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1-26 15:36:27

덕수궁 덕홍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
영성문
상림원(배후림)흥복전 의효전
흥덕전 장옹대 양희당
운교 생물방소주방 어재실 양이재 함희당
사성당 우중배설청
내재실 선원전
좌중배설청
제기고
숙경재
돈덕전 생양문
환벽정 구성헌 덕경당 가정당 정관헌 수인당 양심당 포덕문
수풍당흠문각 만희당 석조전 준명당 즉조당
명례궁터
석어당 함유재 구여당
중명전 평성문 석조전
서관
정원 중화전 덕홍전 함녕전 영복당 공시청 비서원태의원 시강원
강태실 장방처소 광명문 내반원궁내부 원수부
용강문 승녕부 전무과 중화문
인화문
소방계 조원문 금천교 대한문
운교 건극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colbgcolor=#e3ba62> 덕수궁 덕홍전
德壽宮 德弘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5-1)
건축시기 1896년 (창건)
1904년 (중건)
1911년 (덕홍전 개조)
파일:덕홍전1.png
파일:덕수궁_덕홍전.jpg
<colbgcolor=#e3ba62> 덕홍전[1]
1. 개요2. 역사3. 구조4. 여담

[clearfix]

1. 개요

덕수궁전각이다. 함녕전 서쪽에 있다. 덕수궁의 건물들 중 (현대에 세운 시설물을 제외하고) 가장 나중에 지었다.

'덕홍(德弘)' 뜻은 '덕(德)이 넓고(弘) 크다'이다.

2. 역사

덕홍전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처음 지었다. 즉, 조선왕조 시절에는 없었다.
파일:경효전.png
<colbgcolor=#e3ba62> 덕홍전 자리에 있던 경효전[2]
원래 덕홍전 자리에는 경소전이 있었다. 경복궁에 있었는데 1896년(건양 1년)에 경운궁(덕수궁)으로 옮긴 것.[3] 이후 명성황후의 빈전으로 사용했으나 국장 이후에는 '경효전'으로 이름을 바꾼 뒤 혼전으로 활용했다. 이 때는 , 으로 침전 함녕전과 영역을 구분했다.
파일:경효전 의궤.png
<colbgcolor=#e3ba62> 《경운궁중건도감의궤》의 경효전 모습[4]
1904년(광무 8년) 경운궁 대화재로 경효전은 불탔다. 명성황후신주는 임시로 준명전 서행각에 봉안했다가 고종이 머물던 중명전 근처의 수풍당으로 이전했다. 이후 옛 경소전 모습대로 재건했지만 명성황후의 신주를 다시 이곳으로 옮기지는 않았다.[5][6]

이렇게 제례와 인연이 멀어지고, 또한 고종이 살던 함녕전과 가까워서인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경소전을 알현실로 고쳐 짓고 이름을 덕홍전으로 바꾸었다. 이 때, 창덕궁의 알현실로 개조되었던 인정전을 참고했다고 한다.

주변도 크게 달라졌다. 우선 함녕전과 영역을 구분하던 을 헐고 같은 영역으로 만들었다. 혼전 관련 시설들을 전부 없애고, 대신 덕수궁 내 이왕직 청사[7] 및 귀빈실과 찬시실 등을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귀빈실 및 함녕전과 통하는 복도를 설치했다. 함녕전에 거주하던 고종이 편하게 덕홍전을 오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었다.
파일:일제강점기 덕홍전 실내1.png
<colbgcolor=#e3ba62> 1925년 12월 호 《조선과 건축》[8]에 실린 일제강점기 덕홍전 실내[9]
1919년 고종 승하 이후 덕수궁은 비었고 그 후 1933년 일제덕수궁공원화하면서 많은 전각들을 허물었다. 그럼에도 덕홍전은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파일:덕홍전 정면 출입문.png}}} ||
파일:덕홍전 측면 출입문.png
||
<colbgcolor=#e3ba62> 파일:덕홍전 정면 출입문 <colbgcolor=#e3ba62> 파일:덕홍전 측면 출입문
은, (문이 있는)각 칸마다 중인방 가운데에 문선을 두고 가운데에 나무로 만든 서양식 당판문을 달았다. 정면과 측면의 모습이 약간 다른데, 정면 문짝에는 사이에 정자 모양의 구멍을 뚫어놓았으나 측면의 문짝은 판이다. 나머지 남은 면의 경우, 정면에는 띠살 문짝과 머름을 설치했으나 측면은 으로 메꾸었다.

*
파일:덕홍전 내부.png}}} ||
<colbgcolor=#e3ba62> 덕홍전 내부[10]
실내는 전부 1칸으로 뚫려 있으며 바닥은 전돌이다. 사실 원래는 카페트를 깔았는데 나중에 치운 것. 천장은 우물반자로 하고 반자청판에 구름 속을 날고 있는 두 마리의 봉황을 그려넣었다.
파일:덕홍전 샹들리에.png}}} ||
<colbgcolor=#e3ba62> 덕홍전 샹들리에
파일:덕홍전 커튼박스.png}}} ||
덕홍전 커튼박스
근대 이후에 지어서 그런지, 내부 장식서양식을 가미했다. 천장에는 샹들리에를 달았고, 교창에는 커튼박스를 설치했다. 커튼박스는 양 가장자리에 날개를 문 듯한 모양의 봉황머리가 있고, 가운데에 금색 오얏꽃 조각이 달린 형태이다.

4. 여담

파일:덕홍전 션샤인 1.png}}} ||
파일:덕홍전 션샤인 2.png
||
<colbgcolor=#e3ba62> 덕홍전에서 열린 덕수궁 션샤인 프로젝트[11]
2018년 tVN에서 방영한 시대극미스터 션샤인》의 인기를 바탕으로,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이 같은 해 11월 23일부터 12월 12일까지 덕홍전에서 극 중 나왔던 한복근대 의복을 전시했다. 프로젝트의 정식 이름은 '덕수궁 션샤인 – 근대, 그날의 기억을 입다'. 특히 드라마에 직접 참여한 디자이너들이 준비해 화제를 모았다.[12]##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덕수궁 트위터.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사진 출처.[3] 당시 아관파천으로 고종경복궁을 떠나고 경운궁을 환궁(궁으로 돌아가다)할 곳으로 정하면서 경복궁의 건물 일부를 경운궁으로 옮겨지었다.[4]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5] 수풍당에 계속 있다가 1919년 1월 고종 승하 후 1921년 3월에 종묘에 같이 모셔졌다.[6] 임금의 생전에 황후, 왕비가 죽은 경우에는 신주를 혼전에 계속 두고 있다가 임금이 죽은 다음에야 같이 종묘에 봉안할 수 있었다.[7] 일제강점기 이왕가(옛 대한제국 황실)을 담당하던 기구.[8]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건축 단체 조선건축회가 1922년 6월부터 1945년 2월까지 펴낸 기관지.[9]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사진 아래 설명에는 석조전(石造殿)으로 적어두었으나 잘못 쓴 것이다.[10] 사진 출처 - 카카오맵.[1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12] 총괄 디렉터는 서영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