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3:17:17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한문 영역

제2외국어 영역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학수학능력시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교과에 대한 내용은 제2외국어(교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수능 교과로서의 제2외국어 영역이 아닌 제2외국어에 대한 사전적 설명에 대한 내용은 제2외국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공식 명칭을 적용하자면 본래 표제어의 구분 기호를 ‘제2외국어/한문 영역’처럼 ‘/’로 해야 하나 나무위키의 본 표제어에서는 종속 문서로 혼동할 염려로 인해 ‘·’로 대체되었습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제2외국어/한문 영역
第二外國語/漢文領域
파일:제2외국어 영역.jpg
평가 방식 상대평가(2001~2021)
절대평가(2022~)
출제 범위
(선택 과목)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베트남어Ⅰ
한문Ⅰ
문항 수 30
만점 원점수 50
시행 교시 5교시
시험 시간 40분
전신 제2외국어 영역 (2001 ~ 2004)
1. 개요2. 선택 과목 종류3. 반영 대학 (2022학년도 기준)4. 대학 입시에서의 효용성
4.1. 상대평가 시절 (2021학년도 이전)4.2. 절대평가 시대 (2022학년도 이후)
5. 난이도6. 역대 응시자 추이7. 여담
7.1. 연혁
7.1.1. 초창기 (2001~2003학년도)7.1.2. 일본어의 독주와 아랍어의 성장 (2004~2008학년도)7.1.3. 1차 아랍어 전성기 (2009~2013학년도)7.1.4. 짧았던 베트남어 전성기와 아랍어의 부활7.1.5. 2차 아랍어 전성기 (2017~2021학년도)7.1.6. 절대평가와 한자문화권 시대로의 회귀 (2022학년도~)
7.2. 이야깃거리
8.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시 신설되어 현재까지 시행되는 수능의 영역 중 하나인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식 퍼스널·답안지 색상은 ●주홍색(주색: #F08537 / 보조색: #FEF4EB)이며, EBSi 연계 교재에서는 수 년간 붉은 색을 사용했으나, 2021학년도에 영어 영역과 함께 플라밍고 색으로 통일되었고, 2022학년도부터는 영어 영역과 통일되어 주홍색으로 바뀌었다. 내지색은 흑백을 사용하기도 하나 PDF 파일로만 제공될 경우 다채로운 색상으로 구성된다.

2. 선택 과목 종류

제2외국어/한문 영역 선택 과목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9em"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6차 독일어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7차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한문
'09 개정 기초 베트남어 한문Ⅰ
'15 개정 베트남어Ⅰ
'22 개정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
}}}}}}}}} ||

3. 반영 대학 (2022학년도 기준)

제2외국어/한문 영역 반영 대학
수시 모집 - 수능 최저학력기준
<rowcolor=#fff> 학교 성균관대 강원대 한국교원대 영남대
대상 인문계열
  • 독어교육과(독일어Ⅰ)
  • 불어교육과(프랑스어Ⅰ)
  • 중국어교육과(중국어Ⅰ, 한문Ⅰ)
  • 중국언어문화학과(중국어Ⅰ, 한문Ⅰ)
  • 일어일문학과(일본어Ⅰ)
  • 유럽언어문화학부(프랑스어Ⅰ, 독일어Ⅰ)
  • 한문교육과(중국어Ⅰ, 한문Ⅰ)
반영 방법 사회/과학탐구 1과목 대체 가능 사회탐구 1과목 대체 가능 사회/과학탐구 2과목 + 제2외국어/한문 1과목 중 상위 2과목 등급 평균 자동 반영 사회/과학탐구 2과목 + 제2외국어/한문 1과목 중 상위 1과목 등급 자동 반영
정시 모집 - 탐구 대체
<rowcolor=#fff> 학교 부산외대 성공회대 한국교원대 전북대
대상 전 모집단위 인문융합자율학부
  • 독어교육과(독일어Ⅰ)
  • 불어교육과(프랑스어Ⅰ)
  • 중국어교육과(중국어Ⅰ, 한문Ⅰ)
  • 독일학과(독일어Ⅰ)
  • 독어교육과(독일어Ⅰ)
  • 스페인중남미학과(스페인어Ⅰ)
  • 프랑스아프리카학과 (프랑스어Ⅰ)
  • 일본학과(일본어Ⅰ)
  • 중어중문학과(중국어Ⅰ)
반영 방법 사회/과학탐구 1과목 대체 가능 사회/과학/직업탐구 1~2과목 + 제2외국어/한문 1과목 중 백분위 점수 상위 1과목 반영 사회/과학탐구 2과목 + 제2외국어/한문 1과목 중 백분위 점수 상위 2과목 평균 자동 반영 사회/과학탐구 1과목 대체 가능
정시 모집 - 가산점 부여
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대상 독일어문·문화학과(독일어Ⅰ), 프랑스어문·문화학과(프랑스어Ⅰ), 일본어문·문화학과(일본어Ⅰ), 한문교육과(한문Ⅰ)
등급 1 2 3 4 5 6 7 8 9
가산점 +2.0 +1.5 +1.0 +0.5 +0.0
정시 모집 - 감점 적용
학교 서울대학교
대상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전체학과 및 농업생명과학대학[1], 사범대학[2], 생활과학대학[3] 일부학과
비고 필수 응시
등급 1 2 3 4 5 6 7 8 9
감점 -0.0 -0.5 -1.0 -1.5 -2.0 -2.5 -3.0 -3.5

4. 대학 입시에서의 효용성

웬만한 대학들이 정시 모집이나 수능 최저에 반영하는 나머지 5개의 영역 [4]과는 달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일부 학교에서만 입시에 반영하고 있다. 그나마도 다 인문계 한정으로, 자연계 입시에서는 어디에서도 반영하지 않는다.

