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2:25:40

두무지

두무지드에서 넘어옴
파일:Dingir.png메소포타미아 신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 · 아트라하시스 · 아라타의 지배자 · 에누마 엘리시
일곱 지배신 4주신(四主神): 아누(안) · 엔릴(엘릴) · 엔키(에아) · 닌후르쌍
3천신(三天神): 이슈타르(인안나) · 난나(씬) · 샤마쉬(우투)
그 외 주요신 아다드(이쉬쿠르) · 두무지(탐무즈) · 에레슈키갈(에레시키칼) · 엔킴두 · 게슈틴안나(게쉬틴안나) · 라하르 · 마르두크 · 네르갈 · 닌우르타(니누르타) · 나부 · 아슈르
기타 신 아가사야 · 아눈나키 · 아사룰루두 · 아슈난 · 아눈나 · 이기기 · 바알 · 엔빌룰루 · 마미/닌투 · 남타르 · 닌카시 · 닌릴 · 닌순 · 닌아주 · 누스쿠 · 사르파니트
반신 및 영웅 길가메시 · 엔키두 · 엔마르카르 · 아다파 · 바알 · 엔빌룰루 · 마미/닌투 · 남타르 · 루갈반다 · 샴하트 · 시두리 · 지우수드라(아트라하시스)
태초의 존재들 티아마트 · 키샤르 · 라흐무 · 아프수 · 안샤르 · 라하무 · 킨구 · 뭄무 · 남무
정령 및 괴수 우투쿠 · 라마수/셰두 · 아사쿠 · 에딤무 · 시리스 · 안주 · 훔바바 · 아사그 · 한비 · 쿠르 · 라마슈투 · 파주주 · 라비수 · 무슈후슈 · 오안네스
}}}}}}}}} ||

파일:Sumer.png
수메르의 군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설상의 군주 알룰림 | 두무지 | 지우수드라
키시 1왕조-우르크 1왕조 에타나 | 엔메바라게시 | 엔메르카르 | 루갈반다 | 길가메시
우르 1왕조 메스칼람두그 | 메산네파다 | 푸아비
아다브-키시 3왕조-우르크 2왕조 루갈안네문두 | 쿠바바 | 엔샤쿠샨나
라가시 1왕조-우루크 3왕조 우르난셰 | 에안나툼 | 엔안나툼 1세 | 엔테메나 | 우루카기나 | 루갈자게시
아카드 제국 사르곤 | 리무쉬 | 마니시투슈 | 나람신 | 샤르칼리샤리 | 두두 | 슈투룰
라가시 2왕조-우르크 5왕조 푸제르마마 | 구데아 | 우투헤갈
구티 왕조 인키슉 | 자를 아갑 | 슐미 | 시룰루메시 | 이님마바케시 | 이게카우시 | 야를 아갑 | 이바테 | 야를 앙갑 | 쿠룸 | 아필 킨 | 라 에라붐 | 이라룸 | 이브라눔 | 하블룸 | 푸주르 수엔 | 야를라간다 | 티리간
우르 제3왕조 우르남무 | 슐기 | 아마르신 | 슈신 | 입비신 }}}}}}}}}
파일:두무지2.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성장, 풍요의 신
이름 표기
수메르어 𒌉𒍣 (Dumuzi)
아카드어 ? (Tammuz)


[clearfix]

1. 개요

수메르 신화의 성장-풍요의 신. 인안나의 남편이자 형제이다.[1] 메소포타미아에서는 탐무즈라고 불렀으며, 이때는 이슈타르의 남편이자 형제이다. 문헌에 따라서는 엔키의 아들로 나오는데, 이 경우 이슈타르엔키의 형제 엔릴의 아들 난나의 딸이기 때문에 두무지가 이슈타르의 당숙이 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두무지 자체는 풍요를 가져오는 신이 아니다. 인안나와의 관계가 있을 때만 그 힘을 발휘하는 신이다.

2. 행적

본래는 양치기(의 신)였다고 한다. 인안나의 사랑을 받으며, 천상의 동물과 지상의 동물을 길렀다. 후에 인안나가 지하 세계로 내려갔다가 저승의 여왕 에레시키갈에게 붙들려 그녀를 대신하여 죽을 사람을 바쳐야 살아올 수 있다는 조건이 내걸렸다. 그 사이 아내가 어디갔는지도 모르고 아내를 걱정하지도 않고 참 편하게 있는 모습을 본 인안나가 자신을 대신해서 두무지를 바치겠다고 하는 바람에 저승의 옥졸들이 그를 저승으로 끌고 가버린다. 다행히도 자애로운 누나, 포도주의 여신 게슈틴안나(게슈티난나)가 같이 벌을 받겠다고 해서 지하 세계에 있는 시간이 감형되었다.

