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 | ||||||||||||||||||||
| | |||||||||||||||||||
| | 양이재 | | |||||||||||||||||
| | |||||||||||||||||||
┏ | ━ | ┓ | ||||||||||||||||||
┃ | 돈덕전 | ┗ | ━ | 생양문 | ━ | ━ | ━ | ━ | ━ | ━ | ━ | ━ | ┓ | |||||||
┃ | | | 정관헌 | | | |||||||||||||||
| ┃ | 석조전 | 준명당 | 즉조당 명례궁터 | 석어당 | | | ┃ | ||||||||||||
중명전 | 석조전 서관 | 정원 | 중화전 | 덕홍전 | 함녕전 | | | | ┃ | |||||||||||
ㅣ | 광명문 | | ||||||||||||||||||
| | 중화문 | | 금천교 | 대한문 | |||||||||||||||
┗ | ━ | | ━ | ━ | ㅡ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
<colbgcolor=#e3ba62> 덕수궁 포덕문 德壽宮 布德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5-1) | |
건축시기 | 1896년 추정 (창건) / 1912년 (이건) / 1954년 이전 (철훼) |
<colbgcolor=#e3ba62> 1919년 고종황제 장례 당시 포덕문(가운데). 왼쪽의 큰 문은 대한문이다. |
포덕문 현판[1] |
1. 개요
덕수궁의 궁문으로 동북쪽 담장에 있었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다만, 현재의 덕수궁 동북쪽 담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지금의 담은 일제강점기와 현대에 서쪽으로 물린 것으로, 포덕문 자리는 현재 태평로 한복판이다.2. 이름
포덕 뜻은 ‘덕(德)을 널리 베푼다(布)’이다.# ‘포(布)’는 직역하면 ‘베’인데, ‘넓게 펼쳐 베푼다’로 의미를 확장해서 사용했다.3. 역사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연간 이후 즉조당과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이 1년 뒤 1897년(건양 2년) 궁으로 돌아갈 때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고종은 애초부터 환궁을 경운궁으로 하려고 했는지,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면서 경운궁 공사를 실시했다.[2]이 때 포덕문도 지은 듯 하다. 확실한 건립 연대는 모르나, 1896년(건양 원년) 9월 13일[3]에 김철희를 포덕문 현판서사관으로 임명했다는 《승정원일기》 기사를 보아 그 무렵 완공한 듯 하다.# 이후 고종이 종묘 등 궁 밖에 나갈 때 주로 사용했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조선총독부가 태평로를 확장하면서 덕수궁 동쪽 담과 포덕문을 서쪽으로 후퇴시켜 옮겨지었다.
현재는 없으며 언제 헐었는지는 모른다. 다만, 1954년에 동국문화사에서 발행한 이철원이 지은 책 《왕궁사》에 실린 〈덕수궁지도〉에는 안보이는 것을 보아 그 이전에 철거한 듯 하다.
헐린 후 현판은 쌩뚱맞게 덕수궁 서문에 걸렸다. 이 현판은 2010년 11월 이전에 떼어냈고[4]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colbgcolor=#e3ba62> 평성문 자리 북쪽에 새로 지은 덕수궁 서문[5] |
4. 구조
1칸 짜리 문이다. 지붕은 맞배지붕이며 중앙 열에 문짝을 달았다.5. 여담
- 1899년(광무 3년)에 황의수란 사람이 포덕문을 통해 궁 안으로 들어와 고종의 처소인 함녕전까지 가서 “나는 서교를 널리 선전해 천자가 될 것이다.”란 말을 해서 체포되었고, 교수형을 당했다. 사실 천주교, 개신교의 포교가 허용받은 지 한참 지난 시기라 그 죄목으로 처형당한 건 아니었다. 궁에 무단 침입해 황제의 침전에서 자신이 천자가 되겠다고 한 게 문제.#
빼박 역적 인증
[1]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2]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고,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새로 짓는 것이나 다름없었다.[3] 음력 8월 7일.[4] 2010년 11월에 카카오맵에서 촬영한 사진에는 현판이 안보인다.[5] 사진 출처 - 카카오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