4.1. 상대평가 시절 (2021학년도 이전)

서울시립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서울의 주요 대학들은 제2외국어로 탐구 하나를 대체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주고 있어 이들 학교에 정시 지원을 하는 학생들에게는 일종의 탐구영역에 대한 보험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학교에 따라 사회탐구만 대체할 수 있는 학교가 있고 (문과에서), 사탐 / 과탐 모두 대체할 수 있는 학교도 있으며 (나형과탐), 수시 최저에도 적용 가능한 학교들도 있다. 다만, 과탐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해도 95%는 문과 입시에서만 대체 가능하다. 물론 서울권 대학이 대체가 많다고는 하지만 고려대, 서강대 등 제2외국어를 아예 반영하지 않는 학교도 제법 있다.
또한 정시에서 제2외국어를 응시한 수험생에게 해당 응시한 과목과 동일한 계열의 학과에 지원할 경우 가산점을 주는 학교도 있다. 대표적인 곳이 부산대학교. 독일어 응시자는 독어독문학과 및 독어교육과, 프랑스어 응시자는 불어불문학과 및 불어교육과, 한문 응시자는 한문학과, 일본어 응시자는 일어일문학과, 중국어 응시자는 중어중문학과, 러시아어 응시자는 노어노문학과 지원 시 5%가산점이 부여된다.

하지만 위 이야기도 2022학년도 수능부터 제2외국어/한문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됨에 따라 언제 그랬냐는 듯 싹 다 없던 일이 되고 말았다.

4.2. 절대평가 시대 (2022학년도 이후)

사탐과목으로 대체해 주던 대학들이 성균관대학교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서울권 및 인천[5]의 4년제 대학교가 대체를 폐지하였다. 성균관대학교는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점수에 자체 차등을 두어서 사탐 등급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되어 특별히 스펙을 쌓는다던가, 수시나, 일부 대학 전형에서의 필수응시, 가산점을 제외하고는 응시할 학생수가 기존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이는 대학에서도 상대평가인 탐구 과목과 절대평가인 제2외국어/한문영역을 더 이상 동일시하게 보기 힘들다는 뜻이다.

유일하게 서울대학교가 인문계열 정시 모집에 한하여 필수 응시 조건을 걸어놓았다.[6]2등급까지는 감점이 없으며 2등급에서 한 등급 내려갈 때마다 0.5점씩 차등 감점. 국어 2점 하나만 틀려도 약 1-2점이 감점되므로, 서울대학교 정시 모집의 제2외국어 감점 체계는 관대한 편이다. 물론, 인문계 내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하는 일부 학과의 경우 제2외국어 감점으로 당락이 갈리는 경우 또한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이 곳에 원서를 넣을 학생은 못해도 3등급, 최소 4등급은 받는 것이 좋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는 문·이과 구분이 사라지기 때문에 이과 수험생(과학탐구 응시생)들도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응시하면, 서울대 인문계열 정시모집에 교차지원이 가능하다.

실제로, 문·이과 통합 수능이 처음 적용된 2022학년도 서울대학교 정시 모집에서 인문·사회계열 최초 합격자의 44%가 이과생이였다. 관련기사 과학 탐구 Ⅱ과목을 응시하지 않아도, 제2외국어/한문 영역만 응시하면 자연 계열을 제외한 학과에 지원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특히, 과학 탐구 Ⅱ과목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 필수 응시 조건이 빠진 자유전공학부는 최초 합격자의 94.6%가 수학 선택과목에서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학생이다.[7]

일부 대학의 경우 제2외국어 관련 학과 (어문학과, 제2외국어 교육과)에 지원할 때 해당 제2외국어 과목에 대하여 필수 응시 조건을 걸어놓는 경우도 있다. 절대평가이므로 반영 방식은 대학별로 다르니 주의하자. 한국사 영역과 마찬가지로 고2 겨울방학, 고3 여름방학 때 교과서 중심으로 틈틈이 해 두면 3등급은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다.[8] 보통 학교에서 배운 과목을 하는 경우가 많다.[9]

2024학년도에 서울대학교는 자연 계열에 과탐II과목 필수 응시를 폐지하였으나, 인문 계열 제2외국어, 한문 영역 필수 응시 기조는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입시를 위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생각에 좋은 시험장 분위기를 위해 선택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10]

5. 난이도

절대평가로 전환되기 이전에는 학력고사식 문제 유형과 상대평가라는 특성이 겹쳐서 헬게이트를 이루었다. 그런데도 인지도가 낮아서인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상대평가 시절, 제2외국어 등급 받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예를 들자면, 2019 수능에서 독일어에 응시한 수험생은 약 1,200명이었다. 서울대 정시 필수 영역이며, 해당 언어의 전공 외고생도 도망치는 중에 자신 있게 응시했으니 응시생들의 수준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거기서 정답률 37%짜리 킬러 문제를 맞혀서 2등급에 안착한 수험생은 단 160명뿐이다.