참고로 이러한 신화를 기록한 온전한 판본이 발견된 것은 20세기 중후반이기 때문에 그 이전에는 이 신화의 전모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조각난 문서 파편만으로 신화를 재구성해야했던 그 이전에는 두무지가 저승에 끌려간 것을, 인안나가 구출하기 위해 저승에 내려간 것으로 생각했다. 물론 온전한 문서가 발견되어 사실은 정반대라는 게 밝혀졌지만.

아무튼 두무지는 성장과 풍요의 신이기 때문에 계절의 현상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두무지가 지상 세계에 있을 때는 봄, 여름에 해당되며 이때는 모든 생물들이 성장하는 시기이다. 그러다가 두무지가 지하 세계로 끌려들어가는 때는 가을과 겨울에 해당되며 이때가 되면 만물의 성장이 멈추는 사계절의 특성을, 신화로써 표현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지금 두무지를 보면 매우 순정남인걸 알 수 있는데 인안나를 짝사랑하여 그녀를 따라 다니기도 했고 인안나가 자신의 어머니와 있을 때도 집 밖에서 두무지는 인안나의 어머니에게 인안나와 결혼하고 싶다며 크게 외치기도 하였다. 어머니는 두무지를 집에 들였고 결국 인안나도 두무지에게 호감이 생겨 결혼하게 되었다.

다만 이후에는 둘의 사랑에 관한 묘사가 없으며, 인안나가 지하세계에 있을 때 노예 여자들과 탱자탱자 놀았던 것을 보면, 사랑이 식은 것인지, 아니면 본성 자체가 바람둥이 기질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게다가 둘 사이에 자식이 있다는 언급이 없는 것을 보면 좋은 남편은 확실히 아니다.

3. 특징

그리스 신화의 페르세포네와 같이 씨앗을 상징하는 신격이다. 바빌로니아의 탐무즈, 그리스 로마 신화아도니스, 아나톨리아아티스처럼, 한번 죽어서 지하로 내려가 새로운 삶(식물)으로 지상에 풍요를 가져다주는 남성적인 힘을 상징한다.

1955년 국제표준 성서백과사전에는 두무지에 대해 이렇게 서술한다.
“여기 에스겔서 8:13, 14[2]에 기록된 이 신(탐무즈)은 천주교 성서에는 아도니스로 기록되었다. 그리스에 아도니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주God의 명칭은 바로 다름 아닌 페니키아의 아도나이인데, 이 이름은 히브리어에서도 같은 것이다. (중략) 이 신은 근본적으로 그리스의 아프로디테에 해당하는 이슈타르의 남편 두무지라 불리는 수메르 또는 바빌로니아의 태양신[3]이었다. 이 신들의 예배가 일찍이 시리아에 탐무즈와 아스타르테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그리고 그리스인에게는 아도니스와 아프로디테의 신화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이집트의 만신전에 나오는 오시리스이시스와 동격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그들에 대한 신앙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졌는가 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바빌로니아의 신화에는 겨울을 상징한 들곰에게 살해당한 아름다운 목동 두무지로 묘사되었다. 여신 이슈타르는 그를 생각해 오랫동안 몹시 슬퍼한 나머지 죽음에 사로잡힌 그를 구원하기 위해 저승으로 내려갔다.[4] 탐무즈를 위한 이 애도가 바빌로니아에서는 탐무즈의 칭호를 받은 넷째 달 둘째 날이면 여인들로 인해 축제 분위기로 성황을 이루어버린다. (중략)

게발의 여성들은 하지가 되면 아도니스 또는 탐무즈의 죽음을 찬미하기 위해 그의 신전에 가는 판례가 되어있다. 그런데 이 같은 경축제식과 관련해 욕정스러운 음분한 행사가 행해졌는데 그 제식의 풍속이 음탐하고 너무나도 추잡스럽기 때문에 콘스탄티누스 대제[5]가 철폐해 버렸다.”

