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SF 문학 전문 번역가이자 비평가이다.2. 설명
대한민국 SF문학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신뢰받는 SF 전문 번역가이다.[1] 미국과 일본을 위시한 해외 SF 팬덤에서도 이름이 알려진 극소수의 번역가 중 한 사람이며, 영화감독 박찬욱[2]도 김상훈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과의 인터뷰에 의하면 번역하는 원작의 내용 자체가 난해할 경우 일부 국내 독자들이 선호하는 읽기 쉽고 매끄러운 문장으로 풀어쓰기보다는 단어 선택이나 문체 등을 통해 영어 원문의 난해함을 번역문에도 정교하게 반영하는 편을 선호하며,[3] 그런 맥락에서 좌파 번역 이론가인 로렌스 베누티로 대표되는 원전주의(原典主義) 진영의 일원으로 간주된다.1990년대 중반 시공사의 <그리폰 북스>시리즈를 기획하고 직접 번역해서 출판계에 제1차 SF붐을 일으켰고, 21세기 들어서는 열린책들의 <경계소설> 시리즈, <행복한책읽기 SF총서>와 너머의 <이색작가총서>, 현대문학 폴라북스의 <필립 K. 딕 선집> 및 <미래의 문학> 시리즈, 은행나무의 <조지 R.R. 마틴 걸작선> 등 국내의 주요 SF 총서의 기획과 번역을 전담하다시피 하며 제2차 SF붐을 선도했다. SF소설 번역으로 잘 알려진 이수현, 정소연, 이동진 등은 모두 이 시기에 김상훈에게 발탁되어 활동을 시작한 팬덤 출신 번역가들이다. 인터넷 SF 팬덤 1세대가 주도한 1999년의 제1회 한국 SF 컨벤션에서는 한국 SF계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4]
유년기부터 해외에서 교육받으며[5] 다양한 분야의 원서를 숙독해 온 독서가답게 폴리매스(polymath)적인 방대한 교양과 문학 비평가로서의 식견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골수 SF팬으로서의 소속의식이 투철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내 번역자들과는 궤를 달리한다.[6] 이러한 애정과 맞물린 뛰어난 번역 능력과 현학적이면서도 팬심 충만한 해설들은 그가 우리말로 옮긴 작품이라면 원작자가 누구냐를 불문하고 일단 안심하고 읽어도 되겠다는 애독자들의 찬사를 받았다.
필명으로 1930 ~ 1940년대 미국의 유명 SF 전문 잡지 편집자이자 "SF의 아버지"로 알려진 휴고 건즈백의 성을 음차한 '강수백'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데, 이 필명을 쓰는 이유는 미국 SF문학의 황금기였던 1930 ~ 1940년대처럼 한국 SF문학계가 전성기를 맞았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SF소설을 번역할 때 본명과 필명을 번갈아 사용하고 있다. 다만 2010년대에 들어서는 본명으로만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를 위시한 로저 젤라즈니의 작품을 십여 권이나 번역하여 독서계에서 젤라즈니 팬들을 양산했고, 그렉 이건, 새뮤얼 딜레이니, 로버트 A. 하인라인, 알프리드 베스터, 폴 앤더슨, 버너 빈지, 조 홀드먼, 필립 K. 딕, 조지 R.R. 마틴, 이언 뱅크스, 크리스토퍼 프리스트, 로버트 홀드스톡,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로버트 소여, 해리 터틀도브, 제리 퍼넬, 데이비드 웨버 등의 대표작들을 번역 출간함으로써 국내 독자들에게 영어권 SF의 다양한 사조를 선보였다. 또한 한국에 정식 번역된 테드 창의 모든 소설을 직접 기획하고 번역했으며, 2007년에 개최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내한한 테드 창의 강연회 사회를 맡고 팬파티를 개최하는 등 테드 창과도 인연이 깊다.