또한 EBS 강의의 경우 암기 사항들을 언어학적으로 풀어 설명하는 것이 아닌, 이런 내용이 있다고 책 읽어 주며 소개하는 식에 가깝다 보니 결국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은 수험생들의 몫이다. 일례로 2019 수능 스페인어에서의 4등급 킬러문제는 "(그녀는 24살이야. 나는 2살을 가지고 있어.) 저 말을 한 화자의 나이는?"이었는데 답은 22살이었다. '나는 2살을 가지고 있어.'라는 말은 '나보다 2살 연상이야.'의 관용표현으로 저렇게 직역으로는 이해가 불가능한 관용 표현이 무작위로 하나 출제된다. 이와 같이 교재에 나오는 내용을 전부 외워야 맞힐 수 있는 수준이며, 그렇게 맞히더라도 고작 4등급이다. 즉 열심히 공부하고도 저 관용 표현을 못 맞혀서 5등급이 될 수도 있는 것.

주관적인 면도 있지만 경험자들의 증언을 어느정도 모아 보자면, 유럽언어기준 어학시험 B2를 취득한 외고생이 제2외국어 만점이 아닌 1등급을 받았다고 한다. B2가 어느 정도냐면, 읽기 기준으로 기사, 보고서, 현대 산문 문학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11] 해당 언어를 가르치는 학원 강사들의 실력이 B2~C1 정도이다. 수능 해설강의 중 강사가 킬러 문제를 보고 놀라워하며 B2 준비생들이 공부하는 내용이라고 말한 적도 있다. 그리고 A2[12] 취득자가 3등급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00년대 후반 ~ 10년대 초반에 걸친 아랍어 응시자 편중 현상이 심화되기 전까지는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수능 시험은 2학년 교과서에서만 출제되었고 고등학교 2학년 때 처음 해당 언어를 접한 수험생이 2년간 다른 과목도 공부하면서 틈틈이 시간을 쪼개 공부하는 정도로도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이 가능했다. 하지만 평가원은 아랍어 쏠림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했으며 아랍어와의 표준점수를 조정하기 위해 타 과목들을 어렵게 출제하는 방식으로 손을 썼는데 이것이 아랍어를 제외한 모든 제2외국어 과목들의 헬게이트를 초래하게 된 것. 결국 이는 제2외국어/한문 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원인이 되고 말았다.

