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00:45:26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때는 아니란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와 유사한 구조와 의미를 가진 문장이 직접 나온 사례만 기록할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표제와 유사한 구조와 의미를 가진 문장이 직접 나온 사례만 기록할 것으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external/file2.instiz.net/558c42940372e74b6dc1fa946fdd9401.jpg

1. 개요2. 유사한 구절이 언급된 사례 및 패러디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종의 관용어이자 클리셰. 말 그대로 들어오기는 쉬워도 나가기는 힘든 상황을 의미한다. 특히 현실이든 창작물이든 대놓고 양지로 가기엔 걸리는 게 많은 뒷세력 등은 죄다 이 법칙을 물리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싱크로율이 장난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게임 등에서는 최종 던전이 이 개념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원래 조직폭력배 같은 곳에서 비슷한 표현으로 자주 쓰던 말이었는데, 엉덩국의 만화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가 메가히트를 치면서 이 명대사가 유명해지게 되었다.

2. 유사한 구절이 언급된 사례 및 패러디

이것에 대해 말할 때 제일 주의해야 할 점은 이 대사는 절대 엉덩국이 처음 쓴 대사도 개념도 아니라는 것이다. 단지 이 대사가 엉덩국과 유독 이어지는 건 그의 컬트적인 인기와 만화의 병맛으로 인해 임팩트가 커져서 그런 것일 뿐이며 엉덩국도 이 점에 대해 상당히 조심하는지 공식적으로 "이 대사는 자신이 최초로 만들거나 사용한 대사가 아니다"라고 표명했다. 실제로 시기적으로도 엉덩국보다 앞선 때(2010년 11월 7일 이전)부터 거의 비슷한 구조와 의미의 문장이 수도 없이 많이 쓰였다.

파일:맹꽁이 서당 짤방.png 파일:맹꽁이 서당 짤방.jpg
파일:namuwikisignup.png
가입 후 탈퇴는 불가능합니다.

3. 관련 문서


[1] 판본에 따라 똑같이 과식해서 못 나가다가, 그대로 농부에게 잡혀버리는 버전도 있다.사자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농부는 아니란다[2] 원곡은 최진희의 '믿을 수 없어'라는 곡으로 1991년에 발매되었다. 당시엔 '사랑의 열쇠', '첫사랑'에 밀려 수록곡으로만 남았다.[3] 1653~1733. 호는 '병와'. 제주목사가 되어 제주도에서 온갖 악습들을 다 타파하고(해녀복을 고안한 사람이기도 하다) 제주도에서 횡포를 부리던 지역 유지들을 억제하려 했던 개혁 정책을 취했다. 이러면서도 무척 검소하게 살았고 제주도민들을 아껴서 송덕비를 세워 제주도민들이 칭송했다. 아쉽게도 이런 게 조정에서는 고깝게 보였는지 억울한 탄핵 상소로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그만 물러나야 했는데, 그때까지 제주도를 포함해 부임한 곳만 22곳에 달했으며, 그가 부임한 곳마다 살기 좋은 곳이 되어 영세불망비, 송덕비, 유애비가 많이 세워졌다. 위의 장면은 흑백으로 나온 초판으로, 청주 목사로 재직하던 그가 부산 동래로 전근을 가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청주 백성들이 보낼 수 없다고 버티는 장면이다. 컬러 개정판에서는 대사가 "안됩니다. 못 가십니다", "어진 사또님을 다른 곳으로 가게 할 수 없습니다."로 바뀌었다.[4]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장희창 옮김, <<파우스트>>, 9쇄, 서울, 을유문화사, 2021, p.90.[5] 숲 출판사 신들의 계보 80p.[6] 마우가도 흔히 붕탁물에서 등장하는 마초게이가 연상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물론 당사자는 아직까지는 성적취향이 공개되지 않았기에 그저 개그성 대사임은 감안할 것. 또한 그저 이런 이유 뿐만이 아닌 마우가의 궁극기를 나타낸 대사이기도 하다. 마우가의 궁극기는 원기둥의 방벽을 세워서 상대를 가두는 궁극기이다.