3. 장르 분류법
1999년, SF와 판타지의 공통된 갈등 구조인 과학 대 마법[7]/현실 대 환상의 대분류를 이용해 토폴로지 맵을 만들어 장르 문학을 분류한 바 있다. 이 분류법은 『드래곤과 조지』의 해설에 수록되었는데, 이 해설에선 토폴로지 맵과 함께 각 장르에 대한 설명과 예시도 같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장르 구분이 다 그렇지만 딱딱 맞아 떨어지는 게 아니라 여러 속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중간 영역도 언제나 존재한다는 것을 명심할 것.[8]- 영웅 판타지 Heroic Fantasy
원래는 『코난』 시리즈를 지칭하는 말로, '검과 마법'라는 용어와도 호환된다고 한다. 역사/괴기/오컬트의 문학적인 혼종으로써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한 장르이며, 이후에는 코난 시리즈의 모방으로 장르가 이어져 갔으나, 1960년대 영국 SF계에서 시작된 뉴웨이브 운동의 영향으로 코난 시리즈의 안티테제 격인 『영원한 영웅』 시리즈가 나오게 된다. - 『코난』 시리즈 (로버트 E. 하워드), 『영원한 영웅The Eternal Champion』 시리즈 (마이클 무어콕)
- 코즈믹 호러 Cosmic Horror
- H. P. 러브크래프트의 작품들, 『보더랜드Borderland』 3부작 (W. H. 호지슨), C. L. 무어의 작품들
- 합리적 판타지 Rational Fantasy
SF 잡지 『언노운Unknown』에 게재되었던 일련의 논리적인 판타지 작품군이다. 경쾌한 유머, 낭만주의, 넌센스, 패러디가 주를 이룬다. - 사이언스 판타지 Science Fantasy
영웅 판타지와 비슷한 SF와 판타지의 잡종으로, 판타지적인 설정을 조금이나마 과학적인 논리로 설명한 장르다.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한 다채로운 모험담이 주를 이룬다. - 『퍼언』 시리즈 (앤 맥카프리)
- 와이드스크린 바로크 Widescreen Baroque
과학적인 경이로움을 SF의 경이감에 직결시킨 하이퍼 스페이스 오페라로, 영국의 SF 작가/평론가인 브라이언 W. 올디스가 주창한 용어다. 『스타워즈』로 대표되는 에픽 판타지/기존 스페이스 오페라 보다는 현실성을 지향한다고.위 분류표에서는 어째선지 스페이스 오페라가 현실 쪽에 가깝지만. - 『캐치월드Catchworld』 (크리스 보이스)
- 라이프스타일 SF lifestyle SF
SF적인 요소를 일상처럼 자유롭게 다루는 등장인물들을 다룬 작품군으로, 그러한 요소들이 마치 우리 일상의 텔레비전나 인공위성처럼 배경의 일부처럼 다뤄진다. 그러한 배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모습을 각양각색으로 묘사한다. - 『샌드킹』 (조지 R. R. 마틴)
- 슬립스트림 Slipstream
후류. 비SF 작가들이 SF적인 상상력을 구사해서 쓴 작품들을 지칭하는 비평 용어다. - 스팀펑크 Steampunk
- 『몰록의 밤Morlock Night』 (K. W. 지터), 『지저 리바이어던The Digging Leviathan』, 『호문쿨루스Homunculus』 (제임스 블레이록), 『아누비스의 문The Anubis Gate』, 『시인의 피The Stress of Her Regard』 (팀 파워스)
[1] SF 저술가인 고장원이 실시한, 팬덤에서 가장 신뢰받는 번역가 앙케이트에서도 1위로 뽑혔다.[2] 마음의 책장에 너를 꼽으마! 한겨레 21[3] 그 결과 독자는 원작자의 의도에 충실한 소격효과를 경험한다고 한다. 알라딘 인터뷰에서 김상훈은 이것을 원작의 'feel'이라고 지칭했다.[4] 김상훈은 직지SF 프로젝트의 정상돈과 정크SF 편집장인 고경환 등과 더불어 이 컨벤션의 주요 입안자 중 한 사람이었으며, 전시회에서 세미나와 강연에 이르는 다양한 컨벤션 프로그램의 기획과 진행을 맡았다.[5] 은행나무판 <GRRM: 조지 R.R. 마틴 걸작선>의 해설에 의하면 맨해튼에 인접한 미국 뉴저지 주에서 청소년기를 보냈으며, 대학에서는 언어심리학과 인지과학을 전공했다고 한다.[6] 한국 SF 담론의 지형도 (하)[7] 우리가 아는 마법 개념이 아니라, '비논리적 허구'를 포함한 광의적인 픽션 개념과 맞닿아 있다.[8] 예를 들자면 김상훈은 고든 R. 딕슨의 『드래곤과 조지』를 해설하면서 합리적 판타지와 영웅 판타지의 중간선상으로 분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