6. 역대 응시자 추이

학년도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베트남어Ⅰ 한문Ⅰ
2001 82,625 63,448 3,892 24,127 93,180 1,079 - - -
2002 60,874 46,218 2,425 21,945 67,363 637 - - -
2003 42,813 34,254 2,054 18,674 64,093 551 - - -
2004 35,837 28,141 1,916 22,796 72,828 554 - - -
2005 8,245 6,415 1,504 19,022 57,166 814 583 - 21,175
6 10,213 9,066 1,256 19,057 49,668 324 1[13] - 16,420
9 6,416 5,292 980 11,441 27,172 244 397 - 8,321
14,910 11,502 1,598 19,491 52,682 423 531 - 22,056
2006 6 4,252 4,099 882 10,015 25,468 537 1,137 - 9,591
9 3,642 3,725 722 8,430 21,603 387 902 - 8,081
8,706 7,449 1,369 15,362 42,758 566 2,184 - 18,568
2007 6 3,096 3,022 734 9,192 19,556 372 26 - 8,189
9 2,832 2,799 816 8,580 17,953 356 1,412 - 7,194
6,564 5,648 1,548 15,940 38,009 826 5,072 - 17,236
2008 6 2,387 2,808 983 8,018 16,318 509 2,120 - 8,679
9 2,415 2,797 971 8,137 15,804 527 3,841 - 9,052
4,559 4,849 1,920 14,024 31,349 1,283 13,588 - 17,625
2009 6 2,454 2,815 1,384 8,430 16,486 605 3,820 - 8,665
9 2,195 2,549 1,230 7,461 14,028 692 7,429 - 8,205
3,853 4,296 2,530 13,445 27,465 1,918 29,278 - 16,908
2010 6 2,181 2,645 1,771 7,793 14,062 995 7,402 - 9,851
9 1,911 2,423 1,610 7,196 13,159 1,086 14,092 - 8,938
3,503 4,172 3,685 12,666 25,630 3,275 51,141 - 16,745
2011 6 1,874 2,529 1,905 6,842 12,231 1,193 8,084 - 8,613
9 1,677 2,077 1,531 5,303 9,398 1,162 12,296 - 6,924
2,889 3,433 3,334 9,962 19,931 3,270 49,116 - 15,442
2012 6 1,672 2,266 1,782 5,574 8,934 1,005 6,668 - 6,081
9 1,521 1,970 1,581 4,473 7,319 1,206 9,966 - 5,497
2,476 3,121 3,231 7,873 14,720 3,612 39,678 - 11,866
2013 6 1,496 1,941 1,534 4,857 6,923 1,078 5,505 - 5,180
9 1,414 1,758 1,476 4,046 5,529 1,232 7,371 - 4,376
2,310 2,701 2,839 7,169 11,661 3,875 27,844 - 9,383
2014 채점결과 비공개
6 1,472 1,751 1,508 4,926 6,361 668 3,332 4,506 3,979
9 1,252 1,386 1,286 3,739 4,276 755 2,944 7,189 3,202
1,734 2,007 1,894 5,782 7,884 1,746 9,969 22,865 6,329
2015 6 1,286 1,404 1,406 3,998 4,794 694 3,016 6,343 3,069
9 1,037 1,163 1,125 3,077 3,717 515 3,892 9,123 2,550
1,628 1,697 1,710 4,952 7,174 978 12,356 27,509 5,221
2016 6 1,403 1,514 1,389 3,780 4,476 709 6,693 5,446 2,950
9 1,158 1,212 1,209 2,726 3,352 518 10,393 5,929 2,332
1,432 1,558 1,481 4,318 6,378 921 37,526 13,041 4,367
2017 6 1,224 1,234 1,228 3,406 4,092 661 11,505 1,665 1,871
9 915 927 879 2,491 2,976 480 14,822 1,507 1,398
1,255 1,288 1,263 3,982 5,987 807 52,626 3,613 3,147
2018 6 937 1,064 1,108 2,743 3,400 611 10,521 598 1,478
9 768 837 837 2,024 2,507 394 14,030 558 1,163
1,152 1,227 1,194 3,704 5,874 767 51,882 1,948 2,882
2019 6 907 989 1,017 2,663 3,170 495 8,896 504 1,351
9 736 779 823 2,139 2,395 373 12,044 560 1,194
1,191 1,248 1,304 3,881 6,188 688 47,298 2,091 2,973
2020 6 774 826 922 2,616 2,719 437 7,290 450 1,105
9 678 726 806 2,128 2,152 357 10,305 461 1,035
1,192 1,200 1,267 3,892 5,567 620 47,074 1,527 2,772
2021 6 684 783 923 2,293 2,231 383 5,732 249 1,005
9 616 700 778 1,928 1,842 254 7,893 230 779
998 1,209 1,265 3,707 5,626 494 38,157 764 2,631
절대평가 전환
2022 6 592 827 932 2,372 2,313 263 1,009 142 1,048
9 564 791 1,011 2,373 2,207 213 987 142 1,408
1,194 1,730 2,080 6,119 8,395 408 7,062 491 5,764
2023 6 536 753 830 1,976 1,736 226 360 100 1,036
9 524 743 891 2,079 1,804 193 502 128 1,522
1,496 2,170 2,791 7,132 10,358 479 5,424 420 9,871
2024 6 465 680 769 1,633 1,548 196 316 106 815
9 466 714 804 1,710 1,620 200 290 96 1,254
1,555 2,120 3,069 6,733 10,925 460 3,823 372 9,983
2025 6 383 605 757 1,473 1,540 168 193 47 880
9
학년도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베트남어Ⅰ 한문Ⅰ

7. 여담

7.1. 연혁

7.1.1. 초창기 (2001~2003학년도)

대학입학 학력고사의 정규 과목 중 하나였던 제2외국어는 1993년 수능이 출범하면서 체력장과 함께 시험 과목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율이 높은 체육과 달리 제2외국어를 공부하려 하는 학생은 드물었고, 결국 제2외국어 교육이 위기에 처하자 평가원은 2001학년도 수능부터 제2외국어 영역을 학생 선택으로 추가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전까지는 대다수의 학교가 학생들에게 가르칠 외국어를 강제로 지정했기 때문에 실제 활용도에 비해 독일어와 프랑스어 학습률이 매우 높았다. 독일어는 산업화 시절 파독 광부간호사를 양성하면서 가르치기 시작했고, 이후 1967년 동백림 사건으로 서독과의 관계가 서먹해지고, 대신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14]을 꾀하며 프랑스어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이 때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참고로 당시 고등학교에서는 남자는 독일어, 여자는 프랑스어를 배우는 학교가 많았고, 때로는 이과는 독일어, 문과는 프랑스어를 가르치거나 반대인 경우가 비일배재했다.[15]

