111>

<colbgcolor=#bdbdbd,#111> 마약[1] 가목 양귀비 나목 아편 다목 미처리 코카
라목 코카인, 데소모르핀, 헤로인,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피놀, 모르핀, 옥시코돈, 코데인
마목 펜타닐, 메타돈 및 메타돈 제조중간체, 카르펜타닐
향정신성
의약품
[2]
<colbgcolor=#d5d5d5,#222> 비의료용 가목 부포테닌, 디메틸트립타민, LSD, 사일로시빈, 사일로신, 펜사이클리딘 유사체, 메스케치논 및 유사체(α-PVP 등), 크라톰 및 미트라지닌, 고메오, 브로모-드래곤에프엘와이, 벤조디아제핀 계열 4종
의료용 나목 암페타민(애더럴), 메스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펜메트라진, 펜사이클리딘, MDMA, 살비아 디비노럼, 케타민
다목 바르비투르산 계열(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 등),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플루니트라제팜
라목 벤조디아제핀 계열(로라제팜 등), BZRA 계열(조피클론, 졸피뎀), 카틴, 클로랄히드레이트, 마진돌, 페몰린, 펜터민, 날부핀, 지에이치비, 덱스트로메토르판, 프로포폴
대마[3] 가목 대마초와 그 수지(樹脂) 나목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모든 제품 다목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CBN, THC, CBD)
임시마약류[4] 리세르가미드(LSD 유사체) 일부, 합성칸나비노이드(HHCH 등) 일부, 암페타민 유사체 일부, 벤조디아제핀 유사체 일부, 랏슈, 감마부티로락톤
기타[5] 환각버섯류, 데이트 강간 약물, 야바, 환각물질
[1] 법 제2조 제2호, 각 목별로 구분. 제2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바목에 의해 마약으로 분류되나, 한외마약은 제외됨. }}}}}}}}}

유기화합물
Organic Compound

파일:MDMA.png
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메틸렌디옥시메탐페타민)

파일:external/www.drugabuse.gov/mdma_tablets.jpg
정제로 만들어 판매하는 형태 [1]. 이외에도 틀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모양이 있다.

1. 개요2. 상세3. 미국에서4. 한국에서5. 창작물에서

1. 개요

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의 일종.

암페타민, 헤로인 등 다른 약품에 비해서는 마약으로 사용된 지는 오래되지 않은 약물로, 흔히 엑스터시 혹은 이를 줄인 XTC, X, E, 몰리(Molly)[미국], Mandy[영국], 핑거즈(Pingers), 컵케이크(cupcake) 등으로 불린다.

2. 상세

한국에서는 2000년대 초반 '테크노' 열풍이 불 때 '도리도리'란 이름으로 불렸고 언론에서 신종 마약이라 대서특필되었지만, 사실은 개발 역사가 매우 오래된 약물이다.

엑스터시를 최초로 합성한 것은 1914년 독일의 종합 화학ㆍ제약회사인 머크(Merck)사였다. 머크사는 혈액응고제를 개발하던 중 우연히 환각성 물질 ‘MDMA(3,4-매틸렌디옥시-메틸암페타민)’를 발견했으나 사장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1970년대미국의 생화학자 알렉산더 슐긴에 의해 재조명된다. 그는 자신의 강의를 듣던 한 대학원생이 제공한 정보를 확인, 새롭고 간단한 방법으로 MDMA를 재합성하는 데 성공한다. 효능에 놀란 그는 친구인 레오 제프라는 한 정신과 의사에게 MDMA를 소개했고, 제프 박사는 거의 미국 전역을 돌며 동료 의사와 환자들에게 그 약의 처방을 권했는데, 그게 1976년 무렵이다.

1980년대 중반 규제약물로 지정될 때까지 근 10년 동안 엑스터시는 정신과 진료, 특히 대화요법과 참전 군인들의 심리불안 극복 요법에 합법적으로 처방됐다.링크

하지만, 슐긴의 의도와는 다르게 1986년 지중해 지역에서 댄스 파티에서 사용된 이후, 1987년 영국레이브 파티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MDMA와 구조적으로 비슷한 약물에는 MDA(3, 4-methylene-dioxy-amphetamine)가 있는데, 한 가지 공통점은 둘 다 "entactogens"으로 "empathy," 즉 공감 또는 감정이입을 일으키는 약물이다. 둘의 다른 점은 각각 다른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영향을 준다는 거다. MDA는 암페타민과 비슷하게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막고 더 분비하는 영향을 주는 반면, MDMA는 세로토닌 분비 촉진에 영향을 준다. MDA가 먼저 합성되었고 초기에는 많이 쓰였으나, MDMA의 유독성이 더 낮아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순수 MDMA의 효과는 극도의 안정감, 편안함, 행복함, 자신감 등으로 대표되는데, 엑스터시는 MDMA의 스트리트 네임(별칭)으로 제조과정에서 카페인 등 여러 가지 다른 약품들이 섞여 들어가기 때문에 순도가 떨어지고, MDMA의 효과 외 다른 효과, 혹은 부작용의 가능성이 더 높다. 밤새 힘내서 춤추라고 히로뽕이랑 카페인을 넣는 경우가 많다. 안정감, 행복함 등은 뇌의 세로토닌 분비가 촉진되어서 느껴지는 것인데, 약기운이 떨어지면 사람에 따라서 며칠 동안 우울해지는 사람이 있고, 오히려 더 밝아지는 사람도 있다. 세로토닌의 분비량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한 달에 한 번 이상으로 계속 복용하면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 이 효과를 이용해 각종 정신질환의 완화와 치료에 의학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으며, 미군에서는 PTSD 치료용 약물로도 시험 중이며, 현재 FDA 심사를 밟고 있다. 심사 통과 시, 2021년부터 합법적으로 판매 가능해진다.링크