오늘날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 북방에 아도니스 강이 흐르고 있다. 이 강물은 레바논 산지를 지나면서 모래에 포함된 산화철을 안고 흘러내린다. 매 4월이 되면 장마로 인해 강이 붉게 보인다. 이곳 사람들은 아도니스 또는 바알이 죽어 이 강물이 피에 물들어 붉어 보인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따라서 이 강을 아도니스의 강이라고 부른다. 봄이 되면 엘에게 탄원의 기도를 올리기 위해 마련된 신전이 이곳에 세워졌다. 이러한 관습은 그의 부활절을 찬미하기 위해 부활절이 되면 이곳의 신부와 수녀들이 그들의 복식을 입은 채 그리스도의 죽음을 이 강에 와서 애도하는 관습으로 남아있다.

이슬람권의 기록에 따르면, 11세기까지도 이라크 지역에서 두무지를 애도하는 의식을 치르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4. 대중매체

4.1. Fate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두무지(Fate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칼람의 신들 : 당신을 위한 수메르 신화

파일:두무지(웹툰).png

보석을 찾다가 인안나와 만나서 썸을 타고, 우투의 주선으로 결혼한다. 그러나 인안나의 눈 앞에서 친누나 게쉬틴안나와 키스해 아내를 경악시킨다. 누나가 결혼하는 날에는 대성통곡을 했다.

그 뒤로 인안나에게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고, 인안나가 에레시키갈에게 살해당했는데도 별다른 반응이 없었다.[6] 결국 부활한 인안나에 의해 저승으로 끌려간다. 그래도 인안나는 두무지에게 옛정이 남았는지, 게쉬틴안나에게 두무지를 구할 사람은 당신밖에 없다고 설득했고 두 남매는 돌아가면서 저승에서 지냈다.

4.3. 홍끼의 메소포타미아 신화

파일:홍끼 두무지.jpg
인안나에게 구혼한 수많은 신들 중 하나로 등장. 양치기의 신이라서인지 양의 눈동자처럼 눈동자가 가로이다. 인안나가 우투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엔킴두를 선택하려고 하자 열렬히 구애한다. 인안나는 두무지의 적극적인 면이 마음에 들어서 그와 결혼했고, 결혼 생활도 처음에는 순조로웠다.

그러나 두무지는 인안나와의 결혼으로 입지가 높아지자 오만해져, 다른 여신들을 불러 방탕한 짓을 일삼았다. 인안나는 당시 두무지에 대한 흥미가 식은 상태였기에, 훗날 복수마저 철저히 이용할 것이라며 그의 처분을 미루어 두었다.

이후 인안나의 명계하강 에피소드가 나오면서 그의 처분이 암시된다. 그리고 원전대로 인안나의 벌을 누나와 함께 대신 받게 되었다.


[1] 드문 일이다만 과거에는 도무치라는 이름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계몽사 만화세계사 1권에서는 제사장이 신전에서 제물을 바치고 한쌍의 선발된 남녀를 인신공양할 때 "도무치 신이시여, 이안나 여신이시여"하고 제를 지내는 것으로 표기했다.[2] 그리고는 "이들이 하는 역겨운 짓을 또 보아라" 하시며 나를 야훼의 성전 북향 정문 문간으로 데리고 가셨다. 거기에서는 여인들이 앉아서 담무즈신의 죽음을 곡하고 있었다.(공동번역성서)[3] 이건 오류로 고대 수메르-바빌로니아의 태양신은 이슈타르의 형제 우투-샤마쉬였다.[4] 이것도 오류로, 실제로는 이슈타르가 저승에 가 에레시키갈에게 당해 지상이 황폐화되자 엔키가 이슈타르를 살렸는데, 이에 에레시키갈이 가루다를 보내 추적하고 두무지가 이슈타르가 죽든 말든 신경쓰지 않는 모습을 보고 분노한 이슈타르가 두무지를 대신 저승에 보내버렸다. 다만 당시에는 판본해석이 되지 않아 잘못 알려져 있었다.[5] 기독교를 공인하면서 공의회를 처음으로 연 황제로, 이스탄불을 만든 사람이다.[6] 반면 인안나의 시종 닌슈부르는 인안나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대성통곡하고, 엔릴과 난나를 찾아갔으나 거절당한다. 마지막으로 찾아간 엔키만이 인안나를 부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