그러다 6차 교육과정이 도입된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학교에서 2가지 이상의 제2외국어 과목을 개설하여, 학생이 자신이 배울 외국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다수 학교들은 본래 선택하고 있던 불어와 독어 외에 일본어를 추가로 개설하였으며, 당연하게도 많은 학생들이 한국어와 문법과 단어가 유사하여 배우기 쉬운 일본어를 선택하기 시작하였다. [16] 따라서 수능에 제2외국어 영역을 도입한 초기에는 일본어가 1강을, 그리고 2위 자리를 두고 프랑스어와 독일어가 경쟁하는 모양새를 띠었다. 한편 1990년대 한중수교 이후 중국어를 가르치는 학교들도 증가하기 시작했지만, 위의 3대 언어에는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참고로 도입 초기의 신생 과목들이 으레 그러하듯 초창기 제2외국어 난이도는 언어불문 쉬운 편이었다. 특히 2001학년도의 제2외국어 과목 난이도는 충격과 공포 수준이라서, 대다수 교과목이 노베이스 상태에서 며칠만 공부하면 40점을 맞을 수 있는 수준으로 나와 엄청난 욕을 먹기도 했다.[17]

선택자 수: 일본어>독일어>프랑스어>>>중국어>>>스페인어>러시아어

7.1.2. 일본어의 독주와 아랍어의 성장 (2004~2008학년도)

2000년대 중반에 이르면, 일본어 선택자 비율은 갈수록 늘어 2004 수능부터는 일본어 선택자가 독일어와 프랑스어 선택자의 합을 뛰어넘는 수준에 달한다. 프랑스어와 독일어는 각 학교들이 아예 폐지하는 경우가 점점 더 늘어 중국어에도 밀리는 수치를 보여주었으며, 결국 일본어의 독주 체제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리고 2005학년도에는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며 한문과 아랍어가 선택과목으로 추가되었다. 수능의 영역 이름이 '제2외국어 영역'에서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바뀐 것도 이 05 수능부터다. 아랍어는 당시 제3국가와의 친선 증대를 기대하며 신설된 교과목이었지만,[18] 가르치는 교사도, 배우려는 학생도 없어 선택자는 극소수였다. 2005학년도 6월 모의고사에서는 아랍어 응시자가 단 한 명이었다! 심지어 출제위원은 무려 8명이었다고 한다. 반면 한자 좀 안다는 학생들이 한문을 선택하면서[19] 한문은 중국어와 함께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제치고 나란히 2, 3위로 올라갈 수 있었다.

그러나 2006학년도부터는 아랍어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즉, 학교에서 가르치는 외국어와 수능으로 보는 외국어 사이의 괴리가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첫 번째 원인은 일본어의 고인물화였다. 당시 일본어 상위권은 외고 출신 굇수들과 일본 문화 개방으로 TV에서 원어로 틀어주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실력을 쌓은 오타쿠들의 올스타전으로 변질되었으며, 아무리 노력해도 이런 고인물들을 뛰어넘을 수 없을 것이라는 회의감은 느낀 중하위권 수험생들은 다른 선택지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러나 나머지 언어들도 외고 출신 실력자들이 꽤 많았기 때문에 도전하기 쉽지 않았고, 그 때 수험생들의 눈에 띈 것이 아랍어였다. 일단 한국에 아랍어를 잘 아는 학생이 거의 없을 뿐더러 시중에서 아랍어 교재를 구하는 것도 힘들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랍어 글자도 모르는 상태로 시험장에 들어갔고 결국 2006 수능에서 다 찍었는데 1등급을 맞는 사례가 나오면서 로또를 노리는 수험생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이는 2007~2008학년도를 거치며 가속화되었고, 2009학년도부터는 입시에 관심있는 사람이면 "제2외국어/한문=아랍어" 공식은 모르는 사람이 없는 지경에 이른다.

선택자 수: 일본어>>>한문>중국어>아랍어>>>독일어, 프랑스어>>>스페인어>러시아어

7.1.3. 1차 아랍어 전성기 (2009~2013학년도)

2008학년도에 선택자 만 명을 돌파하며 이제는 과거의 영광을 모두 잃어버린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가볍게 뛰어넘은 아랍어는 2009학년도에 중국어, 한문, 그리고 일본어를 제끼고 선택률 1위 언어로 자리매김했다. 물론 평가원이 이럴 때까지 손 놓고 방관하고만 있던 것은 아니었다. 평가원은 타 언어에 비해 낮은 수험생들의 실력에 맞추어 아랍어의 난이도를 대폭 하향 조정했으나, 평가원이 간과한 것은 아랍어를 선택하는 대다수 학생들은 난이도와 상관없이 찍기 신공으로 표점과 등급을 노리는 모범생과는 거리가 먼 부류였다는 것이다(...) 결국 이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고 수험생을 뺏긴 타 언어, 특히 일본어 출제 교수들로부터 "아랍어 너무 쉽게 내는 거 아니야?"라면서 견제가 들어오자 평가원은 다시 난이도를 올렸고, 결국 아랍어는 막장 과목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 당시 아랍어의 막장성을 제대로 보여주는 지표는 제2외국어뿐만 아니라 타 과목이라면 상상도 못할 어마무시한 등급컷이다. 아랍어가 왕좌를 차지한 첫 해인 2009학년도 수능의 아랍어 1등급 컷은 23점, 2등급 컷은 17점이었다. 50점 만점이므로 반타작에 실패해도 1등급, 2/3 가까이 틀려도 2등급이라는 절망의 등급컷이 나온 것이다. 그나마 공부 재료도 늘어나고 학습 열의를 가지고 공부하는 상위권 학생들도 꽤 유입되면서 2011 수능에서는 1컷이 43까지 올라갔다! 물론 2컷은 여전히 20점으로 중하위권 이하는 그대로 막장이라는 걸 보여주었다. 참고로 아랍어 열풍을 지켜본 전통의 비인기 언어 러시아어도 열심히 호객 행위에 나서면서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제치는 등 잠깐의 호황기를 맛보게 되었다. 당시 러시아어 역시 2등급컷 20점대로 상당히 막장화가 진행된 상태였다.