하지만 2023년 시점에서 아직까진 미국에서 승인되었다는 소식이 들리진 않는다, 다만 같은 해에 호주에서는 정신질환 치료용 사용이 승인되었다. 링크 그러나 병원에 내는 진료비가 우리돈으로 무려 1000만 원대라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일단 대한민국에선 의외로 마약이 아닌 향정신성의약품으로 규정되어 있다.
보통 한 알의 환각 효과는 3-6시간 정도 지속되며, 부작용으로는 근육의 긴장, 메스꺼움과 갈증 등이 있다. 또한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발작, 빈맥 및 고혈압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경우, 벤조디아제핀을 투여해 증상을 완화 시키기도 한다. 특히 턱 근육의 긴장 때문에 이를 갈게되는데, 이를 방지하려 껌을 씹거나 고무 젖꼭지를 물기도 한다.[4] 또 다른 신체적 부작용으로는 식욕저하, 불안정한 걸음걸이, 다리 떨림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장기간 복용 시 다른 소프트 드러그들과 비슷하게 우울증 등의 정신적 문제들을 유발시키며, MDMA 한정으로 치명적인 신경과 뇌손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장기간 복용하지 않고 세 달에 한 번씩 복용하면 뇌의 데미지가 없다고 알려져있다. LSD 비슷하게 사람의 심리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끼쳐서 조현병 기가 있는 사람이 먹었다가 뇌에 큰 데미지를 입는 케이스가 가끔 있다. 아주 드물긴 하지만 이것에 알러지가 있어서 곧바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며, 엑스터시 복용으로 사망한 사례 중의 대부분이 알콜과 동시에 섭취하여 심각한 갈증과 체내 온도 상승을 불러와서 사망한 경우라고 한다.

3. 미국에서

미국의 Drug Schedule System에는 현재 Schedule I(의존도가 높으며 의사가 처방을 할 수 없는 약물)으로 분류되어 있다. 미국의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는 MDMA를 치사율이 굉장히 높은 약물이라고 했지만 실제로 원인이 되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5] 또한 몇몇 사망자들은 MDMA 복용 때문이 아닌 약물 혼합 복용 (Drug contamination)으로 인해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있다.[6]

미국에서는 레이브 씬의 위상을 뒤이은 EDM 씬을 중심으로 점점 인기를 끌고 있다. 큰 페스티벌에서 이 약 때문에 죽는 사람이 가끔씩 나오는데 파티 특성상 술을 같이 마시거나 과용하여 죽는 경우가 많다.

4. 한국에서

2000년 초반부터 암암리에 한국에 본격적으로 들어와 2007년 경에는 미성년자에게도 쉽사리 유통될 정도로 길거리에 나다니던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도리도리라는 속어로도 불렸다. 2008년 이후 본격적인 단속과 통관 절차 강화로 인해 차츰 누그러들다 현재는 거의 사장된 것으로 추정.

2002년 3월에 혼성그룹 코요태의 전 멤버 김구배우 성현아가 이것을 상습복용한 혐의로 당국에 적발되어 구속 수감되기도 했다.

2007년 연예인 마약사건 당시 예학영, 주지훈, 윤설희 등이 케타민과 섞어 복용한 약물이기도 한데, 이런 식으로 업 계열 약물과 함께 복용하면 사이키델릭 상태라고 하여 다운 계열의 풀어진 상태 + 업 계열의 각성된 상태가 동시에 지속되어 강한 환각을 경험하게 된다.

2018년 5월 씨잼을 비롯한 유명 래퍼들이 이것을 복용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으나 가짜에 속았다고 한다.[7]

5. 창작물에서



[1] 이처럼 기존 마약류를 합성해서 만든 마약을 합성 마약 또는 designer drug 라고 한다.[미국] [영국] [4] 그리고 이 고무 젖꼭지는 이제 EDM씬의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 되었다. #[5] 오히려 응급실에서 많이 쓰였을 때 치사율은 매우 낮은 편에 속했다.[6]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와 미국에서 몇몇 사망자들이 사망하기 전 복용한 약물을 조사했는데 엑스터시 복용을 한 것은 맞았지만 PMA (Para-methoxyamphetamine)이라는 완전히 다른 성분이 검출되었다. PMA는 복용량이 낮을 때는 심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지만, 복용량이 많을 때는 체온 상승, 혈압과 심박수 증가, 발작, 코마 그리고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는 성분이다.[7] 그러나 오해하면 안 되는 것이 그렇다고 그냥 플라시보 효과에 취한 것은 아니고 가짜 엑스터시가 더욱 환각효과가 높고 몸을 더 상하게 하는 약이라고 한다.[8] 훈련교관의 말로는 엑스터시의 원액이라고.[9] 자백이라고 해봤자 주인공 도시오에게 이름을 대라고 한 것뿐이다. 그런데 이 친구가 정신력이 보통이 아닌지 엑스터시의 약효로 인해 정신이 몽롱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이름을 대지 않고 자기 애인인 잔지라의 이름을 중얼거린다.[10] 물론 진짜 메틸렌다이옥시메스암페타민은 아니다.[11] 파워무비에서 은근 많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