선택자 수: 아랍어>>>일본어>한문>중국어>>>러시아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7.1.4. 짧았던 베트남어 전성기와 아랍어의 부활

2014학년도에는 베트남과의 교류 및 베트남인과의 국제결혼 증가로 수능에도 기초 베트남어 과목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베트남어 역시 과목이 개설된 학교(외고 포함)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7~8년 전과 똑같은 짓을 하기 시작했다. 결국 베트남어는 첫 해에 아랍어를 2배 차이로 제끼고 선택자 수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아무래도 베트남어는 비교적 친숙한 라틴 문자를 사용했기에 아랍어보다는 공부하기 수월한 편이었고, 결국 2015학년도에는 상위권 수험생들이 어느 정도 몰려든 베트남어의 1등급컷은 47점, 반면 조금이라도 공부 의지가 있었던 학생들이 빠져나가 개막장들만 남게 된 아랍어의 등급컷은 23점을 찍으면서 아랍어로 되돌아가는 학생들이 속출하기 시작했다. 한편 아랍어와 베트남어의 막장 대첩에 다시 아웃 오브 안중으로 밀려난 러시아어는 다시 세 자릿수로 떡락하게 되었다.

15수능 아랍어 1등급컷 23점을 본 수험생들은 베트남어를 떠나 다시 대거 아랍어를 선택하기 시작했다. 베트남어 또한 아랍어보다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었기에 베트남어의 선택자 수도 1만명을 넘나드는 수준으로 몰락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16 수능 현역 응시생들이 재수, 삼수생들이 많은 베트남어를 기피하고 다 함께 찍는 수준인 아랍어로 몰린 결과, 아랍어의 응시생이 베트남어보다 3배에 달하는 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는 16 수능에서 아랍어 1등급 컷 23점과 베트남어 1등급 컷 49점이라는 처참한 결과를 보여주며 베트남어에 완전히 사형 선고를 내리는 수준이 되어 버렸다.

아랍어와 베트남어 단 둘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나머지 다른 외국어 과목들은 점점 더 선택률이 떨어져 갔고, 그나마 학생들이 많이 배우고 익숙한 일본어, 한문, 중국어 과목은 응시자 수가 소량이나마 유지되었으나, 유럽권 언어들은 소수의 외고생을 제외하면 아무도 안 치는 과목으로 전락하게 된다.

선택자 수: 베트남어>>아랍어>일본어>한문>중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러시아어

7.1.5. 2차 아랍어 전성기 (2017~2021학년도)

결국 2016 수능에서 아랍어가 1위를 되찾은 후, 2017~18학년도 2년 연속 선택자 수 50,000명대를 넘기며 과거의 위엄을 되찾을 뿐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선택자 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단 1~2년 사이에 베트남어가 1~2위를 다투는 자리에서 꼴찌를 다투는 자리로 떨어졌다는 게 놀라운 사실이라면 사실이었다. 다만 1차 전성기 때나 15~16 아랍어의 부활기와 다르게 상위권 수험생들도 본인이 다른 언어에 숙달되지 않은 이상 모조리 아랍어를 선택하는 것이 국룰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1등급 컷은 꾸준이 40점대 초반에서 형성되고 있다. 2021학년도 기준 EBSi메가스터디, 이투스, 대성마이맥 등 주요 인강 사이트들은 아랍어 강사를 한 명씩 두고 있고 연계교재의 문제 퀄리티도 뛰어난 편이기 때문에 1등급을 맞아서 사회탐구를 위한 보험 과목으로 써먹고 싶다면 열심히 공부하는 것만이 살 길일 것이다. 물론 타 언어는 40점대 초반이면 3등급, 심하게는 4등급이 나올 때도 있는지라 아랍어의 1컷도 상당히 자비로운 컷이긴 하다.

다만 2컷부터는 여전히 20점대로 막장 상태이긴 하다. 그러다 보니 로또를 노리는 수험생들이 매해 몰려드는 바람에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아랍어 선택자 수가 나머지 8과목 선택자 수 총합의 2배를 넘는 기형적인 과목이 되어 버렸고 과거처럼 찍는다고 1~2등급을 맞긴 어렵겠지만 그래도 다 찍었는데도 3~4등급 맞는 사례들이 꾸준히 나오면서 평가원은 진지하게 해결책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결국 2022학년도부터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절대평가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나머지 과목들을 살펴 보자면 대부분의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고 네이티브나 고인물도 꽤 많은 일본어, 중국어, 한문이 2위권을, 서유럽 3대 언어인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가 5위권을 형성하고 있고 2010년대 초중반의 황혼기를 끝으로 상당한 고인물화가 진행된 베트남어와 러시아어가 최하위에 위치하고 있다.

선택자 수: 아랍어>>>>>일본어>중국어>한문>>>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베트남어>러시아어

7.1.6. 절대평가와 한자문화권 시대로의 회귀 (2022학년도~)

2022학년도부터 시행될 절대평가 등급컷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5년 전에 절대평가화된 한국사 등급컷과는 5점씩 차이난다. 서울대학교를 노리는 최상위권 수험생은 2등급 컷인 40점 이상을 받아야 만점 판정을 받아 감점을 피할 수 있다. 같은 50점 만점이지만 3등급 컷인 30점 미만부터 감점이 시작되는 한국사 영역과는 사뭇 다른 모습.
1등급컷 2등급컷 3등급컷 4등급컷 5등급컷 6등급컷 7등급컷 8등급컷
45 40 35 30 25 20 15 10

절대평가로 전환되며 제2외국어 선택의 유불리가 없어졌기 때문에 일본어, 중국어, 한문 세 언어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제로 2022학년도에 아랍어가 지원자수 1위를 유지했으나 정작 응시자수는 2위로 밀려났고 일본어가 1위를 차지하였다.

즉, 현재는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아랍어와 한국인에게 친숙한 일본어, 중국어, 한문이 선택자 수 선두권을 형성하고 외고 전공자가 많은 독일, 프랑스, 스페인어가 2군을, 러시아어와 베트남어가 꼴지를 다투고 있다. 여기에 동북아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언어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선택자 수 1위, 3위, 4위이며, 이는 전체 2외국어 선택자 전체의 61%로 전년도의 21%에 비하여 3배 증가하였다. 2023학년도 수능에서는 제2외국어 응시자 수가 이례적으로 폭증하여 4만명을 돌파하였고, 한자문화권 언어가 1-3위를 연달아 차지하며 전체 5교시 응시자 중 68%를 차지하였다. 이는 5교시를 선택하는 학생들은 시험장 분위기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중위권 이상 수험생들이 대다수라는 속설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20]

선택자 수: 일본어, 한문>중국어>아랍어>>스페인어, 프랑스어>독일어>>>베트남어, 러시아어

7.2. 이야깃거리

8. 둘러보기 틀

구분 시간 진행 요령 및 비고
수험생 입실 완료 08:10까지
1교시 감독관 입실 08:10 - 시험실 책상 및 개인 소지품 정리·정돈
- 유의사항 설명,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펜 등 배부
- 책상에 부착된 문제 유형(홀·짝수형) 확인
- 수험생 본인 여부 및 시계 확인
- 해당 교시 미선택자 확인 및 대기실로 이동
예비령 08:25 - 신호음은 ― · / ― · / ― · / ― · 임(이하 생략).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준비령 08:35 - 신호음은 · · / · · / · · / · · 임(이하 생략).
- 문제지 배부
-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24면) 확인, 문형 표기, 필적 확인 문구 기재
본령 08:40 - 신호음은 ― 으로 3초간 길게 이어짐.(이하 생략.)
국어 영역 시험 08:40 ~ 10:00 (80분)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종료령 10:00 - 신호음은 ········ 임.(이하 생략.)
휴식 10:00 ~ 10:20 (20분)
2교시 예비령 10:20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준비령 10:25 - 문제지 배부
-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24면) 확인, 문형 표기, 필적 확인 문구 기재
본령 10:30
수학 영역 시험 10:30 ~ 12:10 (100분)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종료령 12:10
점심 12:10 ~ 13:00 (50분)
3교시 예비령 13:00 - 수험생 본인 여부 및 시계 확인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준비령 13:05 - 문제지 배부
-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12면) 확인, 문형 표기, 필적 확인 문구 기재
음질 테스트 및 듣기평가 안내 방송 13:07 ~ 13:10 (3분) - 타종(신호음) 없이 듣기평가 안내방송에 의해 시작
영어 영역 시험
※ 듣기평가 25분 이내
13:10 ~ 14:20 (70분)[1]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종료령 14:20
휴식 14:20 ~ 14:40 (20분)
4교시 예비령 14:40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준비령 14:45 - 문제지 배부 및 필적 확인 문구 기재
- 한국사 영역 문제지 문형·페이지 수(8면) 확인, 문형 표기
본령 14:50
한국사 영역 시험 14:50 ~ 15:20 (30분)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종료령 15:20 - 한국사 영역 문제지·답안지 회수
- 탐구 영역 미선택자 대기실로 이동
예비령 15:25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지시
준비령 15:30 - 문제지 배부 및 제1 선택과목 문제지 확인
- 필적 확인 문구 기재
본령 15:35
탐구 영역 시험
사회탐구
과학탐구
직업탐구
15:35 ~ 16:37 (62분)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 탐구 영역 선택과목 수별 별도 운영
- 시험 본 과목의 문제지 회수 시간은 2분임.
종료령 16:37
휴식 16:37 ~ 16:55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미선택자는 퇴실 지시가 나올 때까지 대기
5교시 예비령 16:55 - 답안지 배부 및 작성 시 유의사항 설명
- 성명, 수험번호 등 기재 및 표기
준비령 17:00 - 문제지 배부 및 필적 확인 문구 기재
본령 17:05
제2외국어/한문 영역 시험 17:05 ~ 17:45 (40분) - 감독관은 응시원서와 본인 대조
- 결시자 등 감독관 확인사항 처리 및 날인
종료령 17:45

[1] 듣기평가(13:05 ~ 13:40) 진행 중에는 긴급용 항공기를 제외한 일반 항공기, 헬기, 군용기, 드론 이착륙이 전면 금지되며 영공을 비행하는 경우 듣기 평가 종료시까지 항공 관제기관의 항공고시보 통제하에 해안선에서 3NM(5.6Km), 해발고도 10,000ft(3,048m) 이상의 영공에서 대기하여야 한다. 또한 고사장 주변 소음 특별통제를 하며 군사훈련, 소음이 발생되는 작업 또한 중단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화
신설 제2외국어 영역
(2001~2004 수능)
제2외국어/한문 영역 [22]
(2005 수능부터)

[1] 농경제사회학부 한정[2] 교육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독어교육과, 불어교육과,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윤리교육과 한정[3] 소비자아동학부, 의류학과 한정[4] 국어 영역, 수학 영역, 영어 영역, 한국사 영역, 탐구 영역[5]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6] 인문계열 학생이 원서를 넣을 수 있는 학과 중 자유전공학부를 제외하면 모든 과에서 응시 필수이다.[7] 단, 해당 기사에서는 이과를 미적분/기하 선택자로 의미했다. 즉, 미적분+사탐 선택자는 문과가 아닌 이과로 취급한 것이다. 게다가, 선발 때 문이과를 안 가리는 간호학과와 자유전공학부까지 포함해서 44%다. 실제로는 이보다 비율이 적다.[8] 단, 1등급 컷이 40이 아닌 45이므로 1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예전만큼은 아니더라도 확실하게 전체적인 개념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9] 대부분의 고등학교가 일본어, 중국어를 채택하므로 일본어, 중국어 응시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10] 시험장 분위기를 해칠 가능성이 큰 하위권 학생들은 대부분 5천원을 더 들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굳이 응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으로 깔려있고, 이는 반쯤 사실이다.[11] 영어 기준으로는 상대평가 시절 1등급(상위 4%)을 고정적으로 맞을 정도면 대략 B2에 해당한다.[12] 유럽언어기준에 따르면 A2를 취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260시간이다.[13] 이 당시 응시자가 1명이라서, 등급을 산출하지 않았다.[14] 1965년 한불 문화 및 기술협력협정, 1971년 한불 기술 초급 대학 설립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시기에 프랑스의 원조를 받아 아주대학교가 설립된다.[15] 특히 독일어는 단어가 매우 긴 것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서 나비 - schmetterling, 펜 - kugelschreiber, 과학 - naturwissenschaften, 미안합니다 - entschuldigung 등 당시 고등학생들은 이런 단어들을 수월하게 쓸 수 있도록 다 외워야 했다.[16] 참고로 그 전까지 일본어 교육이 부진했던 이유는 일제 강점기라는 역사적 연원과 더불어, 1970년대 본고사 시절 서울대학교에서 일본어를 본고사 제2외국어 과목에서 제외했기 때문이었다. 중국어 교육은 중공과의 교류가 적었던 데다가, 4차 교육과정까지 대만식 중국어를 가르쳤기 때문에 수요가 매우 부족하여 인기가 없는 편이었다.[17] 전체 응시자의 22.6%에 달하는 59370명의 만점자가 나왔다. 물론 01수능은 제2외국어 영역 외에도 역대급 물수능 난이도였다.[18]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재조명,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아폴로 안톤 오노 사건,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등으로 대한민국에 팽배해진 반미 감정과 맞물려 신설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아랍어 교과가 추가된 7차 교육과정김영삼 정부의 '95년 5.31 교육 개혁안에 따른 것으로 국민 감정과는 무관한 일이며, 시기도 완전히 다르다.[19] 한문이 선택과목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필수로 채택한 과목이라는 것도 영향을 주었다.[20] 실제 시험장에서 5교시를 선택한 학생들은 대부분 최상위권을 노리는 재수학원 출신인 경우가 많아, 결국 속설이 반쯤 사실이 된 케이스로 봐도 무방할 듯 하다.[21] 2023년 기준 아랍어와 베트남어는 아예 현직 교수가 강의를 맡고 있으며, 다수의 강사들이 석사 학위 소유자들이다. 단순히 학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데, 다수의 국내 동시통번역 활동, 저서 작성 등 교육 뿐만 아니라 본언어학계에서도 상당히 인정 받았을 정도이다. 다른 영역 강사들에 비하면 찍어야 할 강의 수가 매우 적어 꽤 수강생들에게 신경도 잘써준다.[22] 한문Ⅰ 이 신설되면서 제2외국어 